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돌아가신 조상이나 특정한 신명(神明)을 받들어 복을 빌기 위해 행하는 추모 의례. 사례(四禮) 중 하나인 제례는 신령에게 술과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의식을 말한다. 제례는 전통적으로 하늘에 대한 제천 의례, 일월성신(日月聖神)이나 산천에 드리는 의례, 종묘와 사직을 숭배하는 왕실 의례, 마을 공동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대동제, 개인...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설과 추석 등의 명절이나 한식 때 조상께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 차례는 원래 다례(茶禮)라고 하여 문자 그대로 다(茶)를 행할 때의 모든 예의범절을 뜻하는 말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다례라 하면 옛날 궁중의 다례나 불교의 다례 등을 뜻하는 말이고,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俗節祭)를 가리킨다. 차례는 차사(茶祀)라고 하는데, 조선시대의 의례서에 의하면 정식...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설과 추석 등의 명절이나 한식 때 조상께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 차례는 원래 다례(茶禮)라고 하여 문자 그대로 다(茶)를 행할 때의 모든 예의범절을 뜻하는 말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다례라 하면 옛날 궁중의 다례나 불교의 다례 등을 뜻하는 말이고,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俗節祭)를 가리킨다. 차례는 차사(茶祀)라고 하는데, 조선시대의 의례서에 의하면 정식...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광명시 평생학습원 소속 점토 공예 동아리. 동심속으로는 미술을 어려워하고 자신감 없는 사람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상상하는 모든 것을 만들 수 있으므로 상상력, 창의력을 키워준다. 점토는 다루기 쉬워서 초보자도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들 수 있고, 사실적 표현이 가능하므로 사물에 대한 관찰력이 생긴다. 특히 손으로 만드는 것이라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고,...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개구릿과에 속하는 양서류.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종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우점종에 해당하는 개구리로, 식용이나 사료로 쓰이며 실험동물로도 활용된다. 거의 전국에 걸쳐 논과 밭, 강과 하천 및 저수지와 웅덩이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개발과 산업화에 밀리고, 농약 사용과 비닐하우스 증가, 농경지...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바위겟과의 갑각류. 우리나라와 중국 등지에 오래전부터 살았던 기록이 남아 있다. 실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강원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참게가 잡힌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수산 자원을 집대성한 『자산어보(玆山魚譜)』에는 참궤라 하여 형태와 게를 잡는 방법까지 기록되어 있다. 이 외에도 『규합총서(閨閤叢書)』나 『전어지(佃漁志)』에도 참게...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상수리나무는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 등지를 포함한 전국 대부분의 산림과 숲 자락, 민가 주변 농경지와 임산지의 경계부, 산정 인근의 양지 등에 집단으로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참나무속 중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제 수고(樹高)도 높다. 아울러 지하고(枝下高)가...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섣달 납일(臘日)에 참새를 잡는 풍속. 일반적으로 참새잡이는 음력 12월 납일에 땔감을 준비하면서 참새를 잡아먹는 세시풍속이다. 동지로부터 셋째 ‘미(未)’일을 ‘납(臘)’일이라고 한다. 납일의 참새고기는 맛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가 먹으면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해서 납일에 새를 잡으려고 애를 쓴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납일에 참새를 잡아...
-
경기도 광명시 광명3동에 있는 어르신 사회봉사 단체. 광명은빛봉사단은 고령 사회를 대비하여 어르신들의 역할을 증대시킴으로써 적극적인 봉사 활동과 사회 참여를 유도하고 시대적인 문제 해결에도 앞장서는 등 문화 시민으로의 활동과 생산적인 노후 생활을 영위하여 사회 통합을 가져오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광명종합사회복지관은 고령 사회를 대비하여 어르신들의 역할을 증대하기 위하여 19...
-
경기도 광명시에서 활동하는 실버 댄스 동아리. 나이야가라는 스포츠댄스를 통한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신체 활동으로 건강을 유지하고 생활의 즐거움과 활력을 높여 생산적인 삶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잔존 능력을 개발하여 공연 봉사단으로 재조직화하고 배우며 봉사하는 자원봉사로 사회 통합을 이루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004년 4월 어르신들의 건강한 여가 선용과 즐거운 노후 생활을 위...
-
경기도 광명시에서 생산되는 박과의 1년생 덩굴식물. 참외는 박과의 1년생 덩굴식물이다. 익은 열매를 식용으로 하고, 익지 않은 열매는 최토제(催吐劑)로 쓰기도 한다. 성환참외·강서참외 등은 우수한 재래종이며, 이 밖에도 감참외·사과참외 등 다수의 재래종이 있다. 참외의 원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얕게 갈라지며...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유두 때 참외를 수확하기에 앞서 고사를 지내는 풍습. 풍농(豐農)에 대한 희구와 농작물 관리에 대한 관심이 큰 지역에서는 유두부터 칠석까지 농한기이자 농작물이 성장하는 시기에 농신제(農神祭)를 지낸다. 농신제는 넓은 의미에서 논밭의 주신인 농신(農神)에게 지내는 제사이지만 제사 시기, 제사 대상, 제사지내는 곳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다. 유두고사, 유두제, 칠석...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유두 때 참외를 수확하기에 앞서 고사를 지내는 풍습. 풍농(豐農)에 대한 희구와 농작물 관리에 대한 관심이 큰 지역에서는 유두부터 칠석까지 농한기이자 농작물이 성장하는 시기에 농신제(農神祭)를 지낸다. 농신제는 넓은 의미에서 논밭의 주신인 농신(農神)에게 지내는 제사이지만 제사 시기, 제사 대상, 제사지내는 곳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다. 유두고사, 유두제, 칠석...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떡갈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 가학산, 서독산, 애기능 주변 야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참나무속 나무 중에서 잎이 가장 크게 성장하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예로부터 음식물과 식재료를 쌀 수 있는 크고 넓으며 위생적으로도 우수한 특성의 잎을 가진 나무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에서도...
-
성인보를 시조로 하고 성춘영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창녕성씨는 창녕성씨 문중의 족보인 『계축보(癸丑譜)』에 따르면 성인보(成仁輔)를 시조로 하며, 묘소는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 맥산 기슭에 있다. 성인보의 3세손 성공필(成公弼)·성한필(成漢弼) 대에 크게 두 계통으로 갈라졌고, 6세손에 이르러 성기(成紀)를 파조로 하는 판서공파(判書公派)를 포함하여 13개...
-
경기도 광명시 창녕성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와 개항기 성학조(成鶴祚)와 성하경(成夏慶)이 발급받은 교지. 창녕성씨 교지는 성학조와 관련된 교지 1점과 성하경[1823~1899]과 관련된 교지 34점 등 총 35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학조의 교지는 1822년(순조 22) 성학조를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임명하는 교지로, 나이 90세가 되어 정식(定式)에 따라 가자(加資)...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장터말에 있는 창녕성씨 문중의 묘역. 창녕성씨 묘역에는 성종영(成鍾永)[1827~1890], 성낙유(成樂游)[1865~1925], 성희경(成禧慶)[1884~1961], 성기석(成基錫)[1919~1990] 등 모두 4기의 무덤이 조성되어 있다. 그중 성종영은 돈녕부도정을 지낸 인물이다. 성기석은 성종영의 5세손인데, 1940년 조선방송국(朝鮮放送局) 단파 사건을...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국악 단체. 창울림회는 회원 간의 친목 도모와 지역 사회 봉사 및 경기 민요를 활성화하고 전통 예술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2004년 3월 이귀례를 명예 회장으로 회장에 강귀분, 총무에 한상희가 선출되면서 설립되었다. 2006년 9월 회원들의 사정으로 활동이 일시 중단되었으나 문하생들이 늘어남에 따라 2009년 11월부터 재정비하여 각종 문화...
-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광명시지부에서 매년 개최하는 음악회. 매년 평균 20회 가량 개최되는 광명시의 찾아가는 음악회는 광명음악도시 만들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행된 사업으로 광명시에서 대중이 모이기 적당한 장소나 문화적으로 소외된 지역을 찾아가며 열리는 음악회이다. 찾아가는 음악회는 보다 수준 높은 공연 단체들에게 공연 기회 제공과 시민들의 문화적 정서를 함양시키기 위한 광명시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편을 나누어 윷을 던져 승부를 겨루는 놀이. 윷놀이는 네 개의 단면이 반달 모양인 가락[또는 알]을 던져서 그것이 나타내는 형상에 따라 말을 움직여 노는 우리나라의 민속놀이이다. 한자어로는 ‘사희(柶戱)’ 또는 ‘척사희(擲柶戱)’라고 한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함께 할 수 있다. 매우 간단한 도구와 단순한 방법으로 놀이를 하지만 놀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큰 자로 작은 자를 치거나 튀기면서 노는 놀이. 자치기는 남자 아이들이 즐겨 하는 놀이로 협동심과 기민한 운동성, 그리고 담력을 키우고 거리감을 인식시키는 민속놀이이다. 큰 자[큰 막대]로 작은 자[작은 막대]를 쳐내고 이를 맨 손으로 받는 놀이이기에 다소 위험성이 따른다. 자치기는 어린이들이 가장 손쉽게 어울려 놀 수 있던 놀이로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큰 자로 작은 자를 치거나 튀기면서 노는 놀이. 자치기는 남자 아이들이 즐겨 하는 놀이로 협동심과 기민한 운동성, 그리고 담력을 키우고 거리감을 인식시키는 민속놀이이다. 큰 자[큰 막대]로 작은 자[작은 막대]를 쳐내고 이를 맨 손으로 받는 놀이이기에 다소 위험성이 따른다. 자치기는 어린이들이 가장 손쉽게 어울려 놀 수 있던 놀이로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천남성은 광명시 전역의 산지, 들판, 계곡, 나무 밑 등 음습한 곳이면 어디서나 관찰할 수 있다. 흔히 사극에서 등장하는 사약의 재료가 되는 독성 식물로 유명하다. 실제 독성이 강해 함부로 섭취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에는 천남성과에 창포, 석창포, 큰천남성, 무늬천남성, 반하, 대반하, 넓은잎천남성, 두루...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극락세계로 보내는 굿. 천도굿은 사람이 죽었을 때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 즉 극락에 보내기 위해 하는 무속 의례이다. 이를 ‘자리걷이’라고도 한다. 자리걷이는 죽은 사람이 오랫동안 앓아누워 있던 자리를 걷어낸다는 의미가 있다. 천도굿은 죽은 자의 저승길을 천도하는 의미와 산 사람은 죽은 자의 자리를 걷어냄으로써 죽음의 현실을 받아들이도록...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자연의 예기치 않은 변동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피해. 자연재해는 수해, 풍해, 한발, 폭설, 지진 등의 급격히 나타난 자연 현상 때문에 입는 재난이다. 이를 천재지변, 기상재해, 기후재난, 자연재앙 등이라고도 한다. 자연재해는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기상재해와 지질재해로 구분할 수 있다. 기상재해는 태풍·홍수·호우·폭풍·해일·폭설·가뭄·냉해·우박·상해와 같이...
-
1990년 집중 호우로 인해 경기도 광명시 일원에서 발생한 수해. 광명시를 휘감아 지나는 안양천과 목감천 주변의 지리적 특성은 저지대에 형성된 자연 마을과 주거 지역이 많다는 점이다. 이런 특성상 태풍을 비롯한 강수량을 증가시키는 자연적인 기상 현상은 광명시의 자연 재해를 촉발하는 원인이 되어 왔다. 1990년도 예외는 아니어서 당시 기록을 보면 피해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의 종교. 천주교는 개신교와 달리 로마 가톨릭교회로서 우리나라에 전래된 후 ‘천주교’ 혹은 ‘가톨릭’이라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조선 후기에는 ‘서학’이라는 이름으로 서양의 학문과 종교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서양에 관심을 가진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면서 신앙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도 생겨났다. 1784년(정조 8)에는 북경에서 영...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음력 5월 5일 단오는 양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설·추석과 함께 3대 명절의 하나이다. 이를 수리, 천중절, 중오절, 단양, 수릿날 등이라고도 한다. 성장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삿날인 단오에는 두 가지의 의미가 담겨 있다. 하나는 모심기가 끝나고 이제 수확은 하늘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고 하여 성장과 증식을 비는 축제라는 것이고,...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다이아몬드공구 제조업체. 천하다이아몬드는 천연석으로 산업용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를 전문적으로 연구 및 개발하여 생산하는 업체이다. 1989년 V.T.R BITE를 양산하면서 천하다이아몬드가 설립되었다. 이듬해인 1990년에 폴리싱기의 개발과 함께 우수 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1992년에는 광명시범공단으로 이전하였다. 1995년에는 "R"(Wavines...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바위겟과의 갑각류. 우리나라와 중국 등지에 오래전부터 살았던 기록이 남아 있다. 실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강원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참게가 잡힌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수산 자원을 집대성한 『자산어보(玆山魚譜)』에는 참궤라 하여 형태와 게를 잡는 방법까지 기록되어 있다. 이 외에도 『규합총서(閨閤叢書)』나 『전어지(佃漁志)』에도 참게...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철기를 도구로 사용하였던 시대의 역사와 문화. 철은 인류가 도시나 국가를 형성한 문명 단계에 들어서면서 개발되기 시작하여 청동기를 잇는 새로운 금속으로 등장하였다. 청동에 비해 철의 원료는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어서 야철(冶鐵) 기술만 습득하면 어디서나 생산이 가능하였다. 이후 강(鋼) 제조 기술이 발명됨으로써 예리한 이기(利器)의 제작이 가능해졌고,...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던 자연마을. 마을 지세가 소의 머리처럼 생겨 소머리라 하였는데 이후 쇠머리를 거쳐 쇠멀로 발음이 변하였고, 쇠멀의 쇠를 ‘쇠 철(鐵)’자로 보고 멀을 ‘뫼 산(山)’자의 고어[메, 말, 멀, 몰은 산의 고어]로 보아 한자로 철산(鐵山)이라 하였다는 설, 마을 지세가 소가 누워 있는 형국이어서 쇠머리라 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지금은 개발되어 그 모양을 잃어...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산.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작은 산으로 국토지리정보원 발행 지도에도 지명과 해발 고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심 공원으로 기능을 발휘하고 있으며, 최근 매년 철망산 철쭉축제를 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철망산 근린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으므로 자연적인 환경으로 생성된 식생이나 동물 분포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람쥐와 청설모, 멧새·딱새...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에 있는 근린공원. 철망산근린공원은 철망산 주변 무허가 건축물 87동 270세대를 철산삼각주지구 내 공동 주택으로 이전시키고 조성한 근린공원으로서, 1987년 12월 24일 건설부 고시 제606호와 2000년 5월 22일 광명시 고시 제1996-131호에 의거하여 근린공원으로 지정되어 조성되었다. 광명시에서 2005년 12월 분수 조성 공사를 시작하여 2006...
-
경기도 광명시 하안2동에 있는 고려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철망산 유물산포지는 광명시 하안2동 산19-10~12, 21~24-15번지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광명시 하안2동 시립도서관 남서쪽에 해발 85m의 철망산이 있다. 철망산의 평면 형태는 동서축이 조금 긴 형태로, 정상은 뾰족한 모습이다. 유물들은 대개 철망산 동쪽 능선 상에서 수습되었다. 수습된 유물은 조선시대 것으로...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 철망산길삼거리에서 하안4동 진성고입구삼거리의 안양천로에 연결되는 도로. 철망산이라는 지명을 따서 철망산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철망산로는 연장 1,006m, 폭 21m, 왕복 4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철망산로는 하안본 1단지·하안본 2단지와 철산주공아파트 2단지·철산주공아파트 3단지에 제1종 지구 단위 계획을 수립하여 재건축이 진행되면서 철망산길을 확장·정비...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과 철산4동을 연결하던 고개. 철미고개는 광덕로가 개통되기 전 광명시 철산동 왕승골과 갠이불 지역을 연결하던 도덕산의 고갯길이었다. 현재 하안1동 가림터널 옆의 가림로 현대아파트 뒷길이 철미고개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철미고개는 도덕산 중턱에 위치하여 논두렁길 대신 철산4동과 하안1동을 다니는 지름길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철미고개는 주민들이 부르는 명칭으로 그...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속하는 행정동. 쇠머리라는 마을 이름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철산(鐵山)이 되었다는 설, 철망산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철산1동은 자연마을인 뱀수를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로, 뱀수는 마을 뒷산 모양이 뱀 머리를 닮아서 붙인 이름이라는 설, 장마철에 뱀이 많이 나와서 붙인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철산동은 고려시대 금천현(衿川縣)에 속했던 지역으로, 금천현은 조...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속하는 행정동. 쇠머리라는 마을 이름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철산(鐵山)이 되었다는 설, 철망산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철산2동은 자연마을인 모세를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로, 모세는 예전 세 개의 연못이 있어 붙인 이름이다. 마을이 연못 서쪽에 있으므로 연서(淵西)라고도 한다. 철산2동 일대에 처음 정착한 성씨로 알려진 여흥민씨가 자손을 얻기 위해 연못 세...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속하는 행정동. 쇠머리라는 마을 이름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철산(鐵山)이 되었다는 설, 철망산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쇠머리마을은 특히 철산3동의 중심 마을이었다. 철산동은 고려시대 금천현(衿川縣)에 속했던 지역으로, 금천현은 조선 건국 후인 1414년(태종 14) 과천(果川)을 병합해 금과현(衿果縣)이 되었다가 두 달 뒤 과천을 다시 설치하면서 금천과...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서 개최하는 청소년 길거리농구대회. 청소년들에게 생활 체육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을 주고 심신 단련과 균형 잡힌 성장에 기여한다는 취지로 2005년 6월 4일 광명시 철산3동 문화의 거리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이후 2008년 5월 24일 두 번째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다. 1차 대회는 2005년 6월 4일 철산중심상업지구 내 문화의 거리에서 16개 팀[중학교...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속하는 행정동. 쇠머리라는 마을 이름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철산(鐵山)이 되었다는 설, 철망산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철산4동의 중심 마을이었던 양수장마을은 예전 농사를 짓기 위해 물을 끌어올리는 양수 시설을 갖춘 곳이어서 붙인 이름이다. 철산동은 고려시대 금천현(衿川縣)에 속했던 지역으로, 금천현은 조선 건국 후인 1414년(태종 14) 과천(果川)을...
-
경기도 광명시 철산4동 일부 및 하안동 일부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이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거 지정 하는 사업으로 도시 저소득층 주민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으로서 정비 기반 시설이 극히 열악하고 노후 불량 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을 정비함으로써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주거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이다. 철산4동 주거환경개선사업...
-
경기도 광명시 철산4동 일부 및 하안동 일부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이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거 지정 하는 사업으로 도시 저소득층 주민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으로서 정비 기반 시설이 극히 열악하고 노후 불량 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을 정비함으로써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주거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이다. 철산4동 주거환경개선사업...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근린공원. 공원이 위치한 광덕산은 철산3동 광명성애병원 뒤쪽에 위치해 있는 야산으로서, 철산주공2단지와 철산주공3단지에 둘러싸여 있다. 광덕산근린공원은 철산주공2단지 주택 재건축 정비 사업 구역 내에 포함되어 있다. 2009년 광덕산 근린공원[구 철산공원] 정비 공사로 산책로 주변의 식재와 시설들의 정비가 이루어졌다. 총면적은 1만 2673㎡이다. 운동...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근린공원. 광명시 철산동은 마을의 지세가 소의 머리같이 생겼다고 하여 ‘소머리→쇠머리→쇠멀’이라고 하였고, ‘쇠’가 ‘철’로, ‘멀’이 ‘산’으로 불리면서 ‘철산’이 되었다고 한다. 한편 마을의 모양이 흡사 소가 누워 있는 모양이어서 쇠머리마을이라 불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광덕근린공원은 1986년 12월 30일 건설부 고시 제684호[1990년 5월...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시청사거리에서 철산3동 안현초등학교 삼거리에 연결되는 도로. 광명시 철산3동 시청사거리를 기점으로 하여 철산4동주민센타와 광덕초등학교를 지나 철산3동 안현초등학교 삼거리를 종점으로 하는 도로이다. 도덕산 도시자연공원이 가까이 있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도덕공원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도덕공원로는 연장 964m, 폭 11m, 왕복 2차선 도로이다. 철산동의 토...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근린공원. 광명시 철산동은 마을의 지세가 소의 머리같이 생겼다고 하여 ‘소머리→쇠머리→쇠멀’이라고 하였고, ‘쇠’가 ‘철’로, ‘멀’이 ‘산’으로 불리면서 ‘철산’이 되었다고 한다. 한편 마을의 모양이 흡사 소가 누워 있는 모양이어서 쇠머리마을이라 불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광덕근린공원은 1986년 12월 30일 건설부 고시 제684호[1990년 5월...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과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을 연결하는 다리. 철산대교는 광덕로 철산대교 사거리에서 안양천을 건너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3단지 사거리를 연결하는 다리로 1977년 준공하였다 철산대교의 명칭은 교량의 서쪽에 있는 광명시 철산동에서 유래하였다. 길이 150m, 폭 16.5m이며, 왕복 6차로로 설계 하중은 43.2톤이다. 광명시에서 서울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
-
경기도 광명시에 속하는 법정동. 쇠머리라는 마을 이름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철산(鐵山)이 되었다는 설, 철망산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철산동은 고려시대 금천현(衿川縣)에 속했던 지역으로, 금천현은 조선 건국 후인 1414년(태종 14) 과천(果川)을 병합해 금과현(衿果縣)이 되었다가 두 달 뒤 과천을 다시 설치하면서 금천과 양천(陽川)을 병합해 금양현(衿陽縣)이 되었고, 14...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철산동 지석묘는 광명시 철산동 222-1번지[시청로 20]에 있다. 철산동 지석묘는 본래 광명시 철산동 462-33번지에서 확인된 고인돌이나 현재는 광명시민회관 경내로 옮겨져 있다. 철산동 지석묘의 형태는 강화도 삼거리에 있는 3호 고인돌과 매우 유사한 모습이다. 두 개의 굄돌이 덮개돌을 받히고 있는 전형적인 탁자식[과거에는 북방식으...
-
삶의 공간이 삶의 모습을 만들어 낸다는 말처럼, 철산동 안에서 이루어지는 사람들의 하루하루는 철산동이 만들어 낸 삶의 일상이다. 철산동은 광명시의 중심 지역이다. 광명시청을 비롯해 법원, 세무서 등 행정 기관들이 위치해 있어 행정타운 기능과 함께 중심 상업 지역이 자리 잡고 있다. 지하철 7호선 철산역이 있어 서울 등 타 지역과의 교통이 편리하다. 중앙로 대로변을 따라...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석회동굴. 1994년 12월 서울특별시가 지하철 7호선[도봉~온수]을 착공하면서 발견되어 1995년 1월에 지질 분석을 위해 하부 지형을 표본 시험 시추 한 결과 철산역 건설 예정지에 길이 47m, 폭 23m, 높이 5~25m의 대형 공동(空洞)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1995년 3월 14일 굴착 작업 중 지하 10m 지점에서 깊이 5m, 폭...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쇠머리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철산동 쇠머리 도당고사는 매년 음력 10월 초하루에 왕재산 덕수장씨 사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마을의 지세가 소의 머리와 같이 생겼다 하여 소머리, 쇠머리, 쇠멀[鐵山]이 되어 철산(鐵山)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마을이 흡사 소가 누워 있는 형국이어서 쇠머리마...
-
철산동 지역은 시 승격 이후 광명시의 중심지로 성장해 나갔다. 그러다 보니 현대 행정의 기본 서비스인 복지 사업과 주민센터 운영이 다른 지역에 비해 빨리 자리 잡거나 선진적인 시스템이 시도되어 모범적인 사례를 많이 배출하였다. 철산4동에서 살게 된 지 16년이 되었다는 임봉식[1930년생] 씨는 요즘 목요일만 손꼽아 기다린다며 이렇게 말한다. “아무 연고가 없...
-
1965년 1월 소하리 별정 우체국에서 근무를 시작하여 1998년 12월 광명우체국에서 정년퇴임한 장기상[1941년생] 씨는 광명시 우체국 역사의 산증인이다. 당시 서면이던 광명시의 우편 업무는 시흥우체국에서 소하·일직·자경·하안·철산 지역을 담당했고, 오류우체국에서 광명·학온동 지역을 담당했다. 장기상 씨는 시흥우체국 소속으로 혼자 우편배달 업무를 시작했는데, 이후 광명 지역 우...
-
철산1동부터 철산4동까지로 구분되어 있는 철산동은 지금으로부터 50년 전까지만 해도 다른 이름과 모습을 가지고 있었다. 1960년대에는 지금의 철산1동, 철산2동, 철산3동, 철산4동과 도덕산 자락이 각각 사성[일명 뱀수], 모세[일명 연서], 쇠머리, 왕승골 등의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마을마다 저마다의 고유한 이름과 모습을 가지고 있었다. 시흥군 서면 시절...
-
철산동의 광명시민회관 전시실 입구와 광명시민운동장 사이 자그마한 녹지 사이에는 장방형의 육중한 바위가 하나 놓여 있다. 예사롭지 않은 모습의 이 바위는 ‘철산동 고인돌’로 알려진 청동기시대 유적이다. 철산동 고인돌은 보통 덮개식이라 말하는 북방 양식으로, 육중한 덮개돌과 상대적으로 작은 받침돌 2개로 이루어져 있다. 고인돌이 위치한 곳은 2007년 주변 재정비...
-
도덕산은 광명동, 철산동, 하안동 지역을 아우르는 광명시를 대표하는 네 개의 산[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 중 하나다. 도덕산 정자에서 중국의 사신(使臣)들이 도(道)와 덕(德)을 논했다고 한 데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한다. 도덕산은 1971년 서울시의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나, 운동 기구 등 소규모 편의 시설만을 갖추었을 뿐 공원의 기능은 미약했다...
-
철산리는 옛날에 쇠머리라는 이름으로 불렸는데, ‘쇠머리’란 도덕산에서 안양천 쪽으로 뻗어 나온 산줄기가 소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철산리(鐵山里)의 철(鐵)은 소[牛]의 경기도식 발음인 ‘쇠’가 ‘쇠 철(鐵)’ 자로 혼동돼 기록된 것으로 추측된다. 산(山)은 고어에서 머리처럼 튀어나온 부분을 표기할 때 쓰이는 예에 따라 사용되었다. 구전...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오리로 철산역삼거리에서 안양천로의 광성초교입구삼거리에 연결되는 도로. 철산로는 연장 737m, 폭 50m, 왕복 8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1983년 12월부터 1991년 5월까지 철산지구 택지 개발 사업이 실시될 때 개설된 도로이다. 도로 개설 당시 명칭은 중앙로였으나 철산로로 변경되었다. 이는 2009년 도로명 재정비 사업에 따라 철산3동의 중심을 지나는...
-
급격하게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철산동의 옛 모습은 지적원도나 1980년대 항공사진을 통해서나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광명 동부 지역을 유유히 흐르는 안양천도 일제강점기 둑을 쌓아 직강화하면서 철산동 지형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철산동은 이후에도 큰 변화 없이 농촌의 형태를 유지해오다가 1984년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어 택지와 상업 지구, 도로 등이 건설되었다. 이...
-
경기도 광명시 철산1동 일원 사성마을 지역에 대한 주택재개발사업. 철산사성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은 광명시 철산1동 사성마을의 정비 기반 시설이 열악하고 노후 및 불량 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이다. 광명시 철산1동 50번지 일원[사성마을] 3만 6,251.80㎡ 부지에 주택재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정비 기반 시설이란 도로, 상하수도, 공원, 공...
-
경기도 광명시 철산4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의 가톨릭 교회. 본래 시흥군 서면에 속했던 철산리가 광명리와 함께 광명시에 속하게 된 것은 1981년 7월 1일이다. 갈수록 인구가 증가하는 광명시에 천주교회는 광명성당 한 곳뿐이었기에 광명성당 한 곳에서 다 신도를 수용하기에는 시설 면이나 사목적 면에서 한계점에 이르렀고, 더욱이 철산동이 향후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개발될 계획이...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지하철역. 1993년 11월 23일 철산역을 착공하였고, 2000년 2월 29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신풍 구간 연장 개통에 따라 영업을 시작하였다. 철산역은 총면적 7,406㎡로 승강장은 상대식 형식이다. 승강 설비로는 엘리베이터 3대, 에스컬레이터 2대를 갖추고 있다. 역내에 플랫폼은 중앙에 자리하고, 반대편 횡단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며 내리...
-
경기도 광명시 철산2동에 있는 종합 사회 복지 시설. 철산종합사회복지관은 아동·청소년·가족을 위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 발달장애 아동 지원 프로그램, 철산실버대학, 치매·중풍어르신 주간보호센터, 사회 교육 프로그램, 가족 기능 강화 센터, 경로당 활성화 사업, WE CAN 청소년 사업, 방과 후 아동 지원 프로그램, 재가 복지 사업, 지역 사회 운동 등 다양한 복지 사업을 운영하는...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하안동에 있는 공동 주택 단지. 1989년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임시조치법에 의거해 광명시가 다세대 건립을 추진하던 중 주민들의 아파트 건립 의견을 받아들여 대한주택공사를 사업 시행사로 하여 아파트 단지를 건립하였다. 경기도 광명시 철산4동과 하안동 도덕파크타운 일대는 1970년대 수도권 정비 계획으로 강제 철거되어 이주하여 정착한 주민으로 이루어진 마을이었다....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공동 주택 단지. 1983년 12월부터 1991년 5월까지 실시된 철산택지개발사업은 쾌적한 주거 환경을 갖춘 서울의 위성 도시로 개발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이었다. 그러나 광명시가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구역에서 제외됨에 따라 광명시가 독자적으로 광명시종합개발계획을 세워 광명시 철산동 일대의 자연 녹지 114만 2,000㎡를 택지로 개발하여 8,200가구의...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상업 지구. 중심 상업 지구란 상업 지역의 구분 중 하나로 도심·부도심의 업무 및 상업 기능의 확충을 위한 「도시계획법」상의 지역을 말한다. 상업 지역은 상업과 그 밖의 업무 편익 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으로 중심 상업 지역·일반 상업 지역·근린 상업 지역·유통 상업 지역으로 세분한다. 그중 중심 상업 지역은 도심·부도심의 업무 및 상업 기능의 확충...
-
광명시는 뚜렷한 정체성이나 도시 특성 혹은 상징을 찾기가 쉽지 않은 도시다. 그렇듯 주거와 생활이 중심이 되어 있는 이 도시의 한복판에 상업 지구가 있다. 광명시 철산중심상업지구가 광명시의 ‘명소’ 중 한 곳으로 자리한 것도 어쩌면 그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곳은 광명시민들뿐만 아니라 주변 외지인들도 찾아와 소일하는 곳이다. 철산중심상업지구에 모이는 이들은 실로 다양하다....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상가형 시장. 철산중앙시장은 1987년 초 1,785㎡ 규모의 상가 건물이 준공되면서 개설되었으며 11월에는 철산중앙시장 자치운영위원회가 설립되어 상점가의 상거래 질서의 확립과 환경 개선 등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철산중앙시장은 지하 2층~지상 3층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206개의 점포가 운영 중에 있다. 지하 2층[1,292㎡]에는 주차장과...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공동체 의식을 갖는 사람[민주인], 사고력을 갖고 미래 변화에 창의적으로 대응하며 노력하는 사람[창조인],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사람[건강인], 협동 봉사 정신이 투철한 사람[협동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아름답고 슬기롭게’이다. 1983년 1월 2일 철산여자중학교 21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3...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지하 차도. 철산 교차로에 위치하여 철산지하차도라고 부르게 되었다. 철산지하차도는 연장 335m, 폭 17.5m, 높이 5m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2004년에 안양천로[구 철산로]-디지털로[구 광덕로]를 교차하는 교차로의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안양천로의 광명대교 방향과 하안동 방향으로 지하차도를 건립하게 되었다. 광명시의 4개 지하 차도 중 마...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마음을 가진 성실한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탐구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실력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꿈을 키워 가는 개성 있는 어린이[창조인], 궁극적으로는 미래를 여는 참되고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81년 12월 1일 철산국민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9월 1일 15학급을 편...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일원에 대한 주택 용지 및 상업 용지 개발 사업. 택지개발사업은 도시 전체의 도시 계획이나 교통 환경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고자 시행하는 개발 사업이다. 개발의 계획 및 시행은 토지개발공사, 주택공사 및 지방 정부가 하고 개발 후 택지는 공공 또는 민간 주택 업자들에게 분양하거나 주택공사나 지방 정부가 직접 짓기도 한다. 1...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일원에 대한 주택 용지 및 상업 용지 개발 사업. 택지개발사업은 도시 전체의 도시 계획이나 교통 환경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고자 시행하는 개발 사업이다. 개발의 계획 및 시행은 토지개발공사, 주택공사 및 지방 정부가 하고 개발 후 택지는 공공 또는 민간 주택 업자들에게 분양하거나 주택공사나 지방 정부가 직접 짓기도 한다. 1...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미술 단체. 철우회는 서양화가 김철환의 문하생들로 구성된 미술 단체로, 회원들의 친목 도모와 작가적 자질 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6월 철우회 창립전을 시작으로 매년 정기전을 개최하여 2006년까지 9회의 전시회를 가졌다. 현재는 전시회가 치러지지 않고 있으나, 2011년부터 다시 전시회를 열 예정이다. 매년 1회 정기 회원전과 연 3차례...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건립 예정이었던 음악 테마 지구. 광명시는 생산 기반 시설 없이 주거 위주로 개발되어 있으며, 무엇보다 인구 1,100만의 서울과 100만의 부천, 62만의 전통 도시 안양 등 큰 도시 사이에 위치해 있어 광명시 나름의 독특하고 차별화된 문화를 만들어 내지 못하고 인근 도시의 문화에 흡수되어 버리는 도시가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다. 광명시를 진정한...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청개구릿과에 속하는 양서류.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러시아 등지에 서식하고 있다. 풀과 나무를 오르며 생활하는 개구리이다. 청개구리의 아종으로 여겨지는 수원청개구리는 한국 특산종으로 경기도 수원시를 중심으로 서해안을 따라 서식한다. 청개구리는 아직까지는 충분한 개체 수가 유지되고 있어 전국 어디에서나 관찰이 가능하다. 가끔 도심 한가운데서도 발견되는데,...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광명시 평생학습원 내에 있는 어린이 도서관. 어린이도서실 청개구리는 2003년 3월 27일에 개관한 어린이 전문 도서실로, 누구나 소외됨 없이 사회적 삶을 배우고 나누는 교육 공동체의 철학을 어려서부터 공감하며 실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자신의 꿈과 희망을 키우고 나누며 어려서부터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하거나 차별받지 않고 사람과 사람...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부채 전문 박물관. 청곡부채박물관은 전통 부채 수집가이자 제작 기술자인 금복현이 우리나라 전통 부채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 부채 제작 방법과 기술을 전하고자 40년 동안 직접 만든 부채와 전국에서 수집한 부채를 한곳에 모아 개관하였다. 금복현이 1980년대부터 광명시 노온사동에 작업장을 마련하고 활동하던 중 건물을 짓고 정착하여 2001년 청곡부채박...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과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에 걸쳐 있는 산. 서독산은 광명시 소재의 야산 중에서 가장 안정된 물리적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해발 고도는 비교적 낮아 180m에 불과하지만, 자연 자원의 부존 가치가 대단히 높으며, 특히 멸종으로 치닫고 있는 반딧불이의 서식처로 널리 알려진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만, 인근의 안양시 도시 팽창과 광명시의 개발 압력으로 인해 현재...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청동(靑銅)을 도구로 사용하였던 시대의 역사와 문화.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는 청동을 도구로 사용하였던 시대이다. 청동기는 광석에서 구리를 추출하고 주석·아연·납 등 몇 가지 다른 원소의 금속을 배합하여 합금(合金)하는 야금술(冶金術)이다. 이러한 야금술은 고도의 숙련도와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청동기시대에는 석기시대의 사회에서는 볼 수 없었던 직...
-
경기도 광명시 광명3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청룡사는 전 주지 유성금(兪成金)에게서 1975년 8월에 인수하여, 1979년 8월에 요사채, 법당, 종각을 신축함으로써 오늘의 모습을 갖추었다. 매월 초하루 법회, 관음재일 법회, 약사재일 법회, 지장재일 법회를 열고 있다. 또한 교도소 재소자 교화 활동, 노인정 경로 위안회, 장애자 위안 등 사회봉사 활동뿐 아니라 광...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체육·생활체육협의회에 가맹한 전·현직 체육 단체장들의 모임. 청명회는 광명시 체육·생활체육협의회에 등록한 경기 단체와 체육 단체들의 친목 도모와 유대 강화 및 사기를 진작시키고 관내 체육 활성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1999년에 설립되었다. 청명회는 종목별 체육 단체 지원, 지역 내 체육 특기자 발굴, 우수 선수 및 지도자 지원 사업 등 지역 사회 체육 활성화...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천남성은 광명시 전역의 산지, 들판, 계곡, 나무 밑 등 음습한 곳이면 어디서나 관찰할 수 있다. 흔히 사극에서 등장하는 사약의 재료가 되는 독성 식물로 유명하다. 실제 독성이 강해 함부로 섭취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에는 천남성과에 창포, 석창포, 큰천남성, 무늬천남성, 반하, 대반하, 넓은잎천남성, 두루...
-
한국국악협회 광명지부에서 1999~2004년 개최한 국악 경연 대회. 청소년국악경연대회는 국악 예술인의 조기 발굴을 통하여 학생 개개인의 재능을 개발 신장시키고자 개최하게 되었다. 한국국악협회 광명지부에서 매년 10월 구름산예술제 기간에 열었다. 청소년국악경연대회는 1999년 시작하여 2004년 6회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다. 청소년국악경연대회는 초등부·중등부·고등부로 나누어 광명...
-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광명시지부에서 1991~2002년 개최한 청소년을 위한 행사. 청소년어울마당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광명시지부 인준과 함께 1991년 9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시행한 청소년의 예술 문화 동아리 활성화 사업으로 펼쳐졌다. 청소년의 예술 문화적인 정서를 발달시키며, 잠재된 기량을 펼쳐 보이도록 하려는 의도에서 시작하였다. 청소년어울마당은 2002년 8월 2...
-
경기도 광명시 하안2동 광명문화원에서 활동하던 청소년 연극 단체. 청소년연극단 움터는 예민한 감수성과 풍부한 잠재력으로 가득 찬 청소년들에게 건강한 동아리 활동 및 창조적 재능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9년 제8회 오리문화제의 가족연극제에 이문열 원작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무대에 올리면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청소년문화의 집’이...
-
경기도 광명시 광명5동 광명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자원 봉사 프로그램. 청소년자원봉사학교는 청소년들이 자원봉사의 의미와 가치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자원봉사 활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 건전한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봉사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2002~2004년 방학 계절학교 프로그램으로 청소년 봉사자를...
-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광명시지부에서 매년 개최하는 청소년 예술 경연 대회. 2000년 6월 제1회 청소년종합예술제를 시작으로 매년 광명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행사를 개최하며, 경기도 청소년종합예술제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 대회로 치러지고 있다. 청소년종합예술제는 총 20개 종목으로 치러진다. 그중 공모 부문으로는 시·산문·가족신문·사진이 있고, 경연 부문으로는 한국 음악[독창],...
-
심홍부를 시조로 하고 심사현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청송심씨는 고려 충렬왕 때 문림랑(文林郞)으로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낸 심홍부(沈洪孚)를 시조로 한다. 심홍부의 증손 심덕부가 우왕 때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 청성군충의백(靑城郡忠義伯)에 봉해진 뒤 후손들이 청송을 본관으로 삼았다. 조선시대 왕비 세 명을 비롯하여 재상과 청백리, 공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설날 아침에 처음으로 듣는 짐승의 소리로 한 해의 운수를 점치는 풍속. 우리 민족은 시작을 매우 중시한다. 특히 일 년의 시작인 설날 아침에 한 해의 운수를 점치고 풍년을 기원하는 여러 풍속이 있는데, 그중의 하나가 청참이다. 설날 새벽에 거리로 나가서 일정한 방향이 없이 돌아다니다가 날짐승 소리이건 길짐승 소리이건 처음 듣는 소리로써 한 해의 운수를 판단한다...
-
경기도 광명시에서 건강한 신체와 운동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일련의 활동. 광명시의 체육을 이끌어 가는 곳은 광명시 체육회이다. 광명시 체육회는 2007년 1월 광명시 생활체육회와 통합하고, 기존의 엘리트 체육 양성을 위한 우수 선수 발굴 및 양성 등의 전문 체육인 육성을 비롯하여 시민들의 체력 증진 및 체육 활동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광명시의 종합적인 체육 사업을 추...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여러 가지 체육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공원. 체육공원은 「도시공원법」에 의한 도시공원의 하나로 주로 운동 경기나 야외 활동 등 체육 활동을 통하여 건전한 신체와 정신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설치된 공원을 의미한다. 광명시의 경우 광명시 실내체육관과 광명돔경륜장이 대표적인 체육공원이다. 광명시 하안동에 위치하고 있는 광명시 실내체육관은 기하학적 골격의 실내 경기장을...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체육 관련 단체. 1981년 7월 1일 창립된 광명시 체육회는 학교 체육 및 생활 체육을 진흥하여 광명 시민의 체력 향상에 기여하며, 가맹 경기 단체와 체육단체를 총괄 지도하여 우수한 경기자를 양성하는 데 설립 목적을 두었다. 1994년 4월 20일 광명시 생활체육회의 창립으로 광명시의 체육 환경은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엘리트 체육과 생활 체...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체육 활동에 필요한 시설과 그 부대시설. 광명시의 체육시설에는 공공시설로서 광명시가 관리하는 광명시민운동장, 광명시 시민체육관, 광명국민체육센터, 사성공원 체육시설이 있으며, 광명시 생활체육회가 관리 주체인 광명 시립족구장·국궁장, 시립테니스장, 가학동 게이트볼장이 있다. 또한 광명시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함께 건립한 광명돔경륜장, 안양천 둔치 내 체육공원과 동...
-
한국문인협회 광명지부에서 매년 개최하는 초·중·고등학생 글짓기 행사. 광명시 학생백일장대회는 구름산예술제 기간에 학생들에게 예능 발표의 기회를 제공하고 문학 수준 향상 및 문학도를 조기 발굴하여 지역 문학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1991년 5월 8일 처음 개최되었다. 제1회부터 제4회까지는 초·중·고 학생백일장대회로 현충탑에서 개최되었다. 제5회는 광명시 고등부학생백일장대회로 광명...
-
정배걸을 시조로 하고 정호를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초계(草溪)는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로, 초계정씨 시조 정배걸(鄭倍傑)은 1017년(현종 8)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예부상서·중추원사를 지냈다. 개인 서당을 열어 많은 제자를 가르치며 문종 이후 개경의 12사학 중 하나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루었다. 이에 후세 사람들은 유가(儒家)의 대가요, 백세의...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초등 보통 교육 담당 기관. 초등학교는 국가에 따라 초등학교, 보통학교, 기초학교, 소학교 등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교육 제도상 가장 먼저 취학하는 학교로서 국민 생활에 필요한 초보적인 일반 교육을 실시하는 곳이다. 근대 이후 세계 각국에서는 국민 교육이 국가의 기본 기능으로 인식되어 이에 대한 제도적 확립과 확충·강화책이 강구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48년...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충현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이원익의 초상. 「광명 이원익 초상화」는 조선시대 문신인 오리 이원익(李元翼)[1547~1634]의 영정 중의 하나이다. 2009년 6월 24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4호로 지정되었다. 「광명 이원익 초상화」의 주인공인 이원익의 자는 공려(公勵), 호는 오리, 본관은 전주이다. 태종의 아들 익녕군(益寧君) 이치의 현손(玄孫)이...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초상이 난 뒤로부터 부고(訃告)까지의 장례 절차. 초종(初終)은 전통적인 상례의 시작과 장례 준비 과정을 이르는 말로써 흔히 초상(初喪)을 의미한다. 즉 사람의 임종(臨終) 직전부터 임종의 확인, 혼을 부르는 초혼(招魂), 상주와 호상(護喪)을 세우고, 자손들은 머리를 풀고 곡을 하며, 부고(訃告)를 통해 임종을 알리는 것 등으로 장례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전...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토마토 농장. 약 4,959㎡의 넓은 들에 자리 잡은 32동의 비닐하우스에는 각종 채소들이 식탁의 풍성함을 약속하며 수확을 기다리고 있다. 이 중 10개 동에는 농약 없는 친환경 토마토가 자라고 있다. 친환경이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식물성 유박이란 거름으로 토양을 기름지게 하고 호박벌을 이용하여 자연 수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단단함과 속이 꽉 찬...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풀잎이나 꽃잎을 이용하여 노는 놀이. 풀쌈은 산이나 들에서 뜯어온 풀잎이나 꽃잎을 비교하는 아이들의 민속놀이이다. 단둘이서 놀기도 하고 여럿이 편을 갈라 놀기도 하는데, 풀줄기를 서로 엇걸어 당겨 누구의 것이 더 질긴가를 겨루는 풀싸움과 풀잎 대기가 있다. 풀싸움은 옛 문헌에 초전(草戰), 초희(草戱), 투초(鬪草), 교전희(較全戱) 등으로 씌어 있는 것으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초상이 난 뒤로부터 부고(訃告)까지의 장례 절차. 초종(初終)은 전통적인 상례의 시작과 장례 준비 과정을 이르는 말로써 흔히 초상(初喪)을 의미한다. 즉 사람의 임종(臨終) 직전부터 임종의 확인, 혼을 부르는 초혼(招魂), 상주와 호상(護喪)을 세우고, 자손들은 머리를 풀고 곡을 하며, 부고(訃告)를 통해 임종을 알리는 것 등으로 장례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4월 8일에 사찰을 찾아 불공을 드리는 풍속. 일반적으로 음력으로 매월 상순에 있는 8일을 초여드렛날, 초파일[初八日]이라고 말한다. 부처가 태어나신 날이 4월 초여드렛날이라 4월 초파일이라 명했다. 초파일이란 일반 용어가 불교와 접목되면서 초파일하면 으레 사월 초파일을 연상하게 되었다. 초파일은 석탄일·불탄일·욕불일 등 다양한 용어로 쓰이다가 최근에는...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주로 부녀자들이 즐기던 민속놀이. 널뛰기는 정초에 여자들이 둘로 나뉘어, 긴 널빤지의 중간에 짚단이나 가마니로 밑을 괴고, 양쪽에서 서로 균형을 잡아가며 발로 굴러서 서로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을 반복하는 민속놀이이다. 한자어로는 초판희(超板戱), 판무(板舞), 도판희(跳板戱) 등이라고도 한다. 정초나 단오, 혹은 추석 같은 명절에 많이 행한다. 널뛰기는 우리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풀잎이나 꽃잎을 이용하여 노는 놀이. 풀쌈은 산이나 들에서 뜯어온 풀잎이나 꽃잎을 비교하는 아이들의 민속놀이이다. 단둘이서 놀기도 하고 여럿이 편을 갈라 놀기도 하는데, 풀줄기를 서로 엇걸어 당겨 누구의 것이 더 질긴가를 겨루는 풀싸움과 풀잎 대기가 있다. 풀싸움은 옛 문헌에 초전(草戰), 초희(草戱), 투초(鬪草), 교전희(較全戱) 등으로 씌어 있는 것으로...
-
개항기 광명 출신의 농민운동가. 2차 시흥농민봉기는 1901년 착공하여 1904년 개통된 경부선의 영등포~수원 간 공사에 강제 동원한 데 이어 토지를 대가 없이 수용한 일에 크게 반발하여 군민 2,000여 명이 항거한 사건이다. 1904년 9월 13일까지 6개 면 집강들에게 봉기 계획을 전달하는 한편, 시흥군의 모든 가구마다 한 명씩 반드시 집회에 참여하도록 하여 9월 14일 읍내...
-
조선 후기 광명 출신의 열녀. 최악덕(崔岳德)[?~1741]은 수원최씨로 사비(私碑)였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생활이 곤궁하였으나 부모를 극진하게 모시고 효도를 다하였다. 장성하여 원노(院奴)인 김두조(金斗祚)[자는 두징(斗徵)]에게 출가하였고, 남편에게 정순(貞純)하였다. 김두조는 힘이 천하장사였으나 갑자기 병이 들었는데, 병세가 깊어지자 최악덕은 여러 해에 걸쳐 갖은 노력으로...
-
개항기 광명 출신의 농민운동가. 2차 시흥농민봉기는 1901년 착공하여 1904년 개통된 경부선의 영등포~수원 간 공사에 강제 동원한 데 이어 토지를 대가 없이 수용한 일에 크게 반발하여 군민 2,000여 명이 항거한 사건이다. 1904년 9월 13일까지 6개 면 집강들에게 봉기 계획을 전달하는 한편, 시흥군의 모든 가구마다 한 명씩 반드시 집회에 참여하도록 하여 9월 14일 읍내...
-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광명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주환(崔周煥)[1882~1950]은 시흥군 서면 소하리[현 광명시 소하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27일 같은 마을 사람인 이정석(李貞石)이 독립 만세를 부르다가 체포되자 3월 28일 밤 최호천(崔浩天)·윤의병(尹宜炳)·이종원(李宗遠)·김인한(金仁漢)·최정성(崔正成)·유지호(柳志浩) 등과 함께 이정석 구출 운동에 적극 가담하였다...
-
일제강점기 광명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호천(崔浩天)[1899~1960]은 시흥군 서면 소하리[현 광명시 소하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 당시 21세로 소하리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배재고등보통학교(培材高等普通學校) 재학생으로 이곳에서의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1919년 3월 27일 같은 동네에 사는 이정석(李貞石) 등이 독립 만세 시위를 하다가 노온사리(老溫寺里)...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은 음력 8월 보름으로 가을 계절의 한가운데에 속하기에 중추(中秋), 중추절(仲秋節)이라고 한다. 추석의 다른 이름인 한가위와 가윗날이라는 명칭은 신라시대에 비롯된 우리 민족 고유의 말이다. 추석은 설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2대 명절이다. 이때쯤에는 백과가 만발하기 때문에 농촌에서는 최고의 명절로 친다. 추석에는 조...
-
설월리로 들어가는 골목길에서 대로 맞은편으로 보면 서면초등학교가 있다. 평범해 보이는 초등학교지만 역사로 말할 것 같으면 광명시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이다. 1927년 3월에 서면공립보통학교로 출발한 서면초등학교는 그동안 수많은 졸업생을 배출했다. 초창기 졸업생은 이미 작고했거나 생존해 있다면 이미 아흔 살은 훨씬 넘었을 것이다. 소하2동에서 태어나고 자란 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단오 명절에 여성들이 그네를 뛰면서 즐기는 놀이. 그네뛰기는 나뭇가지나 두 기둥 윗부분에 가로 지른 나무에 길게 두 줄을 매어 늘이고, 줄 아래에 밑싣개[앉을개]를 걸쳐 놓고 올라가서 몸을 날려 앞으로 나아갔다가 뒤로 물러났다가 하는 놀이이다. 이를 추천(鞦韆)이라고도 한다. 남성의 씨름과 더불어 단오절의 가장 대중적인 놀이이다. 그네는 대개 농번기를 피해 음...
-
강진근[1938년생] 씨는 청장년 시절 목장을 해서 생계를 꾸렸다. 처음 목장을 하게 된 것은 친구가 권유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젖소를 기르기 시작했다. 그게 1974년도의 일이다. 처음에는 소를 살 돈이 없어서 암퇘지 두 마리를 길렀다. 이 돼지 두 마리가 이틀 걸러 새끼를 아홉 마리씩 낳아서 새끼 열여덟 마리를 낳았다. 순식간에 어미돼지까지 해서 모두 20마리가 되었...
-
경기도 광명시에서 지역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개최하는 행사. 광명시에서 개최하는 축제는 조선 후기 대표적인 청백리로 꼽히는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1547~1634]을 기리는 오리문화제를 시작으로, 광명시의 주산인 구름산의 이름을 따서 진행하는 광명시 종합 예술 축제인 구름산예술제, 우리 민족 고유의 명절인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서 개최하는 정월대보름축제와 광명시가 추구하는...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내초(來初), 호는 춘절재(春節齋). 명재상 이원익(李元翼)의 5세손으로 할아버지는 공주목사를 지낸 이증현(李曾賢)이고, 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이존도(李存道)이다. 어머니는 권석(權碩)의 딸이다. 이인복(李仁復)[1683~1730]은 1705년(숙종 31)에 진사가 된 뒤 문음으로 입사(入仕)하여 1708년 하양현감이 되었으며,...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아이의 출산을 전후하여 행하는 의례나 풍속. 산속(産俗)은 출산의례(出産儀禮)라고도 하며, 자식 얻기를 기원하는 기자(祈子)로부터 출산전 금기·해산속(解産俗)·산후속(産後俗) 등이 포함된다. 산속은 관혼상제와 함께 사람이 일생을 사는 동안 거치게 되는 통과의례 또는 평생의례의 시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산속과 관련된 절차는 전국적으로 크게 차이가 나지...
-
경기도 광명시에서 도서나 잡지 등을 제작 유통하는 업체. 출판사는 학습서적, 정보목록부, 소설 및 수필집 등의 일반 서적이나 신문, 주간지, 월간지, 연보 등의 정기 간행물과 같은 인쇄물을 제작 유통하는 업체이며 한국 최초의 출판사는 광인사[1884년]이다. 광명 지역 최초의 출판사에 대한 정보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1993년 광명에는 10개의 출판업체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
-
경기도 광명시 평생학습원에 소속된 동아리. 춤이랑 체조랑은 광명시민의 건강에 도움이 되고 노년의 삶에 활력소를 불어넣는 시민 제안 프로그램 참여 동아리로 우리 민요에 맞춰 춤과 체조를 배우고자 만들어졌다. 「해맞이」, 「노들강변」, 「밀양아리랑」, 부채춤, 살풀이, 선비춤 등 다양한 노래와 춤을 배울 수 있다. 매주 목요일 오전 10~12시 월 4회 광명시 평생학습원 407호에서...
-
광명 지역 출신이거나 광명에 연고가 있는 사람으로서 나라와 임금을 위하여 충성을 다한 신하. 광명 지역에 전해지는 대표적인 충신으로는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충현서원(忠賢書院)에 모셔진 고려시대의 강감찬(姜邯贊)[948~1031], 서견(徐甄)과 조선시대의 이원익(李元翼)[1547~1634]을 들 수 있다. 충현서원은 1658년(효종 9) 처음 건립되었는데, 삼현사(三賢祠)라 하여...
-
경기도 광명시에 묘소가 있었던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심(士深), 호는 우재(迂齋)·남항거사(南港居士)이다. 세종의 다섯 번째 왕자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7세손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이한(李漢)이고, 할아버지는 이인건(李仁健)이며, 아버지는 군수 이욱(李郁)이다. 어머니는 장수황씨(長水黃氏)로 문정공(文貞公) 황정욱(黃廷彧)의 딸이다. 부인은...
-
평우성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충주평씨(忠州平氏)는 조선 선조 대에서 인조 대의 인물인 평우성(平友聖)을 시조로 한다. 평씨는 중국 성씨로 한나라 성제 때 평당(平當)이라는 사람이 식읍으로 받은 평릉을 성씨로 삼은 데서 비롯되었다. 평씨가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는지는 알 수 없으나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931년(태조 14) 평환(平喚)이 강덕진두(康德鎭...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충현고등학교 내에 결성된 농악 단체. 충현고등학교 농악부는 학생들의 다양한 기능 및 특기 신장을 위한 활동을 통해 개개인의 실기 능력을 체계적·질적으로 향상시키고 학생들에게 우리 민족의 소리와 춤을 전수하여 전통문화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청소년 놀이 문화를 정착시킴으로써 건전한 학생 문화와 신명나는 학교 교육 풍토 쇄신으로 미래의 국악인을...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나라를 사랑하는 훌륭한 사람, 심신이 건강하고 정직한 사람, 창의와 탐구로 미래의 진취적인 사람, 조화와 사랑으로 봉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꿈·자유·사랑’이다. 1997년 1월 14일 충현고등학교 36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5일 개교하였다. 같은 해 학내망 및 각실 인터폰을 설치하였다. 19...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충현고등학교 내에 결성된 농악 단체. 충현고등학교 농악부는 학생들의 다양한 기능 및 특기 신장을 위한 활동을 통해 개개인의 실기 능력을 체계적·질적으로 향상시키고 학생들에게 우리 민족의 소리와 춤을 전수하여 전통문화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청소년 놀이 문화를 정착시킴으로써 건전한 학생 문화와 신명나는 학교 교육 풍토 쇄신으로 미래의 국악인을...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문화재단. 충현문화재단은 전국 곳곳에 흩어져 있는 오리 이원익(李元翼)의 유적과 유물을 한데 모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고자 이원익의 13대 종손인 이승규가 2001년에 설립하였다. 2003년 충현박물관을 개관하여 오리 이원익 관련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과 홍보를 전개하고 있으며, 각종 문화재 안내판 및 부수 시설물에 대한 정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인 이원익의 종가(宗家) 박물관. 충현박물관 일대는 청백리(淸白吏) 재상인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1547~1634]이 말년에 여생을 보내던 곳으로, 충현박물관에는 이원익과 그의 직계 후손들의 유적 및 유물이 보존되어 있다. 이원익은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3대에 걸쳐 여섯 차례 영의정을 지내면서 ‘오리 정승’으로...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터.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에 역대 명현을 모시고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함께 지닌 지방의 사설 교육 기관이라 할 수 있다. 공간적으로는 전학후묘의 배치를 지니고 있으며, 인재 양성과 유교적 향촌 질서의 구심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서원은 붕당의 정치적 이해를 지닌 역기능도 지니고 있었다. 1865년(고종 2)부터 흥선대원군은...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터.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에 역대 명현을 모시고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함께 지닌 지방의 사설 교육 기관이라 할 수 있다. 공간적으로는 전학후묘의 배치를 지니고 있으며, 인재 양성과 유교적 향촌 질서의 구심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서원은 붕당의 정치적 이해를 지닌 역기능도 지니고 있었다. 1865년(고종 2)부터 흥선대원군은...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 아침에 귀가 밝아지기를 기원하여 술을 마셨던 풍속. 귀밝이술 마시기는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청주 한 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그해 일 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하여 행해졌던 세시풍속이다. 귀밝이술은 이명주(耳明酒), 명이주(明耳酒), 유롱주(牖聾酒), 치롱주(治聾酒), 이총주(耳聰酒) 등으로도 불렸다. 대체로 아침 식사...
-
경기도 광명 지역의 상례에서 시신을 매장하고 묘역을 조성하는 절차. 치장(治葬)은 시신을 매장하는 절차로써 산역(山役)을 통해 장지를 마련하고, 상두꾼들이 관을 장지까지 운반하며, 매장 후 봉분을 만드는 등 묘역을 조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치화(治華)라고도 한다. 전통적으로 상두꾼은 마을의 성인[장가를 간 남자]이나 상주의 친구들이 맡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에는 화장(火葬)을...
-
조선 후기에서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초명은 성태경(成泰慶), 자는 치장(稚長), 호는 서암(書岩). 증조할아버지는 성수(成樹)이며, 할아버지는 성진익(成鎭翼)이고, 아버지는 성용연(成龍淵)이다. 외할아버지는 홍윤철(洪潤哲)이다. 성하경(成夏慶)[1823~1899]은 1855년(철종 6)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이때는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였다. 사헌부지평을 거쳐 18...
-
경기도 광명 지역의 상례에서 시신을 매장하고 묘역을 조성하는 절차. 치장(治葬)은 시신을 매장하는 절차로써 산역(山役)을 통해 장지를 마련하고, 상두꾼들이 관을 장지까지 운반하며, 매장 후 봉분을 만드는 등 묘역을 조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치화(治華)라고도 한다. 전통적으로 상두꾼은 마을의 성인[장가를 간 남자]이나 상주의 친구들이 맡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에는 화장(火葬)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신랑이 신부의 집에 가서 신부를 직접 맞이하는 의식. 친영(親迎)은 전통 혼례 중에서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예식을 올리고 신부를 맞아오는 의례이다. 이는 혼례식의 과정을 일컫는 말로써 ‘대례(大禮)’라고도 한다. 친영에는 신랑이 신부를 맞이하러 가는 초행을 비롯하여 혼례식의 절차인 전안례(奠雁禮)·교배례(交拜禮)·합근례(合巹禮)의 과정, 혼례식 이후의 과정,...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7월 7일에 지내는 풍속. 칠석은 음력 7월 7일로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 번 오작교에서 만나는 날이라고 한다. 칠석날에는 비가 내리는 것이 보통인데, 이날 오는 비는 견우와 직녀가 1년 만에 만나는 환희의 눈물이고, 그 이튿날 오는 비는 이별하는 작별의 눈물이라고 한다. 칠석은 다음과 같은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하늘과 땅을 다스리는 옥황상제에게 어여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유두 때 참외를 수확하기에 앞서 고사를 지내는 풍습. 풍농(豐農)에 대한 희구와 농작물 관리에 대한 관심이 큰 지역에서는 유두부터 칠석까지 농한기이자 농작물이 성장하는 시기에 농신제(農神祭)를 지낸다. 농신제는 넓은 의미에서 논밭의 주신인 농신(農神)에게 지내는 제사이지만 제사 시기, 제사 대상, 제사지내는 곳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다. 유두고사, 유두제, 칠석...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가물칫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영명(英名)이 스네이크 피시(snake fish)로 ‘뱀 물고기’인데, 얼룩얼룩한 반점과 녹색에 가까운 피부와 뱀의 머리 형상을 빼닮은 두상이 그 이유를 설명하기에 충분하다. 전국의 오래된 대부분의 대형 저수지와 댐, 호수 및 강 주변의 저류지 등에서 서식한다. 현재 우리나라 어류 생태계에서는 유영을 하지 않으며 살아가는 메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