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철기시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0361
한자 鐵器時代
영어의미역 Iron Ag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광명시
시대 선사/철기
집필자 김덕원

[정의]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철기를 도구로 사용하였던 시대의 역사와 문화.

[개설]

철은 인류가 도시나 국가를 형성한 문명 단계에 들어서면서 개발되기 시작하여 청동기를 잇는 새로운 금속으로 등장하였다. 청동에 비해 철의 원료는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어서 야철(冶鐵) 기술만 습득하면 어디서나 생산이 가능하였다. 이후 강(鋼) 제조 기술이 발명됨으로써 예리한 이기(利器)의 제작이 가능해졌고, 이것은 곧 고대 통일 국가 형성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B.C. 300년에서 서력기원 전후 시기까지를 초기철기시대라 하고, 서력기원 전후로부터 A.D. 300년까지를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라고 한다. 그리고 이를 합쳐 철기시대(鐵器時代)라고 한다.

[변천]

우리나라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철기의 영향을 받아서 B.C. 4세기 무렵부터 철기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주조철부(鑄造鐵斧)를 비롯해 농공구류(農工具類)가 우세하였다. 한반도에서 자체적으로 철기가 생산된 시기는, 평안남도에서 거푸집[鎔范]이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 B.C. 2세기 무렵으로 추정되며, 이때부터는 단조철기(鍛造鐵器)도 제작되기 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철기시대의 문화 양상은 북부 지역과 중부 지역, 남부 지역 등에서 다소의 차이를 보인다. 북부 지역에서는 대체로 B.C. 4세기 이후부터 철기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중부 지역과 남부 지역에서는 B.C. 2세기 무렵부터 사용하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한반도에서 발견된 제철 유적으로서 제련·용해·단야 등 철의 원료로부터 철을 생산하여 철기를 제작하기까지 일련의 공정을 살필 수 있는 유적은 충청북도 진천군 석장리 유적이 유일하다. 이 유적으로 미루어 당시 철의 생산은 큰 규모의 생산 시설에서 이루어졌지만, 단야 작업은 취락 단위로 철의 소재나 중간 제품을 구하여 간단한 시설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유적 분포 현황]

철기시대는 역사적으로 북부 지역에서는 고조선과 위만조선에 이어 고구려가 등장하는 시기이고, 남부 지역에서는 삼한이 존재하였던 시기이다. 이후 서울과 경주, 김해 지역에서는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독자적인 중심 세력이 형성되면서 각각 백제·신라·가야 등으로 발전하였다.

광명 지역에서는 2010년 현재까지 철기시대의 유적과 유물이 조사·보고되지는 않았지만,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판단된다. 광명 지역은 삼한 중에서 마한의 소국(小國) 중 하나가 존재하였을 가능성과 함께 삼국시대 백제와도 지리적으로 가까웠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면 광명 지역이 백제의 기내(畿內) 지역으로 편제되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앞으로 이와 관련된 조사·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