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울진 지역의 일상생활에서 먹는 음식과 행위. 경상북도 울진군의 식생활은 산과 바다 그리고 평지가 적절히 분포되어 지역에 따라 구분된다. 후포면과 죽변면을 비롯하여 바다를 중심으로 해변에 위치한 마을들은 해산물을 이용한 다양한 음식들이 발달한 반면, 들이 있는 울진읍과 기성면 황보리·매화면 매화리 등은 쌀을 이용한 음식이 발달하였고, 사면이 산으로 둘러...
-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생산되는 식료품 또는 울진 지역 특유의 방법으로 만드는 요리. 산촌과 어촌 그리고 농촌이 적절하게 분포하고 있는 울진에서는 예로부터 다양한 요리들이 발달해 왔다. 특히 교통이 불편하여 19세기 후반까지는 울진에서만 생산되는 다양한 해산물을 이용한 젓갈류와 생선을 이용한 음식들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교통과 산업의 발달·인구이동 등으로 상호교류가 잦아지면...
-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많이 잡히는 가자미를 이용한 향토음식. 가자미물회는 3월에서 9월 울진군 해안 지역에서 많이 잡히는 가자미과 물고기를 이용한 음식으로, 주로 뼈째로 썰어 막회 또는 물회로 먹는다. 양식이 되지 않는 자연산 물고기를 이용하지만 일반인들이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저렴한 음식이다. 가자미회는 해산물이 풍부한 울진의 해안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즐겨 먹는 음식...
-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꽁치를 이용하여 만든 젓갈. 울진에서 봄철에 많이 잡히는 꽁치를 이용하여 만든 젓갈로서, 꽁치젓갈의 젓국[간수]은 김장 및 각종 음식의 양념으로 사용한다. 울진의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기본 양념 중 하나로 꽁치젓갈의 맛으로 그 집의 음식 맛을 평가하기도 한다. 울진에서는 꽁치를 비롯한 멸치, 메가리 등을 이용하여 젓갈을 담그는데...
-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국처럼 끓여 춘궁기에 먹던 구황음식. 적은 양의 곡식으로 많은 사람들의 배를 채우기 위해 만든 음식으로 지역에 따라 재료가 천차만별이다. 대체로 마을에서 가장 흔한 재료를 사용하는데, 해안에서는 양미리, 이면수, 미역 등을 사용하였고, 산간 지방에서는 산나물 등을 사용하였다. 국과 죽의 합성어에서 비롯된 ‘꾹죽’은 일반적으로 국에 여러 가지 재료를 섞...
-
경상북도 울진군 산간 지방에서 겨울철에 주식 대용으로 먹던 구황음식. 꿀밤을 껍질째 삶으면 껍데기가 알맹이보다 줄어들어 툭툭 터지게 된다. 이렇게 껍질이 까진 꿀밤을 찍어 알맹이를 가려낸 후 이를 단지에 담아서 물을 부어 계속 우려내면 떫은맛이 빠지게 된다. 몇 차례씩 물을 갈아내면 진노란 색의 물에서 떫은맛이 빠진 희끄무레한 물이 나온다. 이것을 둥주리에 담아 솥에 넣...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금강송면 등 산촌에서 봄에 주로 먹던 구황음식. 나물밥은 봄철 산나물을 이용한 음식으로 산간 지방에서 주로 먹었다. 좁쌀과 감자가 줄어들면 양식을 아끼기 위하여 새로 돋는 산나물을 밥에 보태어 양을 늘렸다. 산에서 뜯어온 나물을 깨끗이 씻어서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로 밀가루나 콩가루를 무친다. 나물을 밥물이 잦아들 때 밥 위에 올려 밥과 함께 뜸을...
-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나는 울진대게를 찐 음식. 대게찜은 울진대게를 가장 신선한 상태에서 그대로 맛볼 수 있는 요리법이자 대게를 먹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찜은 여러 가지 양념을 얹거나 고명 등을 얹어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게찜은 말 그대로 대게를 찜통에 쪄서 그대로 먹는 것으로 다른 곳의 찜과는 구분된다. 대게찜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
-
경상북도 울진군 산간 지방에서 콩기름을 짠 찌꺼기로 만든 구황음식. 일제강점기에 산간 지방이나 공출을 심하게 당한 지역에서 목숨을 연명하기 위해 만들어 먹었던 것으로 질이 열악한 음식 중 하나이다. 대두밥에 사용되는 대두박은 기름을 짜고 남은 대두의 찌꺼기로서, 일제강점기 때 구호식량으로 일주일에 한 번씩 배급을 받았다. 대두박에는 곡식가루보다 겨가 더 많거나 이물질이...
-
경상북도 울진 지역에서 설이나 추석 같은 명절에 특별히 만들어 먹는 음식. 명절은 계절이나 자연적 정서, 또는 민속적 요소가 내포되어 우리 민족이 전통적으로 지내 온 축일이다. 명절에는 차례와 제례·벌초·성묘 등의 조상 섬기기와 지신밟기 등의 마을행사를 통하여 가족이나 마을 사람간의 공동체 의식을 높였다. 또한 갖가지 음식을 가족 친척과 함께 나눠 먹었는데 이때 즐겨먹던...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에서 상례를 치른 후 장지에서 먹는 음식. 울진군 북면에서 상례를 치른 후 장지에서 먹는 음식으로 일종의 비빔밥이다. 상례를 치른 후 장지에서 문상객과 당군들은 무름밥을 먹게 되는데, 시래기국에 밥과 고추장, 간고등어 토막을 얹어서 낸다. 간고등어는 한 사람당 한 토막씩 갈 수 있도록 배분한다. 이외 가을 시제를 다닐 때에는 점심으로 밥과...
-
경상북도 울진군 산간 지역에서 감자를 삭혀서 만든 떡. 울진군의 산간 지방에서는 봄철 식량이 부족한 시기에 감자를 삭혀서 떡을 만들어 먹었다. 여름에 수확해 둔 감자는 봄이 되면 썩거나 마르기도 하는데, 이를 버리지 않고 떡으로 만들어서 먹었는데 이를 삭힌감자떡이라고 한다. 감자떡을 하기 위해서는 감자의 썩은 부분을 우려내야 한다. 썩은 감자 냄새는 몹시 지독...
-
경상북도 울진군 산간 지역에서 주로 먹던 소나무껍질을 이용한 구황음식. 송구떡은 먹을 것이 부족한 시기에 소나무의 껍질을 가루로 만들어 해 먹던 음식이다. 해안보다는 산간 지방에서 주로 해 먹었으며, 특히 금강송면·북면 일대 자연부락에서 겨울철에 자주 먹던 음식이다. 그러나 조리 과정이 복잡하고 손이 많이 가는 탓에 자주 해 먹지는 못했으며, 특히 소나무가 없는 지역에서...
-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생선 또는 무를 소금에 절여 먹는 향토음식. 식해는 울진의 해안 지역 사람들이 겨울과 봄에 밑반찬으로 먹는 음식으로 넣는 재료에 따라 소식해, 고기식해로 나뉜다. 고기식해는 다시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데, 바다에서 대량으로 잡히는 어종들은 대부분 식해로 만들었다. 생선은 깨끗하게 손질하고 무는 채 썬다. 생선과 채 썬 무를 소금으로 절인 뒤,...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과 금강송면에서 식량이 부족한 시기에 주식으로 먹던 구황음식. 쌀이 귀한 시절 쌀밥은 기제사나 명절 또는 특별한 경우에만 먹을 수 있는 귀한 음식이었다. 이를 대신할 주식으로 쌀 대신 좁쌀을 넣거나, 이것도 부족하여 감자를 넣고 만들어 먹었다. 좁쌀감자밥에서 좁쌀과 감자는 거의 5:5의 비율로 들어간다. 8인 가족을 기준으로 할 때 밥을 하면 좁쌀 두...
-
경상북도 울진군 산간 지역에서 춘궁기에 먹던 구황음식. 3월 그믐부터 4월 보리가 익기 전에 풋보리를 베어 감자를 넣고 만들어 먹던 음식으로 풋보리를 손작두로 잘게 썰어 ‘짝두보리’라고 한다. 3월에서 4월까지는 보리가 익기 전이며, 겨우내 저축한 식량이 떨어져가는 시기로 말 그대로 춘궁기이다. 이 때 마을 사람들은 먹을 것이 부족하여 아직 익지 않은 풋보리를 한 땀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