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100455 |
---|---|
한자 | 權詗墓 |
영어의미역 | Tomb of Gwon Hye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광명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권만용 |
성격 | 능묘 |
---|---|
건립시기/일시 | 조선 후기 |
관련인물 | 권치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권형의 묘소.
권형(權詗)[1541~1605]은 본관이 안동(安東), 자는 중오(中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치(權錙), 할아버지는 권식(權湜),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권침(權琛)이다. 외조부는 김석보(金碩輔)이다. 부인은 변훈남(卞勳男)의 딸이다. 1568년(선조 1)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수학하던 중 목청전참봉(穆淸殿參奉)에 제수되었고, 그 후 다시 선원전참봉(璿源殿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연은전참봉(延恩殿參奉)과 사옹원봉사에 올랐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선조를 행재소(行在所)로 호종하였다. 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 통례원인의(通禮院引儀), 은산현감, 공조좌랑, 형조정랑, 옥천군수를 역임하였다. 그 뒤 내직으로 평시서령, 장례원사의, 세자익위사익찬을 지냈으며, 외직으로는 봉산군수(鳳山郡守)와 신천군수를 역임하였다. 1599년(선조 3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예조정랑, 성균관전적, 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 사헌부장령, 성균관직강, 사복시첨정(司僕寺僉正), 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 세자시강원필선, 예빈시부정 등을 역임하였다. 사후에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과 광명시 소하동을 잇는 대로변에 있는데, 앞으로 멀리 경부고속철도 광명역사가 보인다.
권형 묘에는 문인석, 상석, 향로석, 묘표 등의 석물이 있다. 건립 시기는 확실히 알 수 없지만, 문인석이 금관조복형에 몸체가 비교적 균형이 잡힌 것으로 미루어 17세기 중반 작품으로 판단된다.
권형의 묘비는 방부원수(方趺圓首) 형태의 대리석으로 만들었는데, 전면에는 ‘증 도승지행장령 권공형지묘 숙부인 초계하씨 부묘’라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음기가 있으나 마모가 심하여 건립 시기는 알 수 없다. 단지 끝부분에 김상헌(金尙憲)이란 인명이 확인되어 조선 후기 좌의정을 지낸 청음 김상헌이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