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광명 지역의 기반을 이루는 지각의 구성 암석 및 광물의 상태. 지질은 광명시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기반으로서의 지각이 나타내는 물리적 특성, 상태, 종류 및 지층 등의 특성을 말한다. 광명 일원의 지질 구조는 비교적 단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평균 폭 5㎞에 달하는 시생대의 결정편암계가 띠 모양으로 남북 방향으로 종심이 길게 배치되어 있...
-
경기도 광명 지역을 이루는 땅의 생긴 모양이나 형세. 지형은 해발 고도에 따라 산지, 구릉지, 평야[하천, 저수지]로 분류할 수 있다. 광명시는 광주산맥의 끝자락인 수리산(修理山)[474.8m]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부터 가학산(駕鶴山)[220.2m]을 비롯하여 서독산(書讀山)[180m], 구름산[雲山][237m], 도덕산(道德山)[183.1m]에 이르는 저산성산맥을 형성하며 남북...
고개
-
경기도 광명 지역에 있는 산등성이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고개는 산을 넘어가는 능선부로서 주요 교통로로 이용된다. 보통 고개라는 지명이 쓰이지만 이밖에 재·현·치(峙)·령(嶺) 등의 지명 접미사가 쓰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큰 고개에는 치나 령이 쓰이고 작은 경우는 고개·재·현 등이 쓰인다. 고개는 이동 수단으로 도보나 우마에 의지하던 시대에는 인접 지역과의 교통에 있어서 중요...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자경리마을 북쪽 덕안이마을에 있는 고개. 광명시 일직동 자경리는 지방에서 한양으로 이동할 때, 이 마을에 도착하면 이제부터는 한양이라는 뜻으로 자경리(自京理)라 했다고 전해진다. 이곳의 북쪽 마을을 덕안이라고 하는데 이 마을에 위치한, 언덕으로 이루어진 고갯길을 마을의 이름을 따서 덕안이고개라고 부르게 되었다. 성채산 남쪽의 제2경인고속도로가 지나는 일직분기점...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서 가학동 도고내로 넘어가는 고개. 서독산의 서편을 도고산이라고도 하는데, 서독산의 주변부 서편을 흐르는 하천을 도고내로 부르면서 가까이 있는 고개를 도고내고개로 부르게 되었다. 산정 부근으로는 떡갈나무와 팥배나무·때죽나무·굴참나무·갈참나무·밤나무 등의 나무가 자라고 있다. 도고내고개는 비포장도로로 되어 있으며, 인근에 있는 구름산·가학산·서독산 등으로 이어진...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과 철산동을 연결했던 고개. 석고개는 도덕산의 한 줄기였으나 도시 개발로 깎여나가 철산2동이 된 광명산과 도덕산 사이의 고갯길이었다. 고개 부근에서 발원한 개천이 광명사거리를 따라 목감천으로 흘러들어 갔다. 조선시대에는 험한 지형 때문에 도적이 들끓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일제강점기에 원광명 지역에서 안양천의 제방을 쌓으러 부역 나가던 길이기도 했었는데, 당시...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과 하안2동 사이의 안현마을에 있는 고개. 안현고개는 지금의 광명시 하안1동에 해당하는 지역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이 안현 지역의 고개를 기준으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발달된 지역을 안말, 북서쪽을 넘안말이라 부르기도 하였다고 한다. 고개를 기준으로 마을과 마을의 경계가 형성되고 이름을 인용하여 쓰게 된 것으로 보인다. 마을의 지형과 지세가 길마 형국이라 하여...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과 철산4동을 연결하던 고개. 철미고개는 광덕로가 개통되기 전 광명시 철산동 왕승골과 갠이불 지역을 연결하던 도덕산의 고갯길이었다. 현재 하안1동 가림터널 옆의 가림로 현대아파트 뒷길이 철미고개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철미고개는 도덕산 중턱에 위치하여 논두렁길 대신 철산4동과 하안1동을 다니는 지름길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철미고개는 주민들이 부르는 명칭으로 그...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과 노온사동을 연결하는 고개. 한치고개는 광명시 구름산과 운산에서 내려오는 습한 기운으로 인해 한 여름에도 찬바람이 불어와 시원하기에 한기를 느낄 수 있다 하여 한치라는 이름을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치고개는 광명시 노온사동에 위치한 고개의 하나로 밤일사거리를 향해 우측으로 구름산 자락이 배치되어 있고, 고개 못미처에는 운산이 있으며 아방리낚시터와 노온사정...
산
-
경기도 광명 지역에 분포하는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보통 상대고도 300m 이상 되는 경우를 산지라고 하고, 그 이하는 구릉지 또는 저산성 산지라고 표현한다. 산지가 연속된 것은 산맥이라고 한다. 보통 ‘산’이라는 명칭이 붙지만 드물게는 ‘봉’이라는 지명 접미사가 쓰이는 경우도 있다. 광명시는 국토의 중부 지방에 위치하여 있고, 해발 고도가 높은 산은 많지 않으나 크...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일직동, 노온사동, 소하동에 걸쳐 있는 산. 가학산(駕鶴山)은 구름산과는 능과 고개를 경계로, 서독산과는 도고내고개를 사이에 두고 솟아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발행 지형도에는 표기되어 있지 않은 독립된 산으로 알려져 있다. 외부 교란 요인이 발생하지 않는 한 비교적 안정된 산림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산이지만, 숲을 구성하는 생물학적 종의 다양성...
-
광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산. 광명에서 ‘광’자와 도덕산의 ‘덕’자를 따서 광덕산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광덕산은 광덕산 근린공원으로 조성되어 체육 시설과 인공 폭포 등이 설치되어 있어 인근 아파트 단지 주민의 쉼터로 이용되고 있다. 광덕산은 오리로·광덕산로·하안로·디지털로로 둘러싸여 있으며, 광명소방서·광명성애병원·철산3동우체국 등이 근접해 있다....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과 하안동에 걸쳐 있는 산. 광명산은 광명시에 소재한 산 중에서 세 번째로 높다고 하지만 정상은 해발 198m에 불과하다. 아울러 도덕산 남쪽으로 흐르는 줄기에 해당하지만 별도의 산으로 볼 수 없으나, 도덕산보다 해발고도가 15m 쯤 더 높아 도덕산의 지붕격에 해당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광명산의 산정에는 암장과 암반이 드러나 있으며 주변으로 참나무속인...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에 걸쳐 있는 산. 구름산은 광명시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광명시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또한 생태계가 유지되는 중심축으로, 생태적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산이다. 구름산은 광명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관계로 접근이 용이하여 광명 시민들이 즐겨 찾고 있다. 본래는 광명의 아방리에 있는 산이라 해서 아왕봉(阿王峯)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조선 후...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철산동·하안동에 걸쳐 있는 산. 도덕산의 주봉인 광명산을 축으로 광명동과 하안동 및 철산동으로 펼쳐진 산이다. 시내 중심에 위치하여 산의 정상을 기준으로 북동쪽으로는 광명시청과 광명시민회관이 있다. 반대 방향으로는 하안동 주거 지역과 공공시설인 광명시 실내체육관이 있고, 서쪽 방향으로는 광명동이 배향하고 있는 도심을 거느린 산이다. 도심에 인접한 지리적 특성상...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과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에 걸쳐 있는 산. 서독산은 광명시 소재의 야산 중에서 가장 안정된 물리적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해발 고도는 비교적 낮아 180m에 불과하지만, 자연 자원의 부존 가치가 대단히 높으며, 특히 멸종으로 치닫고 있는 반딧불이의 서식처로 널리 알려진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만, 인근의 안양시 도시 팽창과 광명시의 개발 압력으로 인해 현재...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산. 광명시를 통과하는 서해안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가 만나는 일직분기점에서 조망이 가능한 낮은 산이며, 기아자동차 소하리공장과 광명정보산업고등학교·광명역의 역세권인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으로 이어지는 도심으로 고립되어 가는 산지의 하나이다. 높이는 83m이다. 최근에는 광명시에서 성채산 자락 인근에 광명시립 메모리얼파크[광명납골당]를 건립하면서 안양지...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산. 왕재산의 주변에는 벚나무·전나무·대나무 등이 조성되어 있어서 조경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왕재산은 광명시 철산3동 철산주공아파트 12단지 내에 있는 작은 산으로 철산 상업 지구와 인접해 있어서 접근이 용이하며, 배드민턴장 등과 운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왕재산 근린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어 주민들이 즐겨 찾는 산이다....
-
경기도 광명시 광명5동에 있는 산. 일제강점기 때 오씨네가 너부대의 산을 종산으로 쓰면서 오씨종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공덕동에 오씨네 부자촌이 있었는데, 연관이 있는 것이 아닐까 짐작만 하고 있지만 오씨 집안이 너부대에 살았던 것은 아니라고 한다. 오씨종산은 광명시 광명5동주민센터와 광명시 장애인종합복지관이 있는 뒷산으로 현재 너부대 근린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공원이 조성되...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산.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작은 산으로 국토지리정보원 발행 지도에도 지명과 해발 고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심 공원으로 기능을 발휘하고 있으며, 최근 매년 철망산 철쭉축제를 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철망산 근린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으므로 자연적인 환경으로 생성된 식생이나 동물 분포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람쥐와 청설모, 멧새·딱새...
습지(濕地)
-
경기도 광명 지역에 분포하는 습기가 많은 축축한 땅. 습지란 유속이 느리며 연중 수자원에 의해 습윤된 조건을 갖추거나 유지하고 있으며, 생물의 다양성이 극히 높은 지역을 말한다. 이를 택지, 저류지, 늪지 등이라고도 한다. 습지는 다음 세 가지 가운데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첫째, 최소한 일시적이라도 습지 생활에 특별하게 적응한 식물인 수생식물이 현저해야...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남아 있는 습지. 양지천은 과거 덕언천의 발원지로 알려진 광명시 도고내고개 남서쪽에서 발원한 지천으로 일직저수지를 거쳐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지류이다. 양지천 습지는 서독터널 공사로 대부분 의미 있는 습역이 훼손되어 지금은 고유한 기능을 상실하고 하천의 역할만 남아 있는 실정이다. 양지천은 광명시의 남동단 하천으로서 일직동과 서독터널 방향에서 3~4개의 지류를...
-
...
하천(河川)
-
경기도 광명 지역의 육지 표면에서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 하천은 유역에 떨어진 강수를 일정한 유로를 통하여 배수한다. 하천은 비가 그친 후에도 마르지 않고 물이 흐르므로 지형도에서 청색 실선으로 그려진다. 광명시의 하천은 국가하천인 안양천과 지방하천인 목감천, 가학천 그리고 소하천인 옥길천, 가락굴천, 한교천, 온신천, 소하천, 노온사천, 노리실천, 가학1천, 가학2천...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노온정수장의 남쪽 측면에서 발원하여 노온사동 일대를 지나 목감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가락굴천은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노온정수장의 남쪽 측면에서 발원하여 노온사동 일대를 흐르는 하천으로, 광명로를 지나면서 지류인 한교천(寒橋川)과 합류되어 목감천(牧甘川)으로 흘러든다. 전해져 오는 이야기로는 원래 노온사동 가락골에 있던 성씨는 전주이씨이고, 이후 분성...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도고내고개 근처에서 발원하여 서쪽에서 목감천에 합류하는 하천. 가학천은 도고내고개 남쪽 910고지 서쪽 계곡에서 발원하여서 서쪽 도고내에서[자원회수시설] 가학1천과 남측의 가학2천이 모여서 뒷골·벌말 앞을 지나 목감천에 합류되는 하천이다. 가학동의 가골[원가학]과 동창골 사이를 능골이라 불렀는데 이곳이 학(鶴)의 서식처였다고 한다. 또 마을을 학들이 멍에처럼...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 경계에 있는 구름산 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기아천은 소하동과 노온사동의 경계에서 솟은 구름산 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설원리마을의 남쪽을 지나 가리대 부근에서 크게 굽이쳐 흐르다가 충현고등학교와 기아자동차 소하리 공장을 지나서 안양천으로 흘러들고 있다. 기아자동차 소하리 공장 앞으로 흐른다고 하여 기아천이라고 부르고 있다....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 경계에 있는 구름산 서쪽에서 발원하여 목감천으로 흐르는 온신천의 지천. 노온사동의 논사리[원노온사동·노온절·노온절리·노온사리·큰말]는 동·남·북쪽이 산으로 에워싸여 있고, 서쪽이 트인 마을이다. 논사리는 본래 이곳에서 서남쪽으로 약 700m 떨어진 곳에 있었는데, 병자호란 때 마을이 전소되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해서 살기 시작했다고 한다. 당시 마을에...
-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에서 발원하여 광명시를 지나 구일역 아래에서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목감천은 시흥시 목감동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목감동은 본래 안산군 초산면 지역으로 조선시대 때 목암사(牧岩寺)라는 사찰이 있었으며 사찰 경내에는 감나무의 개량 품종인 단감나무가 유명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이 지역을 목암사의 ‘목(牧)’자와 감나무의 ‘감(甘)’자를 따서 목감리라 하였으며, 이...
-
소하동의 오리동마을 앞을 동류하여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소하천의 유로는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 경계에 있는 구름산 남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기아자동차 소하리공장을 지나 소하고등학교 근처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서 복개되어 안양천으로 유입된다. 하천의 유로 연장은 3.44㎞이고, 유역 면적은 2.89㎢이며, 하천 연장은 1.64㎞이다. 소하천은 그동안 하천 유역에 고밀도...
-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경기도 안양시에 걸쳐 있는 삼성산에서 발원하여 광명시와 구로구를 지나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안양천의 지명은 안양 시가지 앞을 지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안양을 중심으로 뒤로는 수암천이 지나고 있고, 앞으로는 안양천이 흐르기 때문에 안양천을 앞개울이라 하고, 수암천을 뒷개울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갈천(葛川)이라고도 불렀다. 조선시대 지리서인 『...
-
경기도 광명시 학온동 서독산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흐르다가 일직저수지를 이루고, 동류하여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양지천은 서독산 210고지 남쪽에서 발원하여 북쪽부터 75고지~210고지~219고지~209고지~158고지를 지나 남동쪽으로 흐르다가 양지편마을 남쪽을 지나 일직저수지를 이루었다가 동류하여 안양천으로 흘러든다. 양지천은 한강의 제2지류로, 하천의 길이는 2㎞이다. 양...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역곡동과 서울특별시 구로구 항동을 지나 광명시 광명동에서 목감천에 합류하는 하천. 옥길천은 부천시 원미구 역곡동과 구로구 항동을 지나 광명동 광명돔경륜장의 맞은편 목감천 본류와 합류하고 광명동을 지나서 안양천으로 흐르는 하천이다. 옥길천은 목감천의 제1지류로, 하천의 길이는 1.48㎞이다. 옥길천은 부천시 원미구 역곡동과 구로구 항동의 생활하수가 유입되어 수질...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과 노사온동의 경계인 구름산의 남측 능선 계곡에서 발원하여 노온사저수지를 이루었다가 목감천에 합류되는 하천. 온신천은 애기릉~구름산~능고개~88고지에서 북서쪽으로 흘러 노온사저수지를 이루었다가, 서쪽으로 흘러 능촌마을과 사들마을 남쪽을 크게 굽이치며 목감천에 합류되는 하천이다. 온신천의 상류 구간은 하폭이 협소하고, 유로 자체도 곡류를 이루어 산지부와 접해 있는...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 북쪽 가학산 능선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목감천에 유입되는 하천. 장절천은 광명시 노온사동의 북쪽 가학산 능선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546고지~105.9고지와 장절리 동창골을 지나 목감천에 흘러드는 하천이다. 한강의 제3지류로, 하천의 길이는 2㎞이다. 장절천은 「소하천정비법」에 따라 하천으로 지정조차 되어 있지 않은 하천이다. 게다가 도로로 인...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 경계에 있는 구름산 북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하안천은 안현~146고지~횡단도로~89.5고지~구름산~198고지의 북동쪽으로 흘러 안터 남쪽 하안3동에서 저수지를 이루었다가 동류하여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이다. 하천의 길이는 2.75㎞이다. 안터저수지를 기점으로 하류 지역이 완전히 복개되어 하천의 기능이 상실된 하천이다. 안터...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 노온정수장 남측에서 발원하여 광명로를 지나 목감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한교천은 광명시 노온사동 노온정수장 남측에서 발원하여 원노온사에서 갈라져 흐르다가 광명로를 지나면서 두 개의 하천이 합류되어 목감천으로 흘러든다. 한교천의 상류 구간은 하폭이 협소하고, 유로 자체도 곡류하며 산지부와 접해 있는 실정이다. 하류 구간은 가락굴천으로 유입되는 자연 하천으로 둑의...
동굴·평야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석회동굴. 1994년 12월 서울특별시가 지하철 7호선[도봉~온수]을 착공하면서 발견되어 1995년 1월에 지질 분석을 위해 하부 지형을 표본 시험 시추 한 결과 철산역 건설 예정지에 길이 47m, 폭 23m, 높이 5~25m의 대형 공동(空洞)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1995년 3월 14일 굴착 작업 중 지하 10m 지점에서 깊이 5m, 폭...
-
경기도 광명 지역에 분포하는 기복이 적고 비교적 넓게 퍼진 땅. 평야는 지각이 오랜 동안 안정된 지역이다. 침강한 지역에 침식이나 퇴적에 의해 형성된다. 지각 운동의 파장(波長)이 큰 대륙에서는 넓은 평야가 형성되고, 새로운 조산대(造山帶)의 평야는 일반적으로 좁다. 평야는 크게 침식에 의하여 형성된 침식평야와 퇴적에 의해 형성된 퇴적평야[충적평야]로 나누어진다. 광명시의 평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