항목 ID | GC03100636 |
---|---|
한자 | 排水- |
영어의미역 | Pump St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기도 광명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창언 |
경기도 광명시에서 수해에 대비해 설치한 배수 시설.
광명시는 수해 지역에 배수펌프장을 설치하여 내수를 안양천과 목감천으로 배출하는 방법으로 수해 대책을 세워왔다. 1985년 철산배수펌프장을 시작으로 1989년에는 광명배수펌프장과 하안배수펌프장을, 1993년에는 광명 제1·2·3펌프장을, 2002년에는 소하배수펌프장을 각각 설치했으며 현재 배수펌프장은 총 7개이다.
광명배수펌프장은 광명5동 776-40~42번지에 위치해 있고 유수지 면적 1,465㎡, 유수지 용량 10,500㎥이며 1,200가구의 수해에 대비하여 설치하였다. 철산배수펌프장은 철산1동 15번지에 위치해 있고 유수지 면적 6,885㎡, 유수지 용량 55,900㎡이며 5,500가구의 수해에 대비하여 설치했다.
하안배수펌프장은 하안4동 24번지[안현로 81]에 위치해 있고 유수지 면적 30,225㎡, 유수지 용량은 150,000㎥이며 농경지 0.5㎢를 포함한 7,000가구의 수해 대비를 위해 설치하였다. 광명제1배수펌프장은 광명3동 158-1480번지[목감로 185]에 소재해 있고, 유수지 면적 790㎡, 유수지 용량 8,000㎥이며 1,440가구의 수해에 대비하여 설치하였다.
광명제2배수펌프장은 광명3동 158-1480번지[목감로 185]에 소재하고 있고 유수지 면적 538㎡, 유수지 용량 4,000㎥이며 860가구의 수해 대비를 위해 설치하였다. 광명제3배수펌프장은 광명1동 12-48·58번지에 위치해 있고 유수지 면적 305㎡, 유수지 용량 2,400㎥이며 580가구의 수해 대비를 위해 설치하였다. 마지막으로 소하배수펌프장은 소하동 530-10번지[하안로 30-19]에 소재해 있고 유수지 면적 17,800㎡, 유수지 용량 71,360㎥이며 농경지 0.87㎢를 포함하여 2,000가구의 수해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홍수 시 한강이 역류하여 안양천과 목감천 두 하천변이 내수 배출이 불가능하여 상습 침수 구역 대부분이 수해를 입는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광명시의 수해 피해를 막기 위해 설치된 배수펌프장은 홍수 피해를 막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