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비전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0042
한자 口碑傳承
영어의미역 Folklore
이칭/별칭 구비문학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광명시
집필자 이영수

[정의]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말과 기억에 의존하여 전해 내려오는 민간 지식의 총칭.

[개설]

구비전승(口碑傳承)이란 말로 된 문학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글로 표현된 문학인 기록문학과 구별된다. 말로 창작되고 전승되기 때문에 전승 과정에서 계속 변하며, 그 변화의 누적으로 개별 작품이 존재하게 된다. 구비전승은 크게 문학적 성격을 지닌 구비문학과 비문학적 성격의 말로 된 생활 기술 지식을 총칭하는 말로 쓰인다. 구비전승의 주요 장르로는 말[설화, 속담, 수수께끼]과 노래[민요, 판소리], 행위[민속극, 연희, 마을 제의]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화와 민요 등 ‘말로 된 문학’을 지칭하는 용어로는 구비문학(口碑文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비문학은 전설·신화·민담 등 문학적 요소를 담고 있는 설화와 노동요·만가·타령 등 노래의 형식을 빌린 민요, 그밖에 수수께끼, 속담 등으로 나뉜다. 광명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구비문학의 경우 설화, 민요, 속담, 수수께끼, 금기어 등이 있으나 속담과 수수께끼, 금기어는 주로 언어에서 다루기에 여기서는 설화와 민요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설화]

경기도 광명 지역과 관련해서 구전으로 전승되는 이야기를 총칭한다. 설화란 용어 자체는 근대의 조어로써 문헌설화와 구전설화로 대별된다. 현재 광명 지역과 관련해서 전승되는 설화는 모두 24편이다. 이 중에서 강석기(姜碩期)[1580~1643]의 가묘와 관련된 「묘터 잘못 써서 망한 강석기」 1편만이 문헌설화에 속하며, 나머지 23편은 구전으로 전승되다가 채록된 구전설화이다. 이들 구전설화를 주제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인물전설에 해당하는 설화로는 「독산공 강희의 유래담」, 「영회원의 슬픈 이야기」, 「종의 모함에 쫓겨난 구수복」, 「회오리바람으로 중국에 문장 알린 강희」, 「앞을 내다본 오리정승 이원익」, 「태풍이 올 것을 미리 안 오리 이원익」, 「행동으로 사람 됨됨이를 짐작한 이원익」, 「남에게 적선하고 정승된 정원용」, 「이원익의 손녀사위 허목」, 「청백리의 표본 이원익」, 「재치로 육방관속을 제압한 오리 이원익」, 「벼슬을 마다 한 능산지기」 등 12편이 이에 속한다. 인물전설과 관련해서 특이한 점은 광명 지역 인물인데도 불구하고 광명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채록된 설화가 많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이원익(李元翼)[1547~1634]과 정원용(鄭元容)[1783~1873]의 경우이다. 이원익과 관련된 이야기는 모두 6편인데, 이 중에서 「이원익의 손녀사위 허목」을 제외한 5편이 경기도 용인과 충청남도 아산 등 광명이 아닌 지역에서 구전되다가 채록된 것이다. 그리고 정원용과 관련된 「남에게 적선하고 정승된 정원용」 설화는 충청남도 보령에서 채록된 것이다.

지명전설에 해당하는 설화로는 「구름산의 산신령 설화」, 「도덕산의 전설」, 「임금이 지어준 관감정」, 「역적이 난다고 묘를 쓰지 못하게 한 철망산」, 「배가 고파서 팥죽 한그릇에 논을 팔다」, 「마시면 어떤 병도 낫는다는 도련님 우물」, 「한 번 농사에 3년 먹고 산다는 논 이야기」 등 7편이 이에 속한다.

수목전설에 해당하는 설화로는 「영회원가의 고목」, 「회나무대감 설화」 등이 있다. 이들 설화에 등장하는 나무는 신성이 내재되어 있기에 함부로 만지거나 꺾으면 신벌을 받는다고 한다. 그 밖에 「닭 잡아먹고 집안 망한 이야기」는 인간의 욕심을 경계하는 설화이며, 「서울구경」은 세간화(世間話)에 해당하는 이야기로 곤궁한 처지를 해학적으로 풀이한 설화 등이 전하고 있다.

[민요]

경기도 광명시에서 주로 민간인들 사이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래를 총칭한다. 민요는 민중들이 일상적인 삶을 통해 불러온 노래이기에 창자들의 생활과 직접적으로 맞물려 있는 것이다. 이런 민요는 계층적·지역적·민족적으로 고유성이 강하게 유지되는 노래이다. 현재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채록된 민요는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볼 때 결코 많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특정 지역, 즉 노온사동에서 채록되었다. 현재까지 광명 지역에서 채록된 민요를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노동요

노동요는 노동을 하면서 노동의 박자와 맞게 부르는 노래이다. 노동요를 부르는 이유는 첫째 노동을 즐겁게 하기 위해서이며, 둘째 공동 노동을 하는 경우에는 행동 통일을 유지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광명 지역에서 전승되는 노동요에는 「논매는 소리」, 「모심는 소리」 등이 있다.

2. 부녀요

부녀요는 성인 여자들의 노래로, 일상생활에서 느낀 슬픔과 고난을 감동적으로 노래한 것이다. 부녀요는 노동하는 사람의 감정을 단편적으로 보여 주는 데 그치지 않고 생활에 대한 깊고 지속적인 투시인 경우가 많다. 부녀요의 내용은 주로 사랑·혼인, 그리고 시집살이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며, 반발의 대상은 횡포한 시부모와 무관심한 남편이다. 광명 지역에서 전승되는 부녀요는 「시앗요」, 「시집살이요」, 「화전가」 등이 있다.

3. 의식요

의식요는 언어가 주술적인 힘을 지녀 인간과 귀신이나 영혼 사이의 의사 교환의 수단으로도 사용된다고 생각하기에 성립되는 것으로, 크게 세시의식요와 장례의식요로 구분할 수 있다.

광명 지역에서 채록된 「상여 소리」, 「자진상여 소리」, 「회닺는 소리」, 「긴상여 소리」 등 의식요는 장례의식요에 해당한다. 이러한 장례의식요는 광명 지역뿐만 아니라 경기도의 다른 지역에서도 비교적 손쉽게 채록할 수 있는 것으로, 경기도 내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는 민요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경기도 광명시 학온동에서 채록된 「상여 소리」 중에서 액막이를 하고 큰 딸에게 노자돈을 요구하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오늘날에 우리 행보님/ 액맥이 상문을 하고마네/ 사월이라 드는 상문/ 오월이라 단오날에/ 그네를 타고 막아내고/ 오월이라 드는 상문/…(중략)…/ 동짓달이라 드는 상문/ 섣달이라 그믐날에/ 액맥이 축음으로 막아내고/ 섣달이라 드는 상문/ 정월이라 대보름날/ 달맞이로 막아내고/ 오늘날에 우리 행수님/ 액맥이 상문을 하고/ 올해 다시 한 번/ 아이고 여차 일월이 드니/ 우리 큰딸 어디를 갔나/ 나를 이래 속썩여 놓고/ 이제 한 번 보고지면/ 다시 못 올 이 세상/ 자식 따님의 손을 잡고/ 오늘 네게 당부를 하니/ 대문밖에 일가친척이 많다 해도/ 어느 일가가 대신을 하며/ 어느 친구가 동행을 하리/ 이왕지사 가는 길에/ 우리 큰딸 주머니 털어셔/ 주머니 속에 바지락대며/ 마지막 가는 길에 노자돈이나 주고.”

4. 유희요

유희요는 놀이의 박자를 정확하게 유지하며 놀이를 잘 진행하기 위해서 또는 놀이를 더욱 즐겁게 하기 위해서 부르는 것이다. 놀이의 성립을 위한 불가결한 내용만 지니고 있어서 비교적 단순한 형태로 전승된다. 광명 지역에서 채록된 민요 중 유희요에 해당하는 것은 「통음요」, 「통타령」, 「팽이요」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