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101452 |
---|---|
영어의미역 | Folk Song of Rice-Planti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간호윤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
「모심는 소리」는 광명시 노온사동에서 모를 심으며 부르는 노동요로서 숫자를 넣어 부르는 것이 흥미롭다. 메기고 받는 선후창으로 고된 농사일을 즐거움으로 승화시키는 노래이다.
2006년 경기문화재단에서 발행한 『경기도의 향토민요』 상권의 85~86쪽에 실려 있는데, 이는 김영운·김혜정·이윤정 등이 2005년 광명시 노온사동 능촌 아방리마을 경로당에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이봉수[남, 76] 등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모심는 소리」는 선창자의 가사를 거의 그대로 받기에 딱히 후렴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메]하나냐 하나 둘이로구나 둘둘 말아서 서이로다/ [받]하나냐 하나 둘이로구나 둘둘 말아서 서이로다/ [메]서이냐 셋 너이로구나 넷을 심어라 다섯/ [받]서이냐 서이 너이로구나 너이를 심어라 다섯/ [메]다섯 여섯 여섯을 심어라 일곱/ [받]다섯 여섯 여섯을 심어라 일곱/ [메]일곱 여덟 여덟을 심어라 아홉/ [받]일곱 여덟 여덟을 심어라 아홉/ [메]아홉이냐 아홉 열이로구나 열하문 가운데 새로 하나/ [받]아홉이냐 아홉 열이로구나 열하문 가운데 새로 하나/ [메]하나냐 하나 둘이로구나 둘둘 말아서 서이로다/ [받]하나냐 하나 둘이로구나 둘둘 말아서 서이로다.
「모심는 소리」는 농번기철에 모내기를 하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고된 노동에서 오는 피로를 함께 노래를 부르면서 즐거움으로 바꾸고, 또 일을 촉진하는 매개 역할을 한다.
「모심는 소리」는 광명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노동요의 하나이다. 각 지역마다 사설의 내용이 다르게 나타난다. 현재는 대부분의 농사일이 기계화함에 따라 모도 이앙기(移秧機)로 심는다. 따라서 들에서 「모심는 소리」를 듣는 것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모심기는 긴 시간 동안 허리를 굽혀서 하는 노동이다. 더욱이 모심기는 여러 사람이 못줄에 맞춰 일정 거리에 모를 심는 것이기에 노동의 강도가 높고 지루하다. 따라서 이 「모심는 소리」는 협동심을 높이고 노동에서 오는 피로를 노래의 흥성거림으로 씻어 주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