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자연마을. 자경리(自京里)는 『한국지명총람』에 따르면, “조선시대 서울의 경계로 이제부터 서울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자경리는 옛 시흥군 영역이었고, 당시 시흥군과 서울의 경계 지역은 서울 한강이 되므로 이치에 맞지 않는다. 광산김씨 대종중 정묘보[1747]와 병자보[1876]에는 성채산이 공경 받는 선비인 김원록(金元禄)...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자경리 저수지는 광명시 동남 측에 자리한 KTX 광명역에서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으로 연결되는 도로 사이에 위치해 있다. 자경마을은 KTX 광명역세권 택지개발사업 집단 에너지 공급 시설 지구에 포함되어 2010년 현재 삼천리 광명열병합발전소가 건립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경리 저수지는 소실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자경리 저수지는...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극락세계로 보내는 굿. 천도굿은 사람이 죽었을 때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 즉 극락에 보내기 위해 하는 무속 의례이다. 이를 ‘자리걷이’라고도 한다. 자리걷이는 죽은 사람이 오랫동안 앓아누워 있던 자리를 걷어낸다는 의미가 있다. 천도굿은 죽은 자의 저승길을 천도하는 의미와 산 사람은 죽은 자의 자리를 걷어냄으로써 죽음의 현실을 받아들이도록...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에 있는 가정용 의료기 제조업체. 1990년 3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에서 준원통신으로 창립되었으며 7월에 O.P.C동양정밀 전국총판 계약을 체결하면서 사세가 점차 확장되었다. 1993년 12월 자애통상으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1994년 3월 양천구 목6동에 자애의료기 전시장을 개장하였다. 1995년 8월 (주)메디텍 전국총판 계약 체결을 함으로써 전국에...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 본관은 금천(衿川). 자는 자양(子讓). 증조할아버지는 강양(姜揚)이고, 할아버지는 강비웅(姜非熊)이며, 아버지는 강희(姜曦), 부인은 성홍령(成洪齡)의 딸이다. 외할아버지는 성복동(成福仝)이다. 증손자로 여주목사를 지낸 강찬(姜燦)이 있다. 강숙돌(姜叔突)[?~1515]은 1492년(성종 23)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사관(史官)과 의금부도...
-
경기도 광명시 광명6동에 있는 환경 운동 단체. 1977년 발족한 (사)자연보호중앙연맹은 쓰레기 줍기 운동을 시작으로 자연보호 범국민운동을 최초로 주도한 역사와 전통이 있는 단체이다. 자연보호, 환경, 공해라는 말의 의미조차 생소하였던 그 시기에 자연보호의 개념을 정립하고 1978년 자연보호헌장을 제정하였다. 그리고 30년이 지난 지금 자연보호운동이 단순한 국토청결운동이 아니고 자...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자연의 예기치 않은 변동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피해. 자연재해는 수해, 풍해, 한발, 폭설, 지진 등의 급격히 나타난 자연 현상 때문에 입는 재난이다. 이를 천재지변, 기상재해, 기후재난, 자연재앙 등이라고도 한다. 자연재해는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기상재해와 지질재해로 구분할 수 있다. 기상재해는 태풍·홍수·호우·폭풍·해일·폭설·가뭄·냉해·우박·상해와 같이...
-
1990년 집중 호우로 인해 경기도 광명시 일원에서 발생한 수해. 광명시를 휘감아 지나는 안양천과 목감천 주변의 지리적 특성은 저지대에 형성된 자연 마을과 주거 지역이 많다는 점이다. 이런 특성상 태풍을 비롯한 강수량을 증가시키는 자연적인 기상 현상은 광명시의 자연 재해를 촉발하는 원인이 되어 왔다. 1990년도 예외는 아니어서 당시 기록을 보면 피해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자연의 예기치 않은 변동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피해. 자연재해는 수해, 풍해, 한발, 폭설, 지진 등의 급격히 나타난 자연 현상 때문에 입는 재난이다. 이를 천재지변, 기상재해, 기후재난, 자연재앙 등이라고도 한다. 자연재해는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기상재해와 지질재해로 구분할 수 있다. 기상재해는 태풍·홍수·호우·폭풍·해일·폭설·가뭄·냉해·우박·상해와 같이...
-
경기도 광명 지역의 지질, 지형, 기후 등의 지리적 조건. 자연지리는 인문지리의 상대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지리적·지형학적 특성에 비추어 본 지형, 지질, 기후, 배산, 하천 등이 주요 구성 요소를 이루는 자연 지리적 환경이다. 자연지리는 자연 현상에 기초한 영역을 다루고 있으므로 생활의 직접적인 부분보다 생활의 터전이 되는 지역의 물리적 특성이 주...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시 자원봉사센터의 거점 기관. 자원봉사 나눔누리터는 동주민센터 내에 위치하여 지역 내 자원봉사가 필요한 곳에 적합한 서비스를 하기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자원 봉사자를 모집하여 조직화하고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등 광명시 자원봉사센터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2008년 6월 19일 광명7동주민센터 내에 광명7동 자원봉사 나눔누리터가 개소...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안양천 주변 등지의 습한 곳이나 계곡이 형성된 자갈이 많은 토양을 가진 지역 등에서 서식한다. 이정목으로서 20리마다 심었다 하여 ‘스무나무’에서 시무나무로 이름이 생겨났다고 전해진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청명절에는 느티나무와 버드나무 장작으로 불을 붙여...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익(子益), 호는 반청와(蟠靑窩). 명재상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의 7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의금부도사와 지방 현감을 지낸 이존도(李存道)이고, 할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이인복(李仁復)이며, 생부는 교관(敎官)을 지낸 이언충(李彦忠)이다. 온양군수인 이언수(李彦秀)에게 입양되었다. 이겸환(李謙煥)[1739~1791]은 어려서...
-
경기도 광명시 내 자전거 문화를 정착시키고 그 기반 시설을 마련코자 하는 사업. 광명시 공원 녹지 기본 계획에 의거, 자전거 및 친환경 문화 공간을 조성하고 신개념의 자전거 체험 문화 공간을 창출하며 자전거 이용 활성화 선도 및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이다. 1. 광명 자전거 도로 구성 1) 기존도로 정비 및 신설도로 노선에 자전거 도로 계획 반영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폭나무는 팽나무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팽나무속 식물은 북반구에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약 70종이 서식하며, 우리나라에는 8종 2변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낙엽 교목이나 폭나무는 소교목에 속한다. 광명시 일원의 도덕산, 구름산, 서독산 등지의 햇볕이 잘 드는 비탈면 계곡부에서 서식하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큰 자로 작은 자를 치거나 튀기면서 노는 놀이. 자치기는 남자 아이들이 즐겨 하는 놀이로 협동심과 기민한 운동성, 그리고 담력을 키우고 거리감을 인식시키는 민속놀이이다. 큰 자[큰 막대]로 작은 자[작은 막대]를 쳐내고 이를 맨 손으로 받는 놀이이기에 다소 위험성이 따른다. 자치기는 어린이들이 가장 손쉽게 어울려 놀 수 있던 놀이로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화(子和). 할아버지는 현령을 지낸 이원보(李元輔)로, 이원익(李元翼)의 형이다. 생부는 이경부(李敬傅)이나 예조좌랑을 지낸 이성전(李性傳)에게 입양되었다. 이수함(李守諴)[1592~1656]은 1627년(인조 5) 생원시에 합격한 후 1645년(인조23) 별시 을과에 4위로 합격하였다. 용담현령(龍潭縣令)과 양근군수(楊根郡守) 등을...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상수리나무는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 등지를 포함한 전국 대부분의 산림과 숲 자락, 민가 주변 농경지와 임산지의 경계부, 산정 인근의 양지 등에 집단으로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참나무속 중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제 수고(樹高)도 높다. 아울러 지하고(枝下高)가...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자연마을. 큰말이라 불리는 설월리에 비해 마을 규모가 작아서 작은말이라 하였다. 작은말은 영당말에 살던 전주이씨 익녕군파 후손들이 분가하면서 이루어진 마을로 조선 말기 시흥군 서면 소하리에 속하였다. 1964년 시흥군 서면 소하4리에 속하였고, 1981년 시제 실시로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속하였다. 행정상으로는 광명시 소하2동 5통이다. 시제가 실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에 지내는 풍속. 광명 지역에서는 동지[양력 12월 22일 또는 23일]를 ‘작은설’, ‘아세(亞歲)’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옛날에 동지를 설로 삼았던 데서 나온 말이다. 그래서 24절기 중 동지를 태양이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고, 한 해가 시작되는 기점으로 여겨 예로부터 중시하였다. 동지를 작은설이라 한 것도 동...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피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장구밥나무는 일반적으로 해안가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내륙인 광명시의 도덕산 어귀 등지에서 볼 수 있다. 황해도 이남에서는 전국에 걸쳐 고르게 분포한다. 주황색 또는 황색으로 4개씩 마주 달리는 열매가 마치 장구처럼 생겨 ‘장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장구밤나무, 잘먹기나무라고도 한다. 높이는 2m에 이른다....
-
경기도 광명 지역의 민중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요는 오래전부터 작사자나 작곡자가 따로 없이 민중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해 오고 있다. 따라서 민요는 민중의 사상이나 생활, 감정 등을 소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때로는 국민성과 민족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광명의 민요들은 여타 경기 소리와 유사한 변천을 겪으며 민간에 유전되었으나 현재는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피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장구밥나무는 일반적으로 해안가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내륙인 광명시의 도덕산 어귀 등지에서 볼 수 있다. 황해도 이남에서는 전국에 걸쳐 고르게 분포한다. 주황색 또는 황색으로 4개씩 마주 달리는 열매가 마치 장구처럼 생겨 ‘장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장구밤나무, 잘먹기나무라고도 한다. 높이는 2m에 이른다....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피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장구밥나무는 일반적으로 해안가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내륙인 광명시의 도덕산 어귀 등지에서 볼 수 있다. 황해도 이남에서는 전국에 걸쳐 고르게 분포한다. 주황색 또는 황색으로 4개씩 마주 달리는 열매가 마치 장구처럼 생겨 ‘장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장구밤나무, 잘먹기나무라고도 한다. 높이는 2m에 이른다....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자연마을. 광명시에서 가장 먼저 장(場)이 열린 마을이어서 장터말이라 하였다. 장터말은 파주염씨가 처음 정착하여 세거하면서 집성촌을 이룬 마을로, 조선 말기에는 시흥군 남면 장기리였고, 1914년 시흥군 서면 가학리에 속하였다. 1964년 시흥군 서면 가학5리에 속하였고, 1981년 시제 실시로 광명시 가학동에 속하였다. 행정상으로는 광명시 학온동 9통...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자연마을. 광명시에서 가장 먼저 장(場)이 열린 마을이어서 장터말이라 하였다. 장터말은 파주염씨가 처음 정착하여 세거하면서 집성촌을 이룬 마을로, 조선 말기에는 시흥군 남면 장기리였고, 1914년 시흥군 서면 가학리에 속하였다. 1964년 시흥군 서면 가학5리에 속하였고, 1981년 시제 실시로 광명시 가학동에 속하였다. 행정상으로는 광명시 학온동 9통...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는 사회의 구성원이었던 사람이 죽어서 사회에서 분리되는 의례로 전통적인 관습이 가장 잘 나타나는 통과 의례이다. 보통 ‘장례(葬禮)’로 표현하기도 한다. 상례는 사람이 죽음에 임박한 시기부터 운명한 후 시신의 수습, 입관, 매장, 장례 후의 애도 기간 등과 관련된 모든 의례를 포함한다. 현대에는 전통 상례의 절차가 간소화...
-
경기도 광명시의 시화(市花). 장미는 쌍떡잎식물로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식물군의 총칭으로 북반구의 한대, 아한대, 온대, 아열대 지역 등에 자연적으로 분포한다. 관목성 식물로 100여 종의 야생종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장미라 부르는 것은 자연에 서식하는 야생 종간의 자연 잡종 및 이들로부터 얻어 낸 개량종을 말한다. 현재 특허 등록을 포함하여 수많은 계통과 품종이 개...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청동기시대의 대표적 묘제인 가학동 지석묘는 북방식의 탁자식 고인돌이다. 예전에 이곳에서 학들이 놀았다 하여 가학동이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하며, 장수바위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1960년대까지 마을 사람들의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광명사거리에서 안산 방면의 벌말 뒤쪽 산 정상부인 터골산과 북쪽의 나...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서 지내는 덕수장씨 종중의 제사.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뒷산 중턱에 남향으로 와가 13.22㎡ 규모의 덕수장씨 사당이 있다. 사당 안에는 신주 15위가 모셔져 있다. 음력 설날에 덕수장씨들이 모여 차례를 지낸다. 제비는 덕수장씨 종중의 재산으로 하며 제상에는 술, 떡, 떡국, 삼색 과일 등이 차려진다. 제례가 끝나면 음복을 한다....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장애인을 위한 복지시설. 장애인 복지시설이란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의료·교육·직업 재활·생활 환경 등을 개선하여 장애인의 생활 안정에 기여하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을 말한다. 「장애인복지법」은 장애인 복지시설의 종류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장애인 생활 시설은 장애인이 필요한 기간 생활하면서 재활에 필요한 상담·치료·훈련 등의 서비스를 받아 사회...
-
광명시와 광명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매년 개최하는 장애인의날 기념행사. 장애인의날 주간기념 걷기대회 및 문화축제는 ‘우리 하나 되어 세상 밖으로’를 구호로 4월 장애인의날 주간을 기념하여 개최되고 있다. 1부 걷기 대회와 2부 문화 축제로 나누어져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하나 되어 일정 거리를 완주하며, 또한 장애·비장애 청소년이 함께 공연하는 문화 축제와 다채로운 행사들로 이루어진다....
-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광명 출신의 독립운동가. 대한제국은 1905년 11월 일제에 의해 자행된 을사늑약(乙巳勒約)으로 자주적 외교권이 박탈되고, 이듬해 1월 통감부(統監府)가 설치되어 황제의 통치권이 크게 손상되었다. 1907년 7월 정미7조약(丁未七條約)에 따른 군대 해산으로 군인들이 대거 의병 대열에 참여함으로써 전국적인 의병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장원겸(張元謙)[1866~?...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 북쪽 가학산 능선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목감천에 유입되는 하천. 장절천은 광명시 노온사동의 북쪽 가학산 능선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546고지~105.9고지와 장절리 동창골을 지나 목감천에 흘러드는 하천이다. 한강의 제3지류로, 하천의 길이는 2㎞이다. 장절천은 「소하천정비법」에 따라 하천으로 지정조차 되어 있지 않은 하천이다. 게다가 도로로 인...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자연마을. 광명시에서 가장 먼저 장(場)이 열린 마을이어서 장터말이라 하였다. 장터말은 파주염씨가 처음 정착하여 세거하면서 집성촌을 이룬 마을로, 조선 말기에는 시흥군 남면 장기리였고, 1914년 시흥군 서면 가학리에 속하였다. 1964년 시흥군 서면 가학5리에 속하였고, 1981년 시제 실시로 광명시 가학동에 속하였다. 행정상으로는 광명시 학온동 9통...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갈참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 가학산, 서독산 등지의 비교적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군집을 형성하며 서식하고 있다. 참나무속 식물 중 수세(樹勢)가 중간 정도이며 흔히 연료목, 목재용, 기구용 등으로 많이 잘려 나가 주변에서 장수하는 나무를 보기 쉽지 않다. 실제 갈참나무 목질은 단단하고 무거우며...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말을 타고 오는 신랑에게 신부 마을 청년들이 재를 뿌리는 풍속. 1970년 이전에 광명 지역에서는 주로 전통 혼례식을 했는데, 이때 악귀를 쫓는 ‘잿꾸러미’라는 풍속이 행해졌다. 잿꾸러미는 신부 집에서 혼례식을 하기 위해 신랑이 말을 타고 신부의 마을로 들어갈 때 신부 마을의 청년들이 신랑에게 재[집단을 태워 만든 재를 종이에 싸서 사과 크기 정도로 뭉친 것]...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맹꽁잇과에 속하는 양서류.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과 추자도와 제주도, 전라도 및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주로 마을 주변의 습지나 두엄 밭, 휴경 과 들판의 습한 곳, 산지 등에서 흔히 발견되나, 이제는 서식 환경의 악화로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어 서식처 소멸과 종의 소멸을 우려하여 법정 보호종[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2급]으로...
-
경기도 광명 지역에 분포하는 습기가 많은 축축한 땅. 습지란 유속이 느리며 연중 수자원에 의해 습윤된 조건을 갖추거나 유지하고 있으며, 생물의 다양성이 극히 높은 지역을 말한다. 이를 택지, 저류지, 늪지 등이라고도 한다. 습지는 다음 세 가지 가운데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첫째, 최소한 일시적이라도 습지 생활에 특별하게 적응한 식물인 수생식물이 현저해야...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인공 저수 시설. 저수지는 습지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으며 람사협약의 정의에 따르면 습지는 크게 자연적인 습지와 인공적인 습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저수지는 농경지의 연못, 관수 농경지, 운하 등과 같이 인공 습지로 분류되며 습지의 생태적 특성을 잘 유지하기도 한다. 광명시의 안터저수지의 경우 환경부 법정 보호종인 금개구리가 서식하고 있어 내륙 습지로서의...
-
지방 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면서 지역 간, 지방 자치 단체 간 분쟁과 갈등이 점점 복잡하고 다양한 양산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주민들의 편익 증진이란 저마다의 타당성과 당위성을 내세우며 생활 폐기물 소각장과 하수 종말 처리장, 분뇨 처리 시설 등 ‘환경 기초 시설’을 건설하기 시작하면서 분쟁과 갈등이 첨예하게 드러나고 있다. 지방 자치 단체장들은 자신의 임기 안에 님비 현상을...
-
경기도 광명시가 1999년 전국 최초로 추진한 평생학습도시 선언의 배경과 과정 및 현황. 광명시의 평생학습도시 개념은 19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해 8월 민선 제2기 광명시장인 백재현의 지시로 8월 광명시청 총무과, 광명교육청 사회체육과, 광명문화원, 광명복지관, 하안종합복지관, 주민과 함께하는 광명 만남의 집 등 관계자 10여 명이 ‘평생학습센터 설립 추진을 위한 실무준비...
-
경기도 광명시에서 6급 이하 공무원들이 조직한 노동조합.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 광명시지부는 민주적이고 깨끗한 공직 사회 건설과 공무원의 노동 조건 개선 및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을 주요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2002년 4월 광명시청 대회의실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며 설립하였다. 2006년 8월 31일 행정자치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지시한 전국 공무원 노조 사무실에...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기아자동차 소하리공장에 있는 전국금속노동조합 산하의 노동조합. 전국금속노동조합 기아자동차지부는 노동운동의 미래를 짊어지고 생산하는 자가 세상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명제 하에 정부와 자본에 맞서 조합원들의 노동 조건 개선과 처우 개선을 성취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기아자동차지부는 1960년 8월 20일 대한노총 기아산업노동조합결성준비위원회를...
-
경기도 광명시에서 매년 개최하는 떡 경진 대회. 전국떡상품화경진대회는 광명시가 떡 브랜드 ‘고운결’의 인지도 향상과 전통 떡의 상품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2008년부터 개최하였다. 2009년 10월 21일 KTX 광명역 중앙 연결 통로에서 열린 제2회 전국떡상품화경진대회는 전국의 떡 산업 종사자 및 일반인, 학생들에게 신청을 받아 예선을 통과한 최종 37개 팀이 참가해 열띤 경쟁을...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광명성애병원 근로자들이 설립한 노동조합.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광명성애병원지부는 근로자들의 임금, 근로 조건 개선, 생활 향상 및 복지 향상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환자들의 실질적인 이익 도모를 함께 추구하고 있다. 2002년 3월 22일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광명성애병원지부로 출범하여 2002년 3월 28일 창립보고대회를 개최하였다. 3월 2...
-
한국미술협회 광명지부에서 매년 개최하는 전국 휘호 대회. 전국휘호대회 대한민국서예한마당은 전국 서예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현장에서 즉석으로 휘호하고 이 작품을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 위원 30명이 공개 평가하는 중요 휘호 대회이다. 2003년 10월 5일 전국휘호대회 대한민국서예한마당이 처음 개최되고 난 후 여론은 뜨거웠다. 신선한 이미지에 광명이 새롭게 서단에 등장하였고, 이를 열...
-
경기도 광명시의 대표적 인물인 정원용의 전복. 전복(戰服)은 문관과 무관의 군복인 구군복(具軍服)을 입을 때 그 위에 걸쳐 입던 옷이다. ‘답호’라고도 한다. 정원용(鄭元容)[1783~1873]이 입었던 전복은 1968년 12월 12일 중요민속문화재 제13-9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소매와 무, 그리고 앞섶이 없고 뒷솔기가 허리 아래로 트여져 있는...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정선(旌善). 자는 여견(汝見), 호는 석천(石泉). 정선전씨 안동파로 아버지는 호조판서 임하군 전응조(全應祖)이다. 전용(全龍)[1559~?]은 임진왜란 당시 사복시(司僕寺)에 속하여 판관으로서 선조를 호종하며 뒤따랐다. 개성 청서전(淸署展)에 안치된 종묘의 사주(社主)를 봉환할 때 왜군이 포위하여 왼쪽 뺨과 귀가 떨어지는 중상을 입으면서도 임무를 완수...
-
이한을 시조로 하고 이원익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전주이씨 시조 이한(李翰)은 선원선계(璿源先系)에 따르면, 전주에 토착해 온 명문 태생으로 신라 태종 무열왕의 10세손인 군윤(軍尹)을 지낸 김은의(金殷義)의 딸과 결혼하였고 문성왕 때 사공을 지냈다. 이한의 선대가 언제부터 전주에 세거했는지 알 수 없으나 이한 이후 전주에 세거하여 후손들이 전주를 관향으로 삼았다...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전주이씨 익녕군파 문중의 묘역. 전주이씨 묘역은 이원익(李元翼)의 종손인 이승규[전 연세대학교 의대교수]가 이원익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의 묘역에 그의 선조와 후손의 묘소를 이장하여 조성한 묘역이다. 여기에는 이원익의 묘소를 비롯하여 이정은(李貞恩), 이의전(李義傳), 이수약(李守約), 이증현(李曾賢), 이상현(李象賢), 이존도(李存道), 이인복(李仁復...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충현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전주이씨 익녕군파 후손이 받은 교지.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셋째 부인인 군부인(郡夫人) 평양조씨(平壤趙氏)의 묘소가 광명시 소하동[옛 소하리 마산(馬山) 삼석봉(三石峯) 아래]에 들어서면서 이곳은 군부인 조씨 소생 후손의 선산이 되었다. 이후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1547~1634]이 이곳에서 말년을 보...
-
최순작을 시조로 하고 최항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전주최씨는 최순작(崔純爵)을 시조로 하는 문열공파(文烈公派), 최균(崔均)을 시조로 하는 사도공파(司徒公派), 최아(崔阿)를 시조로 하는 문성공파(文成公派), 최군옥(崔群玉)을 시조로 하는 문충공파(文忠公派) 등 4파가 있다. 문열공파 시조 최순작은 고려의 삼한벽상공신인 최언위의 후손으로 고려 정종 때 문과에 급제...
-
전주최씨가 광명 지역 일대에 뿌리를 내린 것은 약 400년 전이다. 설월리에 전주최씨가 입향한 것은 그 즈음으로, 양주에서 이거(移居)한 전주최씨가 노온사동 장절리로 갔다가 곧이어 일부가 설월리에 정착했다고 한다. 2010년 현재 설월리에는 전주최씨 28대부터 30대 정도가 세거하고 있다. 전주최씨야말로 설월리의 터줏대감인 셈이다. 광명시가 도시화되기 전인 1970년대...
-
설월리에 들어서서 거닐다 보면 그 정겨움에 빙그레 웃음 짓게 하는 것이 있다. 자연을 닮은 모습, 아니 자연 그대로 얼기설기 쌓아 놓은 까만 돌담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담장이라고 하기엔 너무 낮은 돌담도 많다. 아마도 밭에 나뒹구는 돌들을 집 주위에 둘러 모아 놓은 모습에 가깝다. 이웃이라면 서로 얼굴을 마주보며 저녁 찬거리가 뭔지 곁눈질도 가능했으리라....
-
아방리[능말]에 남아 있는 한옥 중 가장 규모가 큰 집이 양주완 씨 댁이다. 노온사동 419-1번지[능촌길 26호]에 자리 잡은 양주완 씨 댁은 한때 논농사를 2만 1000여 평[6만 9421.49㎡]이나 지을 만큼 아방리[능말]에서는 알아주는 부잣집이었다. 또한 슬하에 4남 4녀를 두어서 가족도 많았다. 양주완 씨 댁은 안채와 사랑채가 '「 '와 ' 」'...
-
구름산 기슭 금천강씨 선산 옆에는 산제당과 약수터가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이 두 곳은 아방리[능말] 주민들에게 산신 신앙과 용신 신앙을 기반으로 하는 제당으로 기능하고 있다. 산과 물은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생명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신앙화 되며 그러한 자연물은 신격화 될 수 있다. 민중의 염원이 깊이 서려 있다. 원래 아방리[능말]의 산제당에는 노송...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지역민의 생활과 습관을 반영한 놀이. 놀이는 아동 놀이, 성인 놀이, 남자 놀이, 여자 놀이로 구분할 수 있으며, 참여 인원에 따라서도 나누어 볼 수 있으나 대부분 놀이는 여러 사람이 한데 어울리면서 이루어진다. 성인의 경우 바쁜 일상으로 명절이나 농한기 등에 가끔 놀이를 할 뿐 아이들과 같이 일상적으로 놀이를 하지는 않는다. 아이들은 여가 시간...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서울민예에서 생산하는 특산물. 광명시에서 생산되는 전통민속인형은 조선 말기 생활 복식을 인형으로 재현한 제품으로, 신랑·신부·도령쌍·선비쌍·왕쌍 등 100여 가지가 있다. 전통민속인형을 생산하는 서울민예는 1979년 10월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에서 창업하고 상호를 서울민예로 하였다. 1984년 광명시 소하1동으로 이전하였으며, 2000년 소하2동으로...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 있는 세종국악기사에서 생산하는 악기. 1980년대 초 세종국악기사의 설립자는 국악인이자 숙부인 조정삼 명장으로부터 악기 제작의 기초를 배웠으며, 1995년 세종국악기사를 설립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우리 고유의 전통 현악기인 가야금과 거문고는 수작업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악기 하나를 완성하기까지 3년이 넘는 시간이 필요하다. 가야금 한 대를 제작하기 위...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의 후손이다. 부인은 전주최씨(全州崔氏)이다. 이신(李愼)[1570~1634]은 임진왜란 때 영유 지방에서 시행된 무과 시험에 급제하여 관직을 시작하였다. 평안도 안주와 강계판관 등을 비롯하여 주로 평안도 지방의 수령을 지냈다. 그리고 함경북도병마절도사와 영흥부사를 역임하였다. 1624년(인조 2) 평안병사 이괄(李适)이 인조반정의...
-
경기도 광명시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며 공적으로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불교는 삼국시대부터 우리 민족에 전파된 후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광명시는 고산이 없는 관계로 오랜 전통 사찰은 존재하지 않고 해방 이후부터 터를 잡은 사찰들만이 존재한다. 하지만 향토사의 관점에서 보면, 광명 지역 역시 불교 사찰의 흔적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온사동(老溫寺洞)이라는 지명에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한 해를 24등분한 기후, 또는 이때 행해지는 풍습. 절기는 1년을 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15일 간격으로 24등분하여 계절을 구분하는 것이다. 1개월에서 5일을 1후(候), 3후인 15일을 1기(氣)라고 하여 기후의 기초로 삼고 있다. 1년의 24기는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는데, 절기는 월초에 해당하고 중기는 월중(月中)에 해당한다. 날짜는 해마다 양...
-
이재숙[1932년생] 씨는 집안일을 하면서 처녀티가 날 무렵, 아방리에서 신천리로 시집온 이웃집 아주머니 남편 소개로 아방리[능말]로 시집을 오게 되었다. 신랑은 금천강씨 강중근 씨로 이재숙 씨보다 두 살 연상이었다. 정확히 몇 살 때 시집을 왔는지 되물어 보았지만 이재숙 씨는 기억을 못했다. 그저 10대 후반으로 추정할 뿐이었다. 당시 아방리[능말]는 산골 마을로, 마...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성구(聖九), 호는 주계(周溪). 증조할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역임한 정동만(鄭東晩)이며, 아버지는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다. 아들로 정범조(鄭範朝), 손자로 정인승(鄭寅昇)을 두었다. 정기세(鄭基世)[1814~1884]는 1837년(헌종 3) 정시(庭試)에 병과 제1...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고(友古), 호는 졸암(拙庵). 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아들로 조선 후기 여섯 차례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 있다. 정동만(鄭東晩)[1753~1822]은 1786년(정조 10) 진사시에 합격한 후 1804년(순조 4) 경릉참봉(敬陵參奉)이 되었다. 직장(直長)과 주부(主簿)를 거쳐 외직으로 현령과 군...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동만의 묘소. 정동만(鄭東晩)[1753~1822]의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고(友古), 호는 졸암(拙庵)이다. 아버지는 대사간을 지낸 정계순이며, 아들은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다.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고 1804년(순조 4) 경릉참봉(敬陵參奉)이 되어 경기도 고양군에 나갔으며, 1807년에 의영고봉사(義盈庫奉事)가 되...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동만의 묘갈. 정동만(鄭東晩)[1753~1822]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고(右古), 호는 졸암(拙庵)이다. 아버지는 대사간(大司諫) 정계순(鄭啓淳)이다. 1786년(정조 10)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후 1804년(순조 4) 경릉참봉(敬陵參奉)에 임명되어 경기도 고양군에 나갔으며, 1807년(순조 7) 의영...
-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서(禹書), 호는 석정(石汀), 규당(葵堂). 증조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지낸 정동만(鄭東晩)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과 승정원도승지를 지낸 정기세(鄭基世)이다. 정범조(鄭範朝)[1833~1897]는 1859년(철종 10)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에 등용된 후 성균관 대사성과 홍문관...
-
경기도 광명시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며 공적으로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불교는 삼국시대부터 우리 민족에 전파된 후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광명시는 고산이 없는 관계로 오랜 전통 사찰은 존재하지 않고 해방 이후부터 터를 잡은 사찰들만이 존재한다. 하지만 향토사의 관점에서 보면, 광명 지역 역시 불교 사찰의 흔적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온사동(老溫寺洞)이라는 지명에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신 이상에 걸렸을 때 조치하는 방법. 정신이상 치료는 신경 정신 계통의 장애로 비정상적이고 괴이한 행동을 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민간요법이다. 1999년 광명문화원에서 발행한 『학온동지』의 64쪽에는 “할머니가 된장, 쌀, 김치를 넣고 죽을 쒀서 아픈 사람에게 가서 나한테 달라며 세 번 축원 후 침을 세 번 뱉어서 개천에 버린 후 칼을 꽂고 바가지를 엎어 둔다...
-
조선 후기 광명 지역의 대표적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선지(善之), 호는 경산(經山). 영의정을 지낸 정태화(鄭太和)의 6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지낸 정동만(鄭東晩)이다. 어머니는 용인이씨이다. 외할아버지는 예조판서 이숭호이다. 부인은 예조판서 김계락의 딸이다. 아들로 이조판서를 지낸 정기세(鄭基世)와 목사를...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 광명시 향토행정사료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와 개항기 문신이자 학자인 정원용(鄭元容)에게 발급된 교지. 경산(經山) 정원용[1783~1873]은 1824년(순조 24) 아버지 정동만(鄭東晩)의 묘소를 현재의 광명시 학온동으로 이장하면서 이 일대에 세거지를 마련하였다. 그 뒤 정원용 자신은 물론이고, 1970년대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으로 이장하기 전까...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문신 정원용의 묘소. 정원용(鄭元容)[1783~1872]은 1802년(순조 2)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가주서를 거쳐 예문관검열, 홍문관부응교, 이조참의, 대사간, 강원도관찰사 등을 지내다가 1831년 동지사로 청나라 연경에 다녀왔다. 1837년(헌종 3) 예조판서에 오르고 이어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중추부판사가 되었다가 1848년 영...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개항기 정원용의 묘갈. 정원용 묘갈은 1872년 정원용(鄭元容)의 사후, 일찍이 준비해 놓은 구름산 아래 주봉(珠峯) 갑좌(甲坐) 아래에 먼저 별세한 정경부인 강릉김씨와 합장한 묘역에 맏아들인 정기세(鄭基世)가 주도하여 묘 앞에 세운 것이다.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 산178-6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서울~안산 간 국도 상행선 방향이다. 광명IC 진입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세시풍속. 대보름은 정월 대보름을 말하며,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중원(中元)[7월 15일], 하원(下元)[10월 15일]과 연관해서 부르는 한자어이다. 또 이날을 오기일(烏忌日) 또는 달도(怛忉)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월 14일을 작은 보름, 15일을 큰 보름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대보름으로 부르는 것은 세시...
-
광명시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날에 개최하는 행사. 정월 대보름은 우리나라 세시풍속에서 비중이 크고 뜻이 깊은 날이기 때문에 ‘대보름’이라고 부른다. 매우 드물기는 하지만 정월 14일을 작은 보름, 15일을 큰 보름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이날을 상원(上元)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중원(中元)[7월 15일], 하원(下元)[10월 15일]과 연관해서 부르는 한자어이다. 정월대보름축제는 광...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 광명시 향토사료관에 있는 개항기의 문신 정인승의 초상. 「정인승 초상」은 개항기의 문신 정인승(鄭寅昇)[1859~1923]의 27세 때 초상이다. 정인승의 본관은 동래(東萊)이며 1882년(고종 1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85년(고종 22) 예문관대교를 거쳐 시강원사서, 이조정랑, 시강원겸필선 등을 지냈다. 1889년(고종 26)에 성균관대사성...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3월에 나뭇잎이 피는 모습을 보고 행하는 점풍(占豊). 나뭇잎 피는 것 보고 풍흉점치기는 음력 3월 나무에 잎이 피는 모양을 보고 그해의 농사에 대한 풍흉을 점쳤던 세시풍속이다. 이를 나뭇잎으로 점치기, 정자나무잎 피는 것 보고 풍흉점치기, 느티나무잎으로 점치기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마을의 당산나무나 정자나무 또는 마을에 있는 느티나무...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명절. 설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원일(元日)·원단(元旦)·세수(歲首)·연수(年首) 등이라고도 부른다. 설을 한자로 신일(愼日)이라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이다. 설날을 시점으로 새로운 해가 시작되므로 한 해의 운수가 첫날에 있다고 생각했던 옛 사람들의 정신과 몸가짐을...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정중(正中), 호는 월호(月湖)·설창(雪窓)·남곡(嵐谷). 아버지는 태종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示+多)이다. 이정은(李貞恩)은 일찍이 수천부정(秀川副正)에 봉해졌다가 종친부도정(宗親府都正)을 지낸 뒤 수천군(秀泉君)에 봉해졌다. 인품이 독실하고 돈후하여 스스로 겸손하며, 식견과 도량이 있고, 학문의 이치를 터득하여...
-
경기도 광명시에서 지역민을 통해 획득한 권력을 행사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총체적 활동. 과거에는 정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일방적인 정책의 추진이 가능하였지만, 현재는 국민의 이해 수준이 높아지고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출현으로 인하여 정책 환경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과거의 정부가 행정을 주도하는 중앙 행정식 관리를 벗어나 행정의 비대화를 극복할 수 있고...
-
2000년 태풍 프라피룬으로 인해 경기도 광명시에 발생한 소규모 수해와 대형 풍해. 2000년 광명시를 스쳐간 제12호 태풍 프라피룬은 태국에서 명명한 이름이다. 태풍 프라피룬[태풍 번호 0012, JTWC 지정 번호 20W, 국제명 Prapiroon]은 1등급 태풍[SSHS]으로 분류될 만큼 강력한 바람을 동반하여 북서태평양에 발생한 12번째 태풍으로서, 한반도에 상륙하여 한국과...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및 하안동 일부 지역에 대한 도시 기반 시설 설치, 건축물 정비 및 경관 조성 계획. 지구단위계획은 종전의 「건축법」에 의한 도시 설계와 「도시계획법」에 의한 상세 계획을 통합하면서 생긴 제도로 도시 내 일정 구역을 대상으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 친화적 도시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또는 도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계획이다. 즉 광...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서 일직동구간을 경유하여 안양과 인천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는 길이 27㎞로, 고속국도 제110호선이다. 왕복 4·6차선으로, 안양시 만안구 삼막IC에서 일직분기점·광명IC·안현분기점·신천IC를 거쳐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IC에 이른다. 인천과 서울 강북 지역을 잇는 경인고속도로[고속국도 120호선]는 1968년 개통되어 1970년대 고도 경제...
-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이 장악하고 있던 법령 제정권.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로 대한제국은 일본의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통치를 받게 되었다. 헌병 경찰 제도로 요약되는 일제의 악랄한 통치 방식은 세계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였다. 이와 함께 일제는 조선인의 저항을 효과적으로 막고 한반도를 일본 본토에 종속시키고자 조선 총독에게 거의 무한대의 권력을 부여하였다. 한반도가 일...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돌아가신 조상이나 특정한 신명(神明)을 받들어 복을 빌기 위해 행하는 추모 의례. 사례(四禮) 중 하나인 제례는 신령에게 술과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의식을 말한다. 제례는 전통적으로 하늘에 대한 제천 의례, 일월성신(日月聖神)이나 산천에 드리는 의례, 종묘와 사직을 숭배하는 왕실 의례, 마을 공동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대동제, 개인...
-
경기도 광명시의 대표적 인물인 정원용의 제복. 제복(制服)은 왕이 종묘사직 등에 제사를 지낼 때 함께 참여한 신하들이 입었던 옷이다. 정원용(鄭元容)[1783~1873]이 입었던 제복은 1968년 12월 12일 중요민속문화재 제13-10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머리에는 양관을 쓰고 푸른색 청초의를 입었다. 제복은 깃 모양이 둥근 단령으로 소매가 넓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돌아가신 조상이나 특정한 신명(神明)을 받들어 복을 빌기 위해 행하는 추모 의례. 사례(四禮) 중 하나인 제례는 신령에게 술과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의식을 말한다. 제례는 전통적으로 하늘에 대한 제천 의례, 일월성신(日月聖神)이나 산천에 드리는 의례, 종묘와 사직을 숭배하는 왕실 의례, 마을 공동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대동제, 개인...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아이의 점지와 출산, 수명과 질병 등을 관장하는 가신(家神). 제석(帝釋)은 가신신앙에서 모시는 신격의 하나로 안방이나 안방 다락에 모셔지는 신이다. 이를 ‘삼신’이라고도 한다. 제석신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경상도에서는 세존(世尊)으로 모셔지기도 하나 황해도에서 제석신은 복을 주는 신으로 모셔진다. 경기도 남부 지역에서는 제석이라는 말 보다는 ‘삼...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던 극장. 광명시 일원에 세워진 최초의 극장은 1971년 소하동에서 개관한 서천극장과 광명동의 개봉극장이다. 개관 첫 해 400석의 서천극장에는 7만 3885명, 600석의 개봉극장에는 1만 6028명의 관객이 들었다. 1977년 서천극장이 폐관된 이후에는 개봉극장이 광명시에서 유일한 대형 극장으로서 명맥을 이어 갔다. 두 극장 모두 재개봉하는 동시 상영...
-
경기도 광명시의 산업 중 각종 원료를 가공하여 물품을 만드는 업종. 제9차 한국표준산업분류[2007. 12. 28]에 따르면 ‘제조업이란 원재료[물질 또는 구성 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투입된 원재료를 성질이 다른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르면 제조업을 식료품, 음료, 담배, 섬유 제품 제조업, 의복·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 제...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무용 단체. 조대식 무용단은 한국 공연 문화 상품의 세계화라는 큰 목적 아래 지역민들에게 무용을 통하여 문화 욕구를 충족시키며 지역 무용 발전을 꾀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4월 조대식 단장을 중심으로 15명으로 출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양한 무용 공연 및 지역의 소외 계층 위문 공연, 찾아가는 문화 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 기전무용제...
-
경기도 광명시의 대표적 인물인 정원용의 조복. 조복(朝服)은 아침에 왕에게 문안 인사를 드릴 때 입었던 관복으로, 1416년(태종 16)에 제정되었다. 조복이란 신하가 천자에게 나아갈 때 입는 옷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금관조복’이라고도 한다. 정원용(鄭元容)[1783~1873]이 입었던 조복은 1968년 12월 12일 중요민속문화재 제13-1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민속박...
-
금천강씨 선산은 애기능저수지에서 영회원 가는 길로 가다가 중간 지점에서 왼편 산 쪽으로 난 길을 따라 조금 올라가면 있다. 이곳은 금천강씨가 민회빈 강씨의 일로 멸족을 당하기 전부터 누대에 걸쳐 형성된 곳으로, 강양(姜揚)[한성판윤], 강비웅(姜非熊)[산음현감], 강희(姜曦)[이조정랑], 강숙돌(姜叔突)[대사간], 강뢰(姜賚)[소격서참봉], 강유경(姜惟慶)[삼등현령],...
-
1392년에서 1910년까지 조선 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의 경기도 광명 지역 역사. 조선 왕조는 1392년 7월 17일[음력] 이성계(李成桂)가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恭讓王)에게서 양위를 받아 왕위에 오름으로써 시작되었다. 경기도 광명 지역은 조선시대에 금천 또는 시흥이라 일컬어졌던 지역에 주로 속해 있었다. 금천은 고구려의 잉벌노현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고려시대에는 금주(...
-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하천 이용과 관련하여 광명 지역에 내린 조치. 조선하천령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어업 및 하천 이용에 관해 내린 규제 명령으로, 하천을 국토 경영의 일환으로 철저히 관리하려는 목적에서 시행되었다. 조선하천령을 통해 하천이 국유로 규정되었으며, 하천변과 둑 등 하천 구역에 대해서도 사유를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폐천(廢川) 처분의 규정이 없어 폐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부엌과 불을 관장한다고 믿는 가신(家神). 조왕(竈王)은 집안에 모시고 위하는 가신신앙의 한 대상으로 불씨 및 부엌 등을 관장하는 신이다. 조왕신은 여느 가신처럼 특별한 신체는 없다. 농경을 기반으로 농가 주택이 있을 때는 부엌의 부뚜막에 조왕을 모시는 선반을 만들어 물 한 그릇[정화수]을 올려놓고 주부가 비는 것이 일반적이다. 광명시 학온동 능촌마을의 경우,...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족제빗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족제비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만주, 우수리, 연해주, 일본 등지에서 서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에 걸쳐 민가 주변, 낮은 산지와 전답의 경계 지역, 물가 등에 많이 서식한다. 번식기를 제외하고 대부분 단독 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인가 주변의 농경지 경계 지점에 형성된 밭둑, 석축 사이, 냇가의 큰 돌 틈 등에 구멍을 파...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고(友古), 호는 졸암(拙庵). 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아들로 조선 후기 여섯 차례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 있다. 정동만(鄭東晩)[1753~1822]은 1786년(정조 10) 진사시에 합격한 후 1804년(순조 4) 경릉참봉(敬陵參奉)이 되었다. 직장(直長)과 주부(主簿)를 거쳐 외직으로 현령과 군...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졸참나무는 광명시에 서식하는 기본 6종의 참나무속 식물 중 잎이 가장 작다. 아울러 열매인 도토리도 작은 편이며 대신 길쭉하다. 높은 산정에서 낮은 습지 주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우리나라 토양에 잘 적응해 살아가는 수종으로 거목으로 자라는 특성이 있기도 하다.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소수서원에는...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2월 6일에 달과 좀생이별을 보고 점을 치는 풍속. 좀생이별은 작은 별이 한데 모여 하나의 성군을 이루고 있는 별무리를 의미한다. 2월 6일이면 달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 가며 운행한다. 좀생이점 보기는 농사점(農事占)의 하나로 달의 옆을 따라가는 작은 별들인 좀생이의 모양과 달의 거리를 통해 그해 농사의 풍년 또는 흉년을 점치는 세시풍속이다. 그런데 좀...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2월 6일에 달과 좀생이별을 보고 점을 치는 풍속. 좀생이별은 작은 별이 한데 모여 하나의 성군을 이루고 있는 별무리를 의미한다. 2월 6일이면 달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 가며 운행한다. 좀생이점 보기는 농사점(農事占)의 하나로 달의 옆을 따라가는 작은 별들인 좀생이의 모양과 달의 거리를 통해 그해 농사의 풍년 또는 흉년을 점치는 세시풍속이다. 그런데 좀...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폭나무는 팽나무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팽나무속 식물은 북반구에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약 70종이 서식하며, 우리나라에는 8종 2변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낙엽 교목이나 폭나무는 소교목에 속한다. 광명시 일원의 도덕산, 구름산, 서독산 등지의 햇볕이 잘 드는 비탈면 계곡부에서 서식하고...
-
경기도 광명시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신앙 행위의 총칭. 광명 지역의 종교 역사는 도시화되기 이전 토박이 주민들이 관습적으로 믿어 왔던 토착 신앙에서부터 출발할 수 있다. 20세기 초 초가집에서 시작된 개신교 교회, 1956년 소하동에 설립된 불교 사찰, 1975년 설립된 천주교 광명성당 등 지역에 인구가 늘어나면서 점차 다양한 종교들이 교세를 확장하였다. 1981년에는 통일교, 19...
-
경기도 광명시 광명5동에 있는 비영리 청소년 단체. 사단법인 좋은친구들은 청소년들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적이고 사회 환경적인 문제를 다양하고 전문적으로 접근하여 해결 방안을 마련, 실천함으로써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의 토대와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지속 가능한 공존과 정체성을 정립하도록 도우며 나아가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스스로의 행복한 삶을 설계하고 미래의 국가와...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자연마을. 자경리(自京里)는 『한국지명총람』에 따르면, “조선시대 서울의 경계로 이제부터 서울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자경리는 옛 시흥군 영역이었고, 당시 시흥군과 서울의 경계 지역은 서울 한강이 되므로 이치에 맞지 않는다. 광산김씨 대종중 정묘보[1747]와 병자보[1876]에는 성채산이 공경 받는 선비인 김원록(金元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성구(聖九), 호는 주계(周溪). 증조할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역임한 정동만(鄭東晩)이며, 아버지는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다. 아들로 정범조(鄭範朝), 손자로 정인승(鄭寅昇)을 두었다. 정기세(鄭基世)[1814~1884]는 1837년(헌종 3) 정시(庭試)에 병과 제1...
-
경기도 광명시 철산4동에 있는 사회봉사 및 시민운동 단체. 설립자 노은혜[메리놀 수도회] 수녀는 1992년 미국 위스콘신 주 밀워키 시에서 태어났다. 메리놀 수도회에 입회해 간호학과 수련을 마치고 10년간 스리랑카에서 간호 선교 활동을 하며 제3세계의 비참한 현실을 접했다. 1964년 한국으로 들어와 연세대학교 어학당에서 한국어 교육을 받고 1966년 부산 메리놀간호전문대 학장으로...
-
우리 민족은 가는 곳마다 먼저 학교를 세우고 높은 교육열로 자녀들을 가르쳤다는 이야기는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철산동의 광명광덕초등학교 설립 이야기는 우리 민족의 높은 교육열을 그대로 보여 준 철산리 주민들의 실제 경험담이다. 1959년 주민들이 직접 세운 광명광덕초등학교는 주민들의 자랑이었고 1970~1980년대까지만 해도 지역 내 중요한 공공 기관의 역할을 다하고 있었다. 별다...
-
경기도 광명시에서 지역 주민을 위해 운영하는 문화 복지 편익 시설. 1999년 2월 행정자치부의 ‘읍·면·동 기능전환 시범실시 지침’ 시달에 의하여 설치되기 시작한 주민자치센터는 읍·면·동사무소의 여유 공간에 설치된 각종 문화·복지·편익 시설과 프로그램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며, 지역 실정에 따라 ‘동민의 집’, ‘문화센터’, ‘복지센터’ 등 다양한 이름을 붙여 사용할 수 있다. 「...
-
개항기 경기도 광명 지역의 향리들이 모여 고을의 사무를 처리하던 통치 기구. 읍사(邑司)는 지방 향리 조직의 기반이 되는 수령의 하부 행정 체계로서 제1차 시흥농민봉기 때 광명 지역에 있던 농민의 집합 장소로 사용된 관청이다. 읍사는 군현 단위로 설치된 곳들의 총칭이며, 실제로는 해당 군현의 격에 따라 주사(州司)·부사(府司)·군사(郡司)·현사(縣司)·진사(鎭司) 등으로 불렸다....
-
경기도 광명 지역의 주택과 주거지에서의 삶. 오늘날 광명시의 주거 형태는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등이 있는데 아파트가 전체 주택의 60%를 넘어서고 있다. 이는 광명시뿐만 아니라 전국의 도시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양상이다. 이에 비해 전통적인 살림집의 형태를 지닌 단독주택은 개축 및 신축으로 인해 점차 줄어가는 추세이다. 1970년대 말까지만 하더라도 광명 지역에...
-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에 있는 주택관리공단 광명 지역 관리소. 주택관리공단은 국내 최대·최고의 주택 관리 전문회사로 주택 관리 부문의 선진화에 기여하고 국내 리모델링 기술 축적 및 보급으로 국내 공동 주택의 관리 효율성을 선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8년 9월 (주)뉴하우징을 설립했으며 10월에 주택관리업 등록을 하였다. 2003년 11월에 주택관리공단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에 있는 주택관리공단 광명 지역 관리소. 주택관리공단은 국내 최대·최고의 주택 관리 전문회사로 주택 관리 부문의 선진화에 기여하고 국내 리모델링 기술 축적 및 보급으로 국내 공동 주택의 관리 효율성을 선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8년 9월 (주)뉴하우징을 설립했으며 10월에 주택관리업 등록을 하였다. 2003년 11월에 주택관리공단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중량(仲亮), 호는 서은(西隱). 증조할아버지는 성복영(成復榮)이고, 할아버지는 진사 성열(成烈)이며, 아버지는 홍문관교리를 지낸 성우규(成禹奎)이다. 성종영(成鍾永)[1827~1890]은 1865년(고종 2)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후 1880년(고종 17) 상서원직장을 거쳐 1886년(고종 23) 예안현감과 연산현감, 1887년...
-
경기도 광명시 광명3동에 있던 극장. 광명시 일원에 세워진 최초의 극장은 1971년 소하동에서 개관한 서천극장과 광명동의 개봉극장이다. 개관 첫 해 400석의 서천극장에는 7만 3885명, 600석의 개봉극장에는 1만 6028명의 관객이 들었다. 1977년 서천극장이 폐관된 이후에는 개봉극장이 광명시에서 유일한 대형 극장으로서 명맥을 이어 갔다. 두 극장 모두 재개봉하는 동시 상영...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오(仲悟). 증조할아버지는 권치(權錙)이고, 할아버지는 권식(權湜)이며, 아버지는 증좌승지 권침(權琛)이다. 외할아버지는 김석보(金碩輔)이다. 부인은 변훈남(卞勳男)의 딸이다. 권형(權詗)[1541~1605]은 1568년(선조 13)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적을 두고 있던 중 처음으로 목청전참봉(穆淸殿參奉)에 제수되었고, 다시 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음력 5월 5일 단오는 양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설·추석과 함께 3대 명절의 하나이다. 이를 수리, 천중절, 중오절, 단양, 수릿날 등이라고도 한다. 성장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삿날인 단오에는 두 가지의 의미가 담겨 있다. 하나는 모심기가 끝나고 이제 수확은 하늘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고 하여 성장과 증식을 비는 축제라는 것이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 백중(白中)은 농민들이 세벌김매기가 끝난 후, 여름철 농한기에 잠시 휴식을 취하는 날이다. 이를 백종(百種), 백중(百衆), 백종절(百種節), 중원일(中元日), 망혼일(亡魂日) 등이라고도 한다. 백중에 사람들은 조상의 사당에 천신을 드리며, 술과 고기를 마련하여 노래와 춤으로 하루를 즐긴다. 승려들은 사원에서 재를 올려...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자연마을. 능말과 새터말[노온사동] 사이에 있는 마을이므로 가운데말이라 하였다. 가운데말은 능촌에 살던 강봉서(姜鳳瑞)의 후손인 금천강씨들이 분가하여 정착한 이래 김해김씨·남원양씨 등이 터를 잡은 마을로 조선 말기에는 시흥군 남면 아방리에 속하였다. 1914년 부군 통폐합으로 시흥군 서면 노온사리에 속하였고, 1964년 1월 1일 시흥군 행정리 확장으...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은 음력 8월 보름으로 가을 계절의 한가운데에 속하기에 중추(中秋), 중추절(仲秋節)이라고 한다. 추석의 다른 이름인 한가위와 가윗날이라는 명칭은 신라시대에 비롯된 우리 민족 고유의 말이다. 추석은 설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2대 명절이다. 이때쯤에는 백과가 만발하기 때문에 농촌에서는 최고의 명절로 친다. 추석에는 조...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은 음력 8월 보름으로 가을 계절의 한가운데에 속하기에 중추(中秋), 중추절(仲秋節)이라고 한다. 추석의 다른 이름인 한가위와 가윗날이라는 명칭은 신라시대에 비롯된 우리 민족 고유의 말이다. 추석은 설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2대 명절이다. 이때쯤에는 백과가 만발하기 때문에 농촌에서는 최고의 명절로 친다. 추석에는 조...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중등 보통 교육 담당 기관. 중학교는 초등학교에서 배운 초등 보통 교육의 기초 위에 3년 동안 중등 보통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이다. 1951년 9월 1일을 기하여 6·3·3·4의 기간 학제에 따른 3년제 중학교가 제도적으로 확정되었고, 1969년부터 중학교 무시험 입학제가 실시되어 1971년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1980년 12월의 개정헌법에서는 중학교 교육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2월 1일에 콩을 볶아 먹으면서 1년 무병을 기원하는 풍속. 콩볶아먹기는 음력 2월 1일이나 십이지일(十二支日) 또는 명절에 농가에서 콩을 볶거나 콩을 밭에 뿌려 사람이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동식물의 번성을 미리 방지하는 주술 행위이다. 이를 콩볶기, 쥐볶기 등이라고도 한다. 이처럼 콩을 볶는 것은 부스럼이나 종기 등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다. 『동국세...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논둑과 밭둑에 불을 놓으며 노는 놀이. 쥐불놀이는 음력 정월의 첫째 자일(子日)[쥐날]에 농부들이 들판에 쥐불을 놓아서 해충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행했던 농사 기원 민속놀이이다. 이를 ‘서화희(鼠火戱)’, ‘불싸움’ 등이라고도 한다. 또한 음력 1월 14일이나 보름날 밤에 횃불놀이를 겸해서 쥐불놀이를 한다. 쥐불놀이는 잡귀를 쫓고 신성하게 봄을 맞이한다는 것...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정월 초사흗날부터 대보름 사이에 행하는 민속놀이. 지신밟기는 해마다 음력 정월 3~14일에 두레패가 집집마다 다니면서 지신(地神)을 위로하며 가정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이다. 지신은 마을과 집의 터를 지켜주는 신이다. 땅을 밟으면서 잡신을 쫓고 고사(告祀)를 올리며 복을 비는 지신밟기를 한다. 이를 마당밟기, 매귀놀이, 지경다지기 등이라고도 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말을 정해진 방향과 횟수대로 움직여 상대방의 말을 가두거나 따내며 승부를 가리는 놀이. 고누는 광명시에 전해 내려오는 어른과 어린이 모두 즐기는 민속놀이로, 땅바닥이나 사방 30㎝쯤 되는 널판에 여러 가지 모양의 판을 그리고 돌·나뭇가지·풀잎 등을 말로 삼아 승부를 겨루는 경합 쟁취형 놀이이다. 이를 꼬누, 고니, 꼬니, 꼰, 꿘, 지기(地碁) 등이라고도 한다...
-
전자, 정보, 통신, 제어 등의 기술을 교통 체계에 접목시킨 경기도 광명시의 지능형 교통 시스템. 지능형교통시스템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는 광명시 전역에 대한 교통 정보 수집 기반 시설의 설치와 함께 이를 통합 처리하는 교통정보센터를 두고 신속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차세대 교통 체계를 만들기 위해 구축하고 있는 지능형교통시스템이다. 도시 내...
-
아방리[능말] 마을에는 유난히 무덤이 많다. 지금도 마을 도처에 무덤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 2000년 무렵만 하더라도 더 많은 무덤이 있었으나 마을이 개발되면서 지방으로 많이 옮겨 갔다고 한다. 아방리[능말]에서 2010년 현재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무덤으로는 구름산 기슭의 영회원을 비롯한 금천강씨 선산 등이다. 제2경인고속도로 주변에는 남원...
-
경기도 광명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하여 만든 선사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으로 작은 돌이 큰 돌을 괴고 있다는 뜻의 괸돌에서 유래하였다. 이를 ‘지석묘(支石墓)’라고도 한다. 고인돌은 거의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유럽, 지중해 연안, 인도, 동남아시아, 일본 구주 지방, 중국 동해안 지역과 동북 지방, 그리고 한반도 등 광...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정월 초사흗날부터 대보름 사이에 행하는 민속놀이. 지신밟기는 해마다 음력 정월 3~14일에 두레패가 집집마다 다니면서 지신(地神)을 위로하며 가정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이다. 지신은 마을과 집의 터를 지켜주는 신이다. 땅을 밟으면서 잡신을 쫓고 고사(告祀)를 올리며 복을 비는 지신밟기를 한다. 이를 마당밟기, 매귀놀이, 지경다지기 등이라고도 한...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에 있는 산업·건설용 안전 보호구 제조업체. (주)지엔에스테크는 인간 삶의 중시와 생명 존중의 소중함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이념과 신기술을 바탕으로 생명, 안전, 기술이 함께하는 보람찬 일터를 지향하고 있는 산업·건설용 안전 보호구 전문 생산 기업이다. 2004년 6월 (주)지엔에스테크가 설립되었으며 2005년 3월 유상 증자하였다. 2005 년 3월 한국산업...
-
경기도 광명시 철산4동에 있는 아동 복지 시설. 꿈터 지역아동센터는 생명 사랑, 평등 세상을 교육목표로 하여 소외된 아동들이 방과 후에 다양한 학습 체험과 의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명을 존중하고 꿈과 희망을 만들어 가며, 자신을 소중한 존재로 가꾸어 나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광명만남의 집은 1986년 서로 돕고 나누는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들의 보금자리 마련을 위해...
-
경기도 광명 지역의 기반을 이루는 지각의 구성 암석 및 광물의 상태. 지질은 광명시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기반으로서의 지각이 나타내는 물리적 특성, 상태, 종류 및 지층 등의 특성을 말한다. 광명 일원의 지질 구조는 비교적 단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평균 폭 5㎞에 달하는 시생대의 결정편암계가 띠 모양으로 남북 방향으로 종심이 길게 배치되어 있...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 구간의 지하 철도. 2000년대에 광명시는 교통에 있어서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지하철의 등장이 그것이다. 직접 도심을 통과하는 지하철이 등장하기 전에는 인근의 개봉역과 독산역을 주로 이용하던 시민들이 출퇴근 및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어 거리감의 변화를 느끼게 되었다. 서울의 제2기 지하철 5·6·7·8호선이 개통함에...
-
경기도 광명 지역을 이루는 땅의 생긴 모양이나 형세. 지형은 해발 고도에 따라 산지, 구릉지, 평야[하천, 저수지]로 분류할 수 있다. 광명시는 광주산맥의 끝자락인 수리산(修理山)[474.8m]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부터 가학산(駕鶴山)[220.2m]을 비롯하여 서독산(書讀山)[180m], 구름산[雲山][237m], 도덕산(道德山)[183.1m]에 이르는 저산성산맥을 형성하며 남북...
-
2008년 11월에 결혼한 은주[가명, 1980년생] 씨는 문화 관련 기관에서 일하기 때문에 봉급이 많은 편이 아니고 주말에도 일을 해야 할 때가 많다. 남편도 같은 계통에서 일하기 때문에 비슷한 상황이라 아기는 1~2년 후에 낳겠다고 생각하고 열심히 일하여 기반을 잡기로 약속했지만 계획대로 되지 않았다. 그 무렵 은주씨는 말이 망아지 세 마리를 낳는 꿈을 꾸었고, 친정어머니께선...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강도랫과에 속하는 곤충. 강도래류에 속한 종은 수질을 대변하는 지표 생물로 활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양호한 수질이 유지되는 계류 등지에서만 서식한다. 일반인들은 도래류를 하루살이라 부르지만, 실제 하루살이는 전혀 다른 생물 종이다. 몸길이는 25~30㎜ 정도로 비교적 큰 편이다. 몸은 전체적으로 진한 갈색을 띠고, 날개는 연한 갈색으로 투명하게 보인다. 다리...
-
경기도 광명시 광명4동에 있는 매니큐어 세트 제조 및 도매업체. 진교역은 아름답고 건강한 삶을 위한 매니큐어, 네일 용품 등을 개발 생산하는 업체로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전 세계에 제품을 수출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11월 4일 경기도 광명시에서 진교역으로 최초 설립했다. 손톱 및 발톱 관리를 위한 매니큐어 세트, 각질 제거기, 네일 용품...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편을 가른 남자 아이들이 상대방의 진을 뺏는 놀이. 진뺏기는 군사놀이 가운데 하나로서, 편을 나눈 두 패의 아이들이 일정한 장소를 진(陣)으로 삼고 서로 상대편을 잡아오거나 진을 빼앗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진놀이’라고도 일컫는다. 두 편이 마주 진을 치고 각자 자신이 맡은 상대편 아이를 손을 대어 죽게 하여 상대편 진을 차지한다. 구체적인 연원을 알 수 없으...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편을 가른 남자 아이들이 상대방의 진을 뺏는 놀이. 진뺏기는 군사놀이 가운데 하나로서, 편을 나눈 두 패의 아이들이 일정한 장소를 진(陣)으로 삼고 서로 상대편을 잡아오거나 진을 빼앗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진놀이’라고도 일컫는다. 두 편이 마주 진을 치고 각자 자신이 맡은 상대편 아이를 손을 대어 죽게 하여 상대편 진을 차지한다. 구체적인 연원을 알 수 없으...
-
개항기 경기도 광명 지역의 향리들이 모여 고을의 사무를 처리하던 통치 기구. 읍사(邑司)는 지방 향리 조직의 기반이 되는 수령의 하부 행정 체계로서 제1차 시흥농민봉기 때 광명 지역에 있던 농민의 집합 장소로 사용된 관청이다. 읍사는 군현 단위로 설치된 곳들의 총칭이며, 실제로는 해당 군현의 격에 따라 주사(州司)·부사(府司)·군사(郡司)·현사(縣司)·진사(鎭司) 등으로 불렸다....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자연마을. 1970년대에 새로 지은 58가구와 기존의 구옥을 포함하여 70동마을이라 하였다. 경기도 시흥군 서면 소하4리에 속했던 지역으로, 1970년대 설월리 출신 이영기(李永基)가 포도밭을 일구고 살면서 포도밭에 건물을 짓고자 70가구 건축 허가를 받았으나 58가구만 짓고 중간에 그린벨트 제한 구역에 포함되면서 건축이 제한되었다. 처음에는 텃밭이...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진실하고 성실한 인간, 합리적·다원적 사고력을 갖춘 인간, 다양한 체육 활동을 통한 건전한 인간, 지식 정보화를 주도한 창의력 있는 인재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땀을 흘리자. 학문에 힘쓰자. 사랑을 실천하자.’이다. 1994년 10월 14일 진성고등학교 24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1995년 3월 2일 제1회 입학식을 하...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던 그라우팅 장비 및 부품 제조업체. 그라우팅이란 도로 건설 기초 공사에서 약품이나 시멘트를 강제 주입해 지하에 흐르는 물을 막아 지반이 침하되지 않게 강화 보강하는 작업이다. (주)진양비지엠텍은 그라우팅 공사를 하는 보링 장비, 교반기, 밀크 그라우팅, 약액 그라우팅 펌프 등을 주문자의 요구에 맞게 제작 생산하는 기업으로 건설 전문 분야에서 요구하는 고...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장갑 제조업체. 제조업이 거의 다 그렇듯 진주장갑이 튼튼하게 뿌리를 내리기까지는 20년이 걸렸다. 누런 면장갑을 비누로 세탁한 후 푹푹 삶아내면 하얗게 되는 공정인 표백부터 시작하여 약 5년 후에는 직조기를 들여놓고 본격적으로 완제품을 만들기 시작했으나 서툰데다 맞춤 기계도 제대로 나오지 않아 어려움이 많았다. 작업 장소도 건물 꼭대기 층이나 지하를 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 전 해에 말려 두었던 나물을 먹는 풍속. 나물 먹기는 정월 대보름의 절식(節食)으로, 주로 전 해에 말려 두었던 나물 재료를 이용하여 볶거나 무쳐서 먹는 세시풍속이다. 지역이나 집집마다 재료가 조금씩 다르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나물을 묵은 나물 또는 진채(陣菜)라고 하였다. 광명 지역에서는 음력 1월 14일에 오곡밥과 함께 묵은 나물을 먹었으...
-
조선 후기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굶주린 백성을 구제하기 위하여 나라에서 지급한 돈. 진휼금은 흉년이나 재난을 당한 농민에게 최소한의 생산과 재생산이 가능하도록 국가가 주는 돈이다. 국가 경제의 중심이 농업에 있었던 조선시대에는 흉년과 기근 등으로 국가의 통치 기반이 동요하지 않도록 진휼청을 설치하고 진휼 정책을 실시해왔다. 이러한 진휼 방법은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환곡 제도를 이용하...
-
근대 개항기 광명 지역 자치조직의 우두머리. 조선시대에는 중앙에서 지방관을 파견하는 지방 행정 단위는 현(縣)까지였고, 그 아래로는 지방의 자치 조직으로 면·방·사, 그 밑에 이(里)·촌(村)·동(洞) 등이 있었다. 이 가운데 면(面), 방(坊), 사(社)의 우두머리가 집강(執綱)이다. 지금의 면장이나 읍장에 해당된다. 이들은 향소의 좌수나 별감의 천거에 의해 수령이 임명하여 행정...
-
경기도 광명시에서 동성동본의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사는 곳. 집성촌은 우리나라 전통 사회의 한 특징으로 동성동본의 성씨 집단이 대대로 함께 모여 사는 촌락을 말한다. 집성촌이 형성된 시기는 삼국시대 또는 고려시대로 보기도 하지만, 조선 전기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여 17세기 이후에 정착된 것으로 보고 있다. 집성촌의 형성은 가족 제도와 친족의 범위, 혼인, 상속 제도와 관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