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
-
경기도 광명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하여 만든 선사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으로 작은 돌이 큰 돌을 괴고 있다는 뜻의 괸돌에서 유래하였다. 이를 ‘지석묘(支石墓)’라고도 한다. 고인돌은 거의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유럽, 지중해 연안, 인도, 동남아시아, 일본 구주 지방, 중국 동해안 지역과 동북 지방, 그리고 한반도 등 광...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가학동 고인돌군은 광명시 가학동 산102-1번지, 산104번지 일대 벌말마을의 뒤쪽 산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고인돌의 분포 상황은 서쪽 끝에 탁자식 고인돌이 있고 동쪽으로 5기의 고인돌이 거의 동서 방향으로 놓여 있다. 가학동 고인돌군은 낮은 구릉의 정상부에 있고 형태는 탁자식이다. 고인돌의 덮개돌은 타원형과 삼각형 두 종류이며...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청동기시대의 대표적 묘제인 가학동 지석묘는 북방식의 탁자식 고인돌이다. 예전에 이곳에서 학들이 놀았다 하여 가학동이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하며, 장수바위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1960년대까지 마을 사람들의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광명사거리에서 안산 방면의 벌말 뒤쪽 산 정상부인 터골산과 북쪽의 나...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철산동 지석묘는 광명시 철산동 222-1번지[시청로 20]에 있다. 철산동 지석묘는 본래 광명시 철산동 462-33번지에서 확인된 고인돌이나 현재는 광명시민회관 경내로 옮겨져 있다. 철산동 지석묘의 형태는 강화도 삼거리에 있는 3호 고인돌과 매우 유사한 모습이다. 두 개의 굄돌이 덮개돌을 받히고 있는 전형적인 탁자식[과거에는 북방식으...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하안동 고인돌은 광명시 하안1동 산 168-7번지 일대로, 광명시 하안1동, 하안2동, 하안3동의 경계 지점에 있는 산 능선 끝자락의 완만한 지형에 있다. 하안동 고인돌은 남북으로 흘러내린 산 능선에 위치해 있는데, 고인돌의 긴 방향이 바로 산 능선의 흐름과 일치하고 있다. 현재의 모습으로 보면 개석식 고인돌로 판단되며, 고인돌의...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채석장. 가학동 노리실 고인돌 채석장은 노리실마을에 있는 광명새마을주말농장에서 북동쪽 끝 부분에 있는 소로를 따라 약 100m를 지나면 완만한 산 능선에 있다. 발견된 석재들의 전체적인 형태는 타원형과 장방형의 네모꼴이 많고, 크기는 200×124×32㎝, 180×140×75㎝, 149×77×15㎝ 등 다양한 크기가 발견된다. 가학동...
유물산포지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삼국시대~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가학동 유물산포지는 광명 지역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유물산포지이다. 2007년 현재까지 33곳에서 전통 시대의 생활 유물들이 수습되었다. 광명시 가학동 장터말마을, 노리실마을, 공세동마을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가학동 유물산포지에서는 주로 토기류와 자기류, 그리고 기와편들이 발견되었다. 광명시 가학동 장터...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고려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광명시 철산3동 광덕산 근린공원에 설치된 체육 시설물 주변에서 고려시대 이후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이 발견되었다. 광덕산 유물산포지에서는 토기와 자기류, 그리고 기와편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광덕산 유물산포지에서 발견된 토기류는 옹기의 밑 부분인데, 남아 있는 조각으로 보아 몸통은 굽에서 급하게 올라가며, 몸통과 굽을...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에 있는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광명동 삼리 마을회관에서 동쪽으로 100미터 떨어진 산 능선 아래쪽 밭에서 많은 양의 토기와 자기편, 기와편 들이 확인되었다. 유물들이 산포된 면적은 대략 661㎡이며, 유물의 성격으로 보아 조선시대 생활 유적이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광명동 유물산포지에서 수습된 토기류는 회백색을 띠는 연질토기 입술 조각 및 겉면과 안쪽면...
-
경기도 광명시 광명5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광명시 광명사거리를 지나 오류동 방향으로 건너가는 천왕교 남쪽에 너부대 유물산포지가 있다. 이곳에는 너부대근린공원이 원형에 가까운 남북으로 약간 긴 낮은 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정상부를 중심으로 각종 체력 단련 시설이 있으며 구릉의 주변부에는 산책로가 개설되어 있다. 너부대 유물산포지의 유물은 구릉의 정상부와 남쪽...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노온사동 유물산포지는 광명시 노온사동 34번지 일대에 자리 잡고 있다. 광명시 노온사동 일대에서 청동기시대~조선시대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노온사동은 광명시에서 가학동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양의 토기류와 자기류, 기와류 등의 유물들이 확인된 지역이다.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가 수습된 지역은 새터말마을 입구에서 왼쪽에 있...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광명시 소하2동 341-1번지, 342번지 일대와 소하2동 367~370번지, 377-1~3번지 일대에 걸쳐 소하동 유물산포지가 분포하고 있다. 광명시 소하2동에서 조선시대 토기, 자기, 기와 조각들이 확인되었다. 소하동 유물산포지는 설월리마을 서쪽에 위치한 금강정사 앞에 있는 밭이다. 이곳에서는 회청색과 회백석을 띠는 연질토기...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에 있는 삼국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옥길동 유물산포지는 광명시 옥길동 98-2번지와 옥길동 18-2번지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광명시 옥길동 두길리마을과 식골마을 일대에서 많은 양의 토기와 자기, 그리고 기와류 등이 수습되었다. 토기류는 경질과 연질의 토기가 골고루 섞여 있는 몸통 조각들이 수습되었다. 무늬는 주로 격자문이 새겨져 있으며 안쪽 면에서는 손놀...
-
경기도 광명시 하안2동에 있는 고려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철망산 유물산포지는 광명시 하안2동 산19-10~12, 21~24-15번지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광명시 하안2동 시립도서관 남서쪽에 해발 85m의 철망산이 있다. 철망산의 평면 형태는 동서축이 조금 긴 형태로, 정상은 뾰족한 모습이다. 유물들은 대개 철망산 동쪽 능선 상에서 수습되었다. 수습된 유물은 조선시대 것으로...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에 있는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광명시 하안1동 343~346번지와 하안1동 3517번지 일대에 걸쳐 있다. 하안동 유물산포지는 광명시 하안1동 안터마을과 도덕산 남서쪽 계곡부 하단부에 걸쳐 있다. 안터마을에서 범일마을로 가는 왼쪽 산 능선 아래 밭에서 수습된 유물은 조선시대 것으로 보이는 토기류와 자기류 조각들이다. 유물이 산포되어 있는 면적은 1,652.8㎡...
능묘·비
-
경기도 광명 지역에 있는 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에 이르는 고대 무덤. 광명시의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의 고대 무덤은 청동기시대 고인돌 외에 삼국시대 무덤인 고분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광명 지역이 한강 이남의 주요 교통로이며 현재의 안양천에 인접한 지역임을 감안하면 차후 유적의 발견성은 높다고 추정된다. 광명 지역의 고분은 고인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청동기...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조선시대 금천강씨 문중의 묘역. 금천강씨는 고려 창건 개국공신으로 삼한벽상공신이 된 강궁진(姜弓珍)이 태조왕건으로부터 본관을 금주로 하사받은 사성(賜姓)이다. 이후 금주가 금천(衿川)으로 지명이 변경되어 금천강씨가 되었다. 강궁진의 고조인 강여청(姜餘淸)을 시조로 하고 있으나, 강궁진을 1세로 이어진다. 강궁진은 고려 명장 강감찬(姜邯贊)[948~10...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강석기의 신도비. 신도비는 임금이나 종2품 이상 벼슬아치의 무덤 아래쪽에 세운 석비를 말한다. 강석기(姜碩期)[1580~1643]는 조선시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금천(衿川)이다. 금천현 서면 노온사리[현 광명시 노온사동·학온동]에서 태어났다. 자는 복이(復而), 호는 월당(月塘)·삼당(三塘)이다. 일찍이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 들어...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공세골에 있는 조선 후기 문화유씨 문중의 묘역. 문화유씨 묘역에는 유성구(柳聖龜) 등이 안장되어 있다. 유성구(柳聖龜)는 자가 원명(元明)이고 1620년에 출생하여 38세인 1657년(효종 8)에 진사시에 3등 26위에 입격하였다. 유경익(柳敬益)[1639~?]은 유성구의 아들로 자가 여숙(汝肅)이며, 35세인 1673년(현종 14) 진사에 2등 19위로 입격...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전주이씨 익녕군파 문중의 묘역. 전주이씨 묘역은 이원익(李元翼)의 종손인 이승규[전 연세대학교 의대교수]가 이원익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의 묘역에 그의 선조와 후손의 묘소를 이장하여 조성한 묘역이다. 여기에는 이원익의 묘소를 비롯하여 이정은(李貞恩), 이의전(李義傳), 이수약(李守約), 이증현(李曾賢), 이상현(李象賢), 이존도(李存道), 이인복(李仁復...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장터말에 있는 창녕성씨 문중의 묘역. 창녕성씨 묘역에는 성종영(成鍾永)[1827~1890], 성낙유(成樂游)[1865~1925], 성희경(成禧慶)[1884~1961], 성기석(成基錫)[1919~1990] 등 모두 4기의 무덤이 조성되어 있다. 그중 성종영은 돈녕부도정을 지낸 인물이다. 성기석은 성종영의 5세손인데, 1940년 조선방송국(朝鮮放送局) 단파 사건을...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가학골에 있는 조선 전기 평해구씨 문중의 묘역. 평해구씨 묘역은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가학골 뒷산에 자리하고 있으며, 지방도 351호선과 지방도 397호선을 잇는 포장 소로와 바로 인접해 있다. 평해구씨 묘역에는 모두 4기의 무덤이 있는데, 구치곤(丘致崑)의 무덤을 중심으로, 우측 아래쪽에는 구차숭(丘次崇)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무덤 1기가 있고, 위쪽으로 능선...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일원에 분포한 조선시대 묘역. 조선시대 민묘로 피장자는 누구인지 알 수 없다. 주변에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의 토기와 자기, 와편 등의 생활 유적이 산포되어 있다. 가학동 고묘군은 두 곳에서 발견된다. 첫 번째 지역은 가학동 산223번지와 산224번지 일대로 학온동사무소 맞은편 동쪽 산 정상부에서 등산로를 따라 남쪽으로 약 100m를 지나 완만...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에 있는 조선시대 묘역.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민묘이며 주변의 광명 차량 기지 주위와 옥길리주유소 부근에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자기편 및 도기편, 기와편이 산포하고 있다. 옥길동 고묘군은 옥길동 두길리마을에 있는 광명YWCA 건너편의 동서 방향으로 뻗은 완만한 능선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유물 산포 지역은 고묘의 동쪽에 위치한 지하철 7호선 광명 차량...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구차숭의 묘소. 구차숭(丘次崇)은 본관이 평해(平海)이며, 병조참의를 지낸 구춘보(丘春甫)의 아들이다. 대사헌 구치곤(丘治崑)의 아버지이며 구종직(丘從直)의 당숙이다. 1442년(세종 24) 영해부사(寧海府使)를 거쳐 1451년(문종 1) 예빈시판사(禮賓寺判事)를 역임하고 첨절제사(僉節制使)에 이르렀다. 아들 대사헌 구치곤에 의해 병조판...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구치곤의 묘소. 구치곤(丘致崑)은 본관이 평해(平海)이며, 증조부는 구천우(丘天雨), 조부는 병조참의를 지낸 구춘보(丘春甫), 아버지는 영해부사(寧海府使)와 예빈시판사(禮賓寺判事)를 역임한 구차숭(丘次崇)이다. 외조부는 김윤(金贇), 장인은 조후지(趙厚之)이다. 1464년(세조 10) 진사로서 식년 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였고, 1479년(...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권형의 묘소. 권형(權詗)[1541~1605]은 본관이 안동(安東), 자는 중오(中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치(權錙), 할아버지는 권식(權湜),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권침(權琛)이다. 외조부는 김석보(金碩輔)이다. 부인은 변훈남(卞勳男)의 딸이다. 1568년(선조 1)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수학하던 중 목청전참봉(穆淸殿參奉)에 제...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자경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김대성의 묘소.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자경리는 광산김씨 돈녕공파와 소봉공파 후손 50여 세대가 집성촌을 이루고 살던 마을이었으나 후에 덕안리, 궁촌, 새터말 등이 새로 형성되면서 90여 호의 마을을 이루었다. 1950~1960년대에는 새마을운동, 4H 활동을 통하여 지붕 개량, 부엌 개선, 협동조합을 설립하고 공동 상점, 정미소,...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소현세자의 빈 강씨의 묘소. 광명 영회원(永懷園)은 인조와 인열왕후 한씨 사이에서 태어난 제1왕자인 소현세자의 빈 강씨의 묘소이다. 강씨의 본관은 금천이고, 시호는 민회빈(愍懷嬪)이다. 경기도 광명시에서 우의정 강석기(姜碩期)와 고령신씨(高靈申氏) 사이에서 5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1627년(인조 5) 9월에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이발의 묘. 이발(李潑)[1544~1589]은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기축옥사에서 모반에 가담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고문을 받다가 세상을 떠났다. 이때 82세의 노모와 8세 아들도 형벌 끝에 죽음을 당하였는데, 형 이급(李汲), 아우 이길(李洁)도 죽음을 당하였다. 당시 노모는 형벌이 너무 지나치다며...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이순신의 묘소. 임진왜란 때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장군과 함께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운 무신 이순신(李純信)[1554~1611] 장군의 묘소이다. 이순신은 본관이 전주, 자는 입부(立夫)이다. 양녕대군의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생원 이귀달(李貴達)이며, 아버지 이진(李眞)과 어머니 복주김씨 사이에서 금천(衿川)[지금의 광명시...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전기 종친 이억재의 묘소. 이억재[1503~1585]는 본관이 전주, 자는 대년(大年)이다. 할아버지는 태종의 손자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이며, 아버지는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이다. 어머니는 국자생원(國子生員) 조경(趙璟)의 딸이다. 부인 우씨와 혼인하였으나 자식이 없었고, 뒤에 감찰 정치(鄭錙)의 딸과 혼인하여 2남 1녀를 낳았는데...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이원보의 묘소. 이원보(李元輔)[1530~1589]는 본관이 전주(全州), 자는 백익(伯益)이다. 태종의 손자 수천군(秀泉君) 이정은의 증손자이며, 할아버지는 청기군 이표(李彪)이다. 할머니는 국자생원 조경의 딸이다. 어머니는 감찰 정치(鄭錙)의 딸이며, 부인은 별제 최업(崔嶪)의 딸로, 6남 2녀를 낳았다. 동생은 영의정을 지낸 문충공...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원익의 묘소 및 신도비. 이원익(李元翼)[1547~1634]의 본관은 전주, 자는 공려, 호는 오리, 시호는 문충이다. 한성부 유동(楡洞) 천달방(泉達坊)에서 태어났다. 태종의 아들 익녕군(益寧君) 이치(李礻+多)의 4세손이며 수천군 이정은(李貞恩)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표(李彪)이고, 아버지는 이억재(李億載)이며, 어머니는 동래정...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밤일마을에 있는 조선 전기 왕족 이효성의 묘소. 조선 전기의 왕족이며 공신인 이효성(李孝誠)[1445~1517]은 본관이 전주(全州), 시호는 공소(恭昭), 양명(襄明)이다. 할아버지는 정종이고 아버지는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이며, 어머니는 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 이종무(李從武)의 딸이다. 부인은 전씨이다. 형제인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 부...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동만의 묘소. 정동만(鄭東晩)[1753~1822]의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고(友古), 호는 졸암(拙庵)이다. 아버지는 대사간을 지낸 정계순이며, 아들은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다.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고 1804년(순조 4) 경릉참봉(敬陵參奉)이 되어 경기도 고양군에 나갔으며, 1807년에 의영고봉사(義盈庫奉事)가 되...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동만의 묘갈. 정동만(鄭東晩)[1753~1822]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고(右古), 호는 졸암(拙庵)이다. 아버지는 대사간(大司諫) 정계순(鄭啓淳)이다. 1786년(정조 10)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후 1804년(순조 4) 경릉참봉(敬陵參奉)에 임명되어 경기도 고양군에 나갔으며, 1807년(순조 7) 의영...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문신 정원용의 묘소. 정원용(鄭元容)[1783~1872]은 1802년(순조 2)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가주서를 거쳐 예문관검열, 홍문관부응교, 이조참의, 대사간, 강원도관찰사 등을 지내다가 1831년 동지사로 청나라 연경에 다녀왔다. 1837년(헌종 3) 예조판서에 오르고 이어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중추부판사가 되었다가 1848년 영...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개항기 정원용의 묘갈. 정원용 묘갈은 1872년 정원용(鄭元容)의 사후, 일찍이 준비해 놓은 구름산 아래 주봉(珠峯) 갑좌(甲坐) 아래에 먼저 별세한 정경부인 강릉김씨와 합장한 묘역에 맏아들인 정기세(鄭基世)가 주도하여 묘 앞에 세운 것이다.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 산178-6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서울~안산 간 국도 상행선 방향이다. 광명IC 진입로...
사당·고가
-
경기도 광명시 학온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설계조의 재실. 경모재는 순창설씨 옥천부원군 설계조(薛繼祖)[1418~1486]를 배향하고 경모하기 위해 창건된 재실로, 약 300년 전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진다. 설계조는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아버지는 창덕궁직장(昌德宮直長) 설훈(薛纁)이며, 어머니는 고령신씨로 신숙주의 고모이다. 1443년(세종 25)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1453(단종 1...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김응수의 사당. 영모재(永慕齋)는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김응수(金應壽)[1567~?]의 공덕을 기리고, 이를 추모하기 위하여 후손들이 건립한 제사용 건물이다. 재실(齋室), 또는 재사(齋舍), 사당(祠堂)이라 부르기도 하며, 가장 중요한 목적은 제의(祭儀) 기능이나, 제사에 필요한 도구와 각종 물품을 보관, 관리하는 역할도 한다. 온신초등...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이원익의 사당. 이원익(李元翼)의 본관은 전주, 자는 공려(公勵), 호는 오리(梧里)이다. 태종의 아들 익녕군(益寧君) 이치의 현손(玄孫)으로, 아버지는 이억재이다. 1569년(선조 2)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판서, 이조판서, 영의정 등을 지냈으며, 조선시대 대표적인 청백리로 유명하다. 1630년(인조 8)에 2칸 초가인 이원익의 집에...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이원익의 종가. 오리 이원익 종택은 조선 선조~인조 때 영의정을 지냈고,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이 높던 오리 이원익(李元翼)의 종가이며, 관감당(觀感堂)은 1630년(인조 8) 인조가 경기감사에게 명하여 이원익에게 지어준 집이다. 이원익은 태종의 12번째 아들 익녕군(益寧君)의 4세손으로 선조, 광해군, 인조 3대에 걸쳐 영의정을 지...
건물터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사찰 터. 노온사 터는 노온사동(老溫寺洞)에 있던 절터로 마을의 명칭은 노온사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마을의 이름은 원노온사동, 노온절, 노온절리, 노온사리, 논사리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며 모두 사찰명과 유래하여 불리고 있다. 노온사동은 원래 큰말마을, 대말마을이 현재 마을에서 서남쪽 70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터.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에 역대 명현을 모시고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함께 지닌 지방의 사설 교육 기관이라 할 수 있다. 공간적으로는 전학후묘의 배치를 지니고 있으며, 인재 양성과 유교적 향촌 질서의 구심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서원은 붕당의 정치적 이해를 지닌 역기능도 지니고 있었다. 1865년(고종 2)부터 흥선대원군은...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에 있는 조선시대 건물지. 하안동 건물지가 지닌 변화 과정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밤일마을 입구로 들어가는 길목의 밭 경작지로, 인위적 훼손이 심하며 현재 진행 중인 마을의 재개발과 연관하여 주변의 지형 또한 변화가 예상된다. 하안1동 안터마을 남쪽에 위치한 물류 창고 단지 뒤편 주말농장과 밤일마을로 가는 소로를 따라 50m 지점의 길을 중심으로 동서 양쪽의 경...
기타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적의 습격에 대비하여 흙이나 돌로 구축한 방어 시설. 성곽이란 성(城)과 곽(郭)의 합성어이다. 성은 내성을 말하고 곽은 성의 주위를 에워싼 나성의 형태로 우리나라는 내성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을 성곽으로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성곽은 기능에 따라 도성(都城)과 장성(長城), 읍성(邑城), 산성(山城) 등 다양하게 구분을 한다. 도성은 왕궁의 도읍지...
-
경기도 광명시 도덕산(道德山)에 있는 백제시대의 보루(堡壘). 도덕산 보루군은 도덕산성으로 알려진 유적이다. 1977년의 조사에 따르면 둘레 700m 정도의 토석축(土石築)으로, 삼국시대 산성지(山城址)라 보고되었다. 그러나 1986년의 조사에서는 도덕산[198m] 성지(城址)로 삼국시대 후기의 백제 유적과 함께 성지나 봉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2003년의 조사에...
-
경기도 광명 지역의 3.1운동을 기념하기 위하여 만세 운동이 벌어진 옛 노온사리 주재소[현 온신초등학교] 자리에 세운 기념비. 3.1독립만세운동 광명지역 발상지 기념비가 세워진 온신초등학교 자리는, 일제의 강권적인 식민지 통치에 항거하여 일어난 1919년 3.1운동 시기 광명 지역에서 독립만세운동의 기치를 처음 올려 민족혼을 빛낸 곳이다. 광명 지역의 3.1운동은 1919년 3월...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에 있는 호국 유공자 공적비. 2008년 2월 광명시에서는 호국의 정신을 널리 알리고, 그 빛나는 업적을 영원히 기리며, 후손들에게 불굴의 용기와 참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기상을 심어주기 위한 교육의 장으로서 전국 최초로 4개 보훈 단체 통합 광명시 호국유공자공적비를 건립하였다. 제막식은 2008년 2월 1일 광명시장, 시의회 의장 및 보훈 4단체장, 시민...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충현박물관 내에 있는 바위. 바위 위에서 거문고를 빠르게 연주했다 하여 탄금암(彈琴岩)이라 하며, 바위 측면에 ‘탄금암(彈琴岩)’이라고 새겨져 있다. 후손들에 의하면 이 바위는 오리 이원익(李元翼)[1547~1634]이 생전에 거문고 연주를 즐겼던 곳이라고 전한다. 오랜 세월 탄금암이라 전해진 것으로 볼 때 이원익 생전에 글자를 새겼을 것이라 여겨진다. 충현...
-
경기도 광명시 철산2동에 있는 호국 영령들의 명복을 빌고 광명시민들의 애국·애향 정신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탑. 현충탑은 나라가 위험에 처해 있을 때 겨레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거룩한 희생을 기리고 자유를 수호하기 위한 선열들의 애국과 희생정신을 후대에 전하고자 1988년 8월 25일 시민의 뜻을 모아 건립하였다. 현충탑은 광명시 철산2동 산153번지 현충근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