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0657 |
---|---|
한자 | 厚浦里碑石群 |
영어의미역 | Monuments in Hupo-ri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583[등기산길 4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인표 |
성격 | 비석군 |
---|---|
양식 | 월두형|사각형|아치형 |
건립시기/일시 | 1959년 7월 15일[김복암 순국충령비]|임술년 6월 11일[김종준묘비]|1953년 3월 15일[유영상비]|1954년 3월 13일[안호근비]|1954년 5월 9일[김성동묘비]|갑오년 정월 17일[강수홍비]|갑오년 정월 17일[김진석비]|1946년 5월 25일[3·1운동 순국열사 기념비] |
관련인물 | 김복암|김종준|이천석|유영상|안호근|임태복|김성동|강수홍|김진석 |
재질 | 화강암 |
높이 | 김복암 순국충령비 110㎝|김종준묘비 90㎝|이천석 비 69㎝|유영상비 87㎝|안호근비 80㎝|임태복비 82㎝|김성동 묘비 66㎝|강수홍비 120㎝|김진석비 158㎝|3·1운동 순국열사 기념비 195㎝ |
너비 | 김복암 순국충령비 33㎝|김종준묘비 38㎝|이천석비 20㎝|유영상비 22㎝|안호근비 26㎝|임태복비 23㎝|김성동묘비 22㎝|강수홍비 30㎝|김진석비 61㎝|3·1운동 순국열사 기념비 35㎝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583[등기산길 42] |
소유자 | 미상 |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등기산 정상 공원에 있는 6·25전쟁 참전병 추모비와 3·1운동 기념비 등의 비석군.
[건립경위]
비석은 모두 10기로 개인을 추모하는 추모비가 9기이고, 3·1운동 기념비가 1기이다. 6·25전쟁 때 소년병으로 참전하여 순국한 인물들을 추념하는 비석과 3·1운동을 기념하는 비석을 한 자리에 모아 그 정신을 기리고자 하였다.
[형태]
1기는 독립된 비좌를 갖추고 있으나, 7기는 ‘ㄱ’자 형태의 2단 시멘트 단 위에 비좌를 갖추거나 없이 고정되었으며, 1기는 흙담을 두르고 별도로 건립되었다. 3·1운동 기념비는 그 옆에 별도로 건립되었다. 비석은 비좌를 갖춘 것도 있으나, 대부분 비좌 없이 2단의 시멘트 단 위에 고정했으며, 형태는 화강암으로 제작한 월두형·사각형·아치형 등이 있다. 이 비석들을 북쪽에서 남쪽으로 배열된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김복암 순국충령비(金福岩殉國忠靈碑)
월두형 비석으로 화강암으로 제작된 독립된 비좌 위에 비신이 있다. 비석의 규모는 비신 높이 110㎝, 너비33㎝, 두께 23.5㎝이며, 2단의 비좌는 높이 19㎝, 가로 95㎝, 세로 51㎝이다.
비신의 가운데를 아치형으로 깎아 홈을 내고 가운데에 글자 크기 6×5㎝로 ‘고육군이등상사김복암순국충령비(故陸軍二等上士金福岩殉國忠靈碑)’라는 글을 새겼다. 옆면에는 ‘단기사이팔팔년칠월십오일건립(檀紀四二八八年七月十五日建立)’이라고 새겨져 있어 이 비석이 1959년 7월 15일에 건립된 것을 알 수 있다. 뒷면에는 글자 크기 4×4㎝로 김복암의 행적을 새겼다.
김복암은 1935년 2월 8일에 출생하여 1950년 12월 20일에 사망하였다. 6·25전쟁 때 소년병으로 참전하여 육군 5사단 소속 일등상사로 복무하던 중 경상북도 영주지구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2. 처사 김종준 묘비(處士金鍾俊墓碑)
월두형 비석으로 화강암으로 제작된 비신과 비좌를 갖추고 시멘트 단 위에 고정되었다. 비석의 규모는 비신 높이 90㎝, 너비 38㎝, 두께 13㎝이며, 비좌는 가로 51㎝, 세로 27㎝, 높이 5㎝로 전체 높이는 95㎝이다.
앞면에 글자 크기 7×6㎝로 ‘처사김공종준지묘(處士金公鍾俊之墓)’라고 새겼다. 뒷면에는 글자 크기 3×3.5㎝로 김종준의 생몰년과 임술년 6월 11일에 비를 건립한 사실을 새겼다. 김종준은 1888년 9월 9일에 출생하여 신축년 5월 22일에 사망하였다.
3. 육군 특무상사 이천석비(陸軍特務上士李千石碑)
귀접이를 한 비석으로 화강암으로 제작되었으며, 비좌 없이 시멘트 단 위에 고정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비신 높이 69㎝, 너비, 20㎝, 두께 10㎝이다. 앞면에 글자 크기 5×6㎝로 ‘육군특무상사이천석비(陸軍特務上士李千石碑)’라 새겼고, 옆면에는 글자 크기 2×3㎝로 단기 1929년 4월 2일에 출생한 사실을 새겼다.
4. 육군 이등중사 유영상비(陸軍二等中士劉永相碑)
월두형 비석으로 화강암으로 제작되었으며, 비좌와 함께 시멘트 단 위에 고정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비신 높이 87㎝, 너비 22㎝, 두께 12㎝이며, 비좌는 가로 42㎝, 세로 30㎝, 높이 13㎝로 전체 높이는 100㎝이다.
앞면에 글자 크기 6×7㎝로 ‘고육군이등중사유영상지비(故陸軍二等中士劉永相之碑)’라 새겼고, 뒷면에는 글자 크기 3×4㎝로 유영상의 행적을 새겼다. 비석의 건립 연대는 1953년 3월 15일이다. 유영상은 평해중학교를 졸업하고, 1951년 1월 9일 강원도 양구지구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5. 육군 일등중사 안호근비(陸軍一等中士安好根碑)
월두형의 비석으로 화강암으로 제작되었으며, 비좌와 함께 시멘트 단 위에 고정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비신 높이 80㎝, 너비, 26㎝, 너비 10㎝이며, 비좌는 가로 40㎝, 세로 45㎝, 높이 12㎝이다.
앞면에 글자 크기 6×6㎝로 ‘고육군일등중사안호근비(故陸軍一等中士安好根碑)’라 새겼고, 뒷면에는 글자 크기 3×2㎝로 안영근의 행적과 1954년 3월 13일 동생인 안춘근, 안현일과 친족들이 비를 건립한 사실을 새겼다. 안영근은 1924년 1월 8일에 출생하여 6·25전쟁에 참전하여 문경지구 전투에서 순직하였다.
6. 육군 이등상사 임태복비(陸軍二等上士 林泰福碑)
비석의 윗부분 모서리를 凸자 형태로 깎아냈으며, 화강암으로 제작되었다.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고정하였다. 비신 앞면 글자 새기는 부분은 홈을 냈다. 비석의 규모는 비신 높이 82㎝, 너비 23㎝, 두께 12㎝이다.
앞면에 글자 크기 6×5㎝로 ‘고육군이등상사임태복지비(故陸軍二等上士林泰福之碑)’라 새겼고, 뒷면에는 글자 크기 2.5×2㎝로 임태복의 행적을 새겼다. 임태복은 1906년 5월 7일에 출생하여 6·25전쟁에 참전하여 강릉지구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7. 유학 김성동 묘비(幼學金聲東墓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비좌와 비신을 갖춘 비석이다. 비석의 윗부분 귀퉁이를 세운 아치형 형태를 하고 있다. 비석의 규모는 비신 높이 66㎝, 너비 22㎝, 두께 14㎝이다. 앞면에 글자 크기 5×5㎝로 ‘유학안동김공성동지묘(故幼學安東金公聲東之墓)’를 새겼으며, 뒷면에는 글자 크기 2×2㎝로 생몰년과 1954년 5월 9일 아들 운현이 비석을 건립한 사실을 새겼다. 김성동은 병진년 4월 17일에 출생하여 계사년 12월 22일에 사망하였다.
8. 강수홍비(姜壽洪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사각형 비석으로 윗부분의 네 귀퉁이를 깎아냈다. 비석의 규모는 비신 높이 120㎝, 너비 30㎝, 두께 30㎝이다. 앞면에 글자 크기 8×9㎝로 ‘고강수홍공지비(故姜壽洪公之碑)’를 새겼고, 뒷면과 옆면에는 글자 크기 3×4㎝로 강수홍의 생몰년과 행적을 새겼다. 비석의 건립 연대는 병술년 11월이다.
강수홍은 1895년 울산군 방어진읍 방어리에서 출생하였다. 임성회사 직원으로 근무하던 1945년 7월 14일 후포에서 부산으로 가던 ‘제19신생환’에 승선했다가 영덕군 축산동 앞 해상에서 미군 공습으로 배가 침몰하여 사망하였다.
9. 만은 김진석비(晩隱 金鎭錫碑)
비석은 남쪽을 튼 높이 1m, 둘레 20m 정도의 둥근 흙 담 안에 있다. 凸자 형태로 윗부분 귀퉁이를 깎아냈다. 화강암으로 제작되었으며 비좌가 있다. 비석의 규모는 비신 높이 158㎝, 너비 61㎝, 두께 18㎝이다. 앞면은 깊이 2㎝로 깎아낸 후 글자 크기 13.5×10㎝로 ‘만은처사안동김공진석지비(晩隱處士安東金公鎭錫之碑)’를 새겼고, 옆면과 뒷면에는 글자 크기 2×3㎝로 비문을 새겼다. 비문은 황상용(黃尙龍)이 지었으며, 갑오년 정월 17일에 건립하였다.
10. 3·1운동 순국열사 기념비
3단의 시멘트 단 위에 세운 화강암 비석이다. 4각형의 기둥 모양으로 위쪽 끝 4면을 깎아 뾰족하게 하였다. 앞면과 뒷면은 홈을 파고, 그 둘레는 가공하지 않았다. 비석의 규모는 비신 높이 195㎝, 너비 35㎝, 두께 35㎝이고, 비좌는 가로 57㎝, 세로 59㎝, 높이 23㎝이다. 앞면에는 글자 크기 12×12㎝로 ‘기미년삼일운동순국열사기념지비(己未年三一運動殉國烈士記念之碑)’를 새겼다. 뒷면에는 글자 크기 3×3.5㎝로 1946년 5월 25일 후포동지회 20명이 비를 건립한 사실을 새겼다.
[현황]
비석들은 현재 시멘트 단의 가운데 부분이 파손되어 있으나, 공원 내에 있어서 잘 관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