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정월 초사흗날부터 대보름 사이에 행하는 민속놀이. 지신밟기는 해마다 음력 정월 3~14일에 두레패가 집집마다 다니면서 지신(地神)을 위로하며 가정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이다. 지신은 마을과 집의 터를 지켜주는 신이다. 땅을 밟으면서 잡신을 쫓고 고사(告祀)를 올리며 복을 비는 지신밟기를 한다. 이를 마당밟기, 매귀놀이, 지경다지기 등이라고도 한...
-
초기국가시대 경기도 광명 지역을 포함해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 분포되어 있던 정치연맹체로, 삼한 중의 하나이다.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에는 마한(馬韓) 지역에 위치한 54개 소국(小國)의 명칭이 기록되어 있는데, 큰 것은 1만여 가(家)에서부터 작은 것은 수천 가에 이르렀다고 나와 있다. 마한 54개 소국은 규모가 큰 나라의 지배자는 신지(臣智)라 하고, 작은 나라의...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경모재에 모신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홍서(弘瑞), 호는 만은(晩隱). 아버지는 창덕궁(昌德宮) 직장(直長)을 지낸 설훈(薛纁)이며, 어머니는 고령신씨로 신숙주(申叔舟)의 고모이다. 설계조(薛繼祖)[1418~1486]는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茅亭里)에서 태어났다. 25세인 1443년(세종 25) 무과에 급제하였다. 1453년(단...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유두 때 참외를 수확하기에 앞서 고사를 지내는 풍습. 풍농(豐農)에 대한 희구와 농작물 관리에 대한 관심이 큰 지역에서는 유두부터 칠석까지 농한기이자 농작물이 성장하는 시기에 농신제(農神祭)를 지낸다. 농신제는 넓은 의미에서 논밭의 주신인 농신(農神)에게 지내는 제사이지만 제사 시기, 제사 대상, 제사지내는 곳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다. 유두고사, 유두제, 칠석...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문백(文伯), 호는 망와(忘窩). 이원익의 4세손으로 친부는 이상현(李象賢)이고, 성주목사를 지낸 이증현(李曾賢)의 양자가 되었다. 아들로 이인복(李仁復)이 있다. 이존도(李存道)[1659~1745]는 가문의 일을 많이 정비하여 의릉참봉 시절 묘지(墓誌)를 참고하여 정조의 서녀이며 순조의 누이인 숙선옹주(淑善翁主)의 묘를 찾고 옛 비갈...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 백중(白中)은 농민들이 세벌김매기가 끝난 후, 여름철 농한기에 잠시 휴식을 취하는 날이다. 이를 백종(百種), 백중(百衆), 백종절(百種節), 중원일(中元日), 망혼일(亡魂日) 등이라고도 한다. 백중에 사람들은 조상의 사당에 천신을 드리며, 술과 고기를 마련하여 노래와 춤으로 하루를 즐긴다. 승려들은 사원에서 재를 올려...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정월 초사흗날부터 대보름 사이에 행하는 민속놀이. 지신밟기는 해마다 음력 정월 3~14일에 두레패가 집집마다 다니면서 지신(地神)을 위로하며 가정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이다. 지신은 마을과 집의 터를 지켜주는 신이다. 땅을 밟으면서 잡신을 쫓고 고사(告祀)를 올리며 복을 비는 지신밟기를 한다. 이를 마당밟기, 매귀놀이, 지경다지기 등이라고도 한...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맹꽁잇과에 속하는 양서류.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과 추자도와 제주도, 전라도 및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주로 마을 주변의 습지나 두엄 밭, 휴경 과 들판의 습한 곳, 산지 등에서 흔히 발견되나, 이제는 서식 환경의 악화로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어 서식처 소멸과 종의 소멸을 우려하여 법정 보호종[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2급]으로...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맹꽁잇과에 속하는 양서류.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과 추자도와 제주도, 전라도 및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주로 마을 주변의 습지나 두엄 밭, 휴경 과 들판의 습한 곳, 산지 등에서 흔히 발견되나, 이제는 서식 환경의 악화로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어 서식처 소멸과 종의 소멸을 우려하여 법정 보호종[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2급]으로...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맹꽁잇과에 속하는 양서류.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과 추자도와 제주도, 전라도 및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주로 마을 주변의 습지나 두엄 밭, 휴경 과 들판의 습한 곳, 산지 등에서 흔히 발견되나, 이제는 서식 환경의 악화로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어 서식처 소멸과 종의 소멸을 우려하여 법정 보호종[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2급]으로...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가물칫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영명(英名)이 스네이크 피시(snake fish)로 ‘뱀 물고기’인데, 얼룩얼룩한 반점과 녹색에 가까운 피부와 뱀의 머리 형상을 빼닮은 두상이 그 이유를 설명하기에 충분하다. 전국의 오래된 대부분의 대형 저수지와 댐, 호수 및 강 주변의 저류지 등에서 서식한다. 현재 우리나라 어류 생태계에서는 유영을 하지 않으며 살아가는 메기가...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자연마을. 가골[가곡(駕谷)]은 가학동의 명칭이 유래한 곳으로 학(鶴)이 깃들여 살고 학들이 멍에처럼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모양이므로 가골·멍에골짜기 또는 원가학이라 하였다. 마을 뒷산도 풍수지리상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고 한다. 가골은 조선 전기 병조판서와 예조판서를 지내고 옥천부원군에 봉해진 순창설씨(淳昌薛氏) 설계조(薛繼祖)[1418~148...
-
경기도 광명시 광명4동에 있는 승강기 부품 제조업체 (주)메이저텍의 광명영업소. (주)메이저텍은 고객 만족과 안전을 먼저 생각하는 기업으로 국내 최고의 승강기 부품을 생산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3년 부천시에서 (주)메이저텍을 설립하였고, 2009년 2월 광명시로 이전하였다. 2010년에 거창군으로 본사 소재지를 이전하였고 광명시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승강기에 들어가는...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맹꽁잇과에 속하는 양서류.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과 추자도와 제주도, 전라도 및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주로 마을 주변의 습지나 두엄 밭, 휴경 과 들판의 습한 곳, 산지 등에서 흔히 발견되나, 이제는 서식 환경의 악화로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어 서식처 소멸과 종의 소멸을 우려하여 법정 보호종[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2급]으로...
-
1920년대와 1930년대 설월리의 모습을 비교적 상세히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1932년 2월 서면공립보통학교 교장 기타야마 와카니치[北山若二]와 교사 성만용(成萬鏞)이 편찬한 『서면향토지』다. 『서면향토지』에 따르면 과거 서면의 면소재지였던 설월리는 주민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는 ‘순전한 농촌 지역’이었다. 수림이 울창해 도내 모범림으로 선정된 적도 있고, 서울서 송이를 채취하...
-
경기도 광명시 광명6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예절이 바르고 친절하며 교양 있는 사람[예절인], 질서를 지키고 남을 존중하며 봉사하는 사람[민주인], 지혜롭고 현명하며 슬기로운 사람[지혜인], 진취적 자세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창조인], 심신이 조화를 이룬 건강한 사람[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창조’이다. 1975년 12월 6일 광명여자고등학교 6학...
-
개항기 관찰사가 시흥농민봉기의 진상을 조사하기 위해 경기도 광명 지역에 파견한 관리. 명사관은 조선시대 당시 지방에서 중요한 사건이 발생하면 도의 감사가 사건 내용의 진상 조사를 위하여 파견하는 관리이다. 19세기 후반 조선 사회의 농촌은 토지가 소수 부호에게 독점되고, 대다수의 농민이 토지에서 배제된 상황이었다. 즉 많은 수의 농민이 소작농의 처지에 있었고, 농업 이외의 다른 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 아침에 귀가 밝아지기를 기원하여 술을 마셨던 풍속. 귀밝이술 마시기는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청주 한 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그해 일 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하여 행해졌던 세시풍속이다. 귀밝이술은 이명주(耳明酒), 명이주(明耳酒), 유롱주(牖聾酒), 치롱주(治聾酒), 이총주(耳聰酒) 등으로도 불렸다. 대체로 아침 식사...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하는 의례적인 생활풍속.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 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 세사(歲事), 시절(時節), 명절(名節), 월령(月令), 시령(時令) 등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 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성·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명절에 특별히 만들어 먹는 음식. 광명시 노온사동 능촌을 중심으로 하여 세시에 따라 먹는 음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날에는 떡국에 만두를 넣어서 차례상에 올리고, 술·떡·수정과·식혜 등 다양한 음식들을 장만해서 먹는다. 대보름에는 오곡밥을 먹는다. 또한 갖가지 나물을 반찬으로 먹으며, 한 해 동안 부스럼이 생기지 말라고 잣·호두·밤 등 부럼을 깨물어 먹는...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던 사회 복지 시설. 명휘원은 지적 장애인이 가진 잠재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기 위하여 각 개인에게 알맞은 영역별 생활 교육과 인성 교육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지역 사회, 더 나아가서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건전한 인격을 갖춘 사회인으로 양성하고자 설립되었다. 1967년 10월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의 비 이방자 여사가 재단법인 보린회의 초대 이사장으...
-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 광명시범공단에 있는 배전반 및 전기 자동 제어반 제조업체. 모던엔지니어링(주)은 플랜트 산업 설비 기술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친환경 설비, 신 재생 에너지 사업 등 녹색 산업을 이끄는 기업으로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5년 6월 회사 설립 후 1998년 9월 1일 모던엔지니어링(주)으로 법인 전환하고 광명시로 이전했다. 2008년 연...
-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에 있는 전자 기기 제조업체. (주)모빌텍은 카 오디오 주변 기기 및 차량용 제품을 개발 및 제조 판매하는 업체이다. 1997년 5월 삼성전자 PCS통신 기지국 환경관리기 개발과 더불어 7월에 유니트론 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8월에 현 소재지로 사업장을 이전하였다. 1998년 3월 삼성전자 A/S업체로 지정되었으며 5월에는 삼성전자 컴퓨터사업 우수 협력체로 지...
-
경기도 광명시 철산2동에 있던 자연마을. 마을에 연못이 세 개 있어 모세라 하였고, 마을이 연못 서쪽에 있으므로 연서(淵西)라고도 하였다. 여흥민씨(驪興閔氏) 집안에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언젠가 승려가 마을을 지나다 우물을 세 개 파면 자손이 번성하리라는 예언에 따라 조성했다고 한다. 모세는 여흥민씨가 처음 정착한 이래 남양홍씨·순흥안씨 등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을 이루었으며...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철산주공아파트 7단지에서 철산주공아파트 13단지 안양천로에 연결되는 도로. 모세로의 기점이 자연마을인 모세(연서)였던 지역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옛 지명에서 유래한 모세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세는 마을 가운데에 연못이 세 개가 있었던 데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모세로는 연장 679m, 폭 22m, 왕복 4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1983년 12월부터 1991년...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던 자연마을. 새터말[일직동]·호봉골·양진말·구석말을 가려면 거쳐 가야 하는 모퉁이에 있는 마을이므로 모텡이라 하였다. 모텡이는 조선시대 우의정을 지낸 이후원(李厚源)[1589~1660]의 묘를 서독산[일명 삼석산] 중턱에 쓴 뒤로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후손들이 묘 아래인 호봉골에 살다가 분가하여 정착하면서 이루어진 마을이다. 이후 남양홍씨, 상주이씨 등이...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던 자연마을. 새터말[일직동]·호봉골·양진말·구석말을 가려면 거쳐 가야 하는 모퉁이에 있는 마을이므로 모텡이라 하였다. 모텡이는 조선시대 우의정을 지낸 이후원(李厚源)[1589~1660]의 묘를 서독산[일명 삼석산] 중턱에 쓴 뒤로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후손들이 묘 아래인 호봉골에 살다가 분가하여 정착하면서 이루어진 마을이다. 이후 남양홍씨, 상주이씨 등이...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뭇과의 여러해살이풀. 깽깽이풀은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중북부 이북과 중국 만주에 걸쳐 서식한다. 국가 지정 보호 식물[멸종 위기 동식물 2급]이다. 따라서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채집해서는 안 되는 종이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식물학자들도 자생지를 발견하는 것이 비교적 드문 일로 알려진다. 선황련,...
-
경기도 광명시 광명1동과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2동을 연결하는 다리. 목감교는 광명시 광명1동 원앙길에서 구로구 개봉2동 개화천동길로 목감천을 건너는 다리로, 1984년에 준공되었다. 광명시가 개청된 이후 옥길교, 너부대교와 함께 가설되어 주변 지역으로의 이동이 원활해졌다. 길이 60m, 폭 6m, 높이 5.4m이다. 경간 수는 5개이다. 상부 구조 형식은 11.RCS, 하부 구조...
-
경기도 광명시 광명6동에서 목감천변을 따라 철산1동에 연결되는 도로. 목감천의 동쪽인 광명시 관할 행정구역을 따라 목감천 옆을 지나는 도로라 하여 목감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목감로는 연장 4.088㎞, 폭 20m에 이르는 도로이다. 목감로 구간 중 광명로의 남서쪽인 광명동 구간은 1968년에 개봉 택지 개발 단지 1지구인 광명지구가 구획정리 될 때 개설되었고, 광명로의 북동쪽인 철...
-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에서 발원하여 광명시를 지나 구일역 아래에서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목감천은 시흥시 목감동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목감동은 본래 안산군 초산면 지역으로 조선시대 때 목암사(牧岩寺)라는 사찰이 있었으며 사찰 경내에는 감나무의 개량 품종인 단감나무가 유명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이 지역을 목암사의 ‘목(牧)’자와 감나무의 ‘감(甘)’자를 따서 목감리라 하였으며, 이...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에 있는 다리. 목감천 보도교는 목감천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목감천은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에서 유래된 이름인데, 본래 목감동은 안산군 초산면 지역으로 조선시대 목암사라는 사찰이 있었다. 사찰 경내에는 감나무의 개량 품종인 단감나무가 유명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목암사의 목(牧)자와 감나무의 감(甘)자를 따서 마을 이름을 목감리라 불렀다고 한다. 목감천 보도교는...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목감천의 하천 생태계를 복원하고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 목감천은 시흥시 목감동에서 시작, 부천~광명~구로를 거쳐 안양천으로 흘러가는 총 15.5㎞의 지방 하천으로 안양천의 제1지류이다. 목감천 생태하천복원사업을 통해 구로~광명 간 3.7㎞ 구간이 생태 하천으로 복원되고 있다. 부천시 역곡동과 구로구 항동의 지역 주민 8만여 명이 배출하는 생활하수가 목감천...
-
근대 개항기 경기도 광명 지역에 있는 관개 시설에서 물을 공급받는 땅의 면적. 몽리면적은 보, 저수지 등의 수리 시설에서 물을 공급받는 토지의 크기를 말한다. 관리의 탐학이 주로 이 땅을 놓고 벌어졌는데, 이것이 제1차 시흥농민봉기의 원인이 되었다. 성우경(成禹慶) 등 현재의 광명 지역 출신 인사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던 사건으로, 전임 군수 문봉오의 가혹한 수탈과 교활한 아전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서 지내는 문중 제사. 시제는 일 년에 한 번 묘에서 5대조(五代祖) 이상의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문중 의례이다. 이를 시향(時享)·시사(時祀)·묘제 등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조상 숭배 사상이 강하다. 그래서 어느 지역이나 명절에는 차례를 지내고, 절기에 따라 산소를 관리하며, 가을에는 시제를 지낸다. 광명 지역...
-
윤양비를 시조로 하고 윤백붕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무송윤씨(茂松尹氏)의 시조 윤양비(尹良庇)는 고려 예종 때 현리(縣吏)로서 과거에 급제하여 보승낭장(保勝郎將)·호장동정(戸長同正)을 지냈다. 윤양비의 선계(先系)는 윤경(尹鏡)으로 후당(後唐)에서 오계(五季)의 난을 피하여 한반도로 건너와 무송(茂松)[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지방에 정착하면서 무송을 본관...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행해지는 몸짓을 통해 사상·감정·감각·정서 등을 율동적으로 표현하는 예술. 광명 지역의 무용은 1997년 3월에 창단된 조대식무용단이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조대식무용단은 구름산예술제와 정기 발표회, 그리고 각종 경연 대회에 참가하여 기량을 펼쳐 왔다. 이후 광명 지역의 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이 필요하다고 느낀 무용인들이 조...
-
조선 전기 광명 출신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입부(立夫). 태종의 첫 번째 왕자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생원 이귀달(李貴達)이며, 아버지는 이진(李眞)이다. 어머니는 복주김씨(福州金氏)로 외할아버지는 진사(進士) 김구수(金龜壽)이다. 부인은 경상도병마우후(慶尙道兵馬虞候) 윤천수(尹天壽)의 딸이다. 이순신(李純信)[1554~1611]은 어릴 때부터 유업...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광명시 평생학습원 소속 사진 동아리. 무지개영상은 노년의 여가 선용 및 취미 활동과 친목을 도모키 위해 광명시에 시민 제안 프로그램을 신청, 승인을 얻어 2007년 6월 10일 설립되었다. 일 년에 1~2회씩 회원 25명이 촬영한 사진으로 광명시 평생학습원, 광명시청, 지하철 광명역과 천왕역 등에서 전시회를 열고 있다. 광명시 오리문화축제, 동아리축제...
-
광명시는 생활이 어려운 사람, 기회가 없어 교육을 못 받는 사람,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함께 잘 살 수 있도록 하는 권역별·분야별 사업이 잘 운영되는 지역 중 하나다. 광명시는 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무한돌봄사업은 그 중 대표적인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광명시에서 실시하고 있는 무한돌봄사업은 실제 위기 상황을 겪고 있지만 정부의 지원 기준에...
-
경기도 광명시에서 추진하는 저소득 주민 생활 안정 지원책. 무한돌보미는 위기 상황이나 현행 법제도로 지원을 받을 수 없는 가정에 생계, 주거 등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위기 상황이란 주 소득자가 사망·가출·행방불명·구금 등으로 생계가 곤란한 때,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때, 가구 구성원으로부터 방임·유기·학대·폭력·성폭력 등을 당한 때, 주 소득자와의 이혼으로 생계가 곤란한 때...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무형의 문화적 소산 중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국가가 문화재위원회의 자문을 거쳐서 중요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호 대상으로 하는 문화재를 말한다. 연극·무용·음악·공예 기술 등 역사적 또는 예술적으로 가치가 큰 것을 대상으로 하는데, 대상이 형체가 없기 때문에 실제는 그 기능을 갖고 있...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 전 해에 말려 두었던 나물을 먹는 풍속. 나물 먹기는 정월 대보름의 절식(節食)으로, 주로 전 해에 말려 두었던 나물 재료를 이용하여 볶거나 무쳐서 먹는 세시풍속이다. 지역이나 집집마다 재료가 조금씩 다르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나물을 묵은 나물 또는 진채(陣菜)라고 하였다. 광명 지역에서는 음력 1월 14일에 오곡밥과 함께 묵은 나물을 먹었으...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연말이나 정초에 잡귀를 쫓기 위해 벽사(辟邪)의 용도로 대문에 붙이는 그림. 세화(歲畵)는 새해를 송축하고 재앙을 막기 위해 매·호랑이 등을 그린 그림이다. 이를 문배(門排)·문배세화(門排歲畵)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세화붙이기는 질병이나 재난 등의 불행을 예방하고 한 해 동안 행운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기복적 성격을 띠고 전개되었으며, 새해 첫날 세시풍속의 하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연말이나 정초에 잡귀를 쫓기 위해 벽사(辟邪)의 용도로 대문에 붙이는 그림. 세화(歲畵)는 새해를 송축하고 재앙을 막기 위해 매·호랑이 등을 그린 그림이다. 이를 문배(門排)·문배세화(門排歲畵)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세화붙이기는 질병이나 재난 등의 불행을 예방하고 한 해 동안 행운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기복적 성격을 띠고 전개되었으며, 새해 첫날 세시풍속의 하나...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문백(文伯), 호는 망와(忘窩). 이원익의 4세손으로 친부는 이상현(李象賢)이고, 성주목사를 지낸 이증현(李曾賢)의 양자가 되었다. 아들로 이인복(李仁復)이 있다. 이존도(李存道)[1659~1745]는 가문의 일을 많이 정비하여 의릉참봉 시절 묘지(墓誌)를 참고하여 정조의 서녀이며 순조의 누이인 숙선옹주(淑善翁主)의 묘를 찾고 옛 비갈...
-
조선 후기 광명 출신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 자는 복이(復而), 호는 월당(月塘)·삼당(三塘). 고조할아버지는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 강숙돌(姜叔突)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소격서참봉(昭格署參奉) 강뢰(姜賚)이며, 할아버지는 삼등현령(三登縣令) 강유경(姜惟慶)이고, 아버지는 이조참의 강찬(姜燦)이다. 어머니는 광주김씨(廣州金氏)이며, 외할아버지는 첨지(僉知) 김은휘(金殷輝)이다...
-
조선 후기 광명 지역의 대표적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선지(善之), 호는 경산(經山). 영의정을 지낸 정태화(鄭太和)의 6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지낸 정동만(鄭東晩)이다. 어머니는 용인이씨이다. 외할아버지는 예조판서 이숭호이다. 부인은 예조판서 김계락의 딸이다. 아들로 이조판서를 지낸 정기세(鄭基世)와 목사를...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대년(大年). 증조할아버지는 태종의 아들인 익령군(益寧君)이고, 할아버지는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이며, 아버지는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이다. 어머니는 국자생원(國子生員) 조경(趙璟)의 딸이다. 부인 우씨(禹氏)와 혼인하였으나 자식이 없었고, 뒤에 감찰(監察) 정치(鄭錙)의 딸과 혼인하여 2남 1녀를 낳았는데, 그...
-
조선 후기 광명 지역의 대표적인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공려(公勵), 호는 오리(梧里). 태종의 아들인 익녕군 이치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함천군 이억재(李億載)이다. 이원익의 가계는 익녕군 이치-수천군 이정은-청기군 이표-함천군 이억재-이원익으로 이어진다. 이원익(李元翼)[1547~1634]은 1573년(선조 6) 성균관전적이 되었으며, 그해 2월 성절사 권덕여(權德輿)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와 문자로 표현한 예술. 광명 지역의 현대 문학은 광명시의 승격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시 승격 이전의 광명 지역은 주로 시흥군에 속한 소하읍과 광명리에 불과하여, 근대 이전의 문학에서 뛰어난 문학사나 활동 기록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광명 지역에서 문학 활동이 시작된 것은 1988년 광명시청 문화공보...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악·미술·연극·영화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문화예술진흥법」에 따르면 ‘문화·예술’이란 문학, 미술[응용 미술 포함], 음악, 무용, 연극, 연예, 국악, 사진, 건축, 어문, 출판 및 만화를 말하여 이러한 문화·예술 활동에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시설을 ‘문화시설’로 정의한다. 문화·예술은 한 집단이 살아온 자연환경, 역사, 종교 및 철학 등과 깊은...
-
경기도 광명시에서 문화·예술을 즐기고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시설. 문화시설은 예술인이 문화·예술을 행할 수 있는 장소인 동시에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일체의 시설을 말한다. 문화시설에는 「도서관법」상 도서관,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상 박물관 및 미술관, 문예회관, 문화예술회관과 「지방문화원진흥법」상 지방 문화원, 문화의 집 등이 있다. 광명 지역의 공공 도서관은...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문화·예술 활동 관련자 또는 동호인이 결성한 단체. 문화예술단체란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활동을 위해 설립한 단체를 말하며, 별도의 등록이나 허가 없이 설립이 가능하다. 문화예술단체의 법적 형태는 임의 단체, 법인으로 보는 단체, 개인 사업자, 비영리 법인, 사단법인, 재단법인, 영리법인, 협동조합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광명 지역은 시로 승격되기 전이나 19...
-
유차달을 시조로 하고 유성귀를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문화유씨(文化柳氏)의 시조 유차달(柳車達)은 후삼국 통일 전쟁 당시 유주(儒州)[문화의 옛 이름]의 호족이었다. 유차달의 5대조인 유색(柳穡)이 신라 헌덕왕 때 유주 구월산(九月山)에 은거한 이래 자손들이 대를 이어 살다가 고려 개국 이후 개성에서 세거해 왔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고...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공세골에 있는 조선 후기 문화유씨 문중의 묘역. 문화유씨 묘역에는 유성구(柳聖龜) 등이 안장되어 있다. 유성구(柳聖龜)는 자가 원명(元明)이고 1620년에 출생하여 38세인 1657년(효종 8)에 진사시에 3등 26위에 입격하였다. 유경익(柳敬益)[1639~?]은 유성구의 아들로 자가 여숙(汝肅)이며, 35세인 1673년(현종 14) 진사에 2등 19위로 입격...
-
새마을문고 광명시지부에서 매년 개최하는 글짓기와 사생 대회. 2004년 10월 30일 ‘에너지와 친해져요, 가까워져요’라는 주제로 에너지절약 문화 한마당이 개최되었다. 이후 2006년부터 지식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광명시민을 대상으로 백일장 및 사생 대회를 개최하여 여가를 충족시키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건강한 독서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광명새마을문고 백일장사생대회로 변경...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자동차 및 전자 부품 제조업체. (주)문화테크는 차량용 콘덴서, 온도 센서 등을 개발·생산하여 판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2년 3월 문화컨덴서로 설립되었다. 2003년 8월 1일 (주)문화콘덴서 법인으로 전환하였으며, 2004년 2월 26일 (주)문화테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4년 9월 16일 현재의 위치인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228[하안동...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굴참나무는 한국의 고유한 자생 교목이다. 광명시의 도덕산, 가학산, 구름산 등지를 비롯한 전국의 야산 중턱 이하에서부터 높은 지역 지역까지 골고루 분포한다. 거친 듯 보이는 나무껍질이 특이하게 깊이 파인 형태로 발달하고 코르크층을 두껍게 형성하므로 촉감이나 질감으로 금방 분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굴참...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물둥구릿과에 속하는 곤충. 물둥구리는 비교적 서식 분포가 적은 것으로 알려진 희귀한 종류의 수서 생물이다.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은 아니며 희소성에 따라 보호종으로 보호받을 가능성도 충분한 생물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중부 이남의 마름이 군락으로 서식하는 저수지, 하천변, 웅덩이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잘생긴 모양 때문에 희생되는 경우도 많다. 중부...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6월 15일에 지내는 풍속. 유두(流頭)는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으로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이란 말의 약어이다. 음력 6월 15일은 흔히 유두라는 유월 명절이다. 이를 유두일·유둣날·물맞이 등이라고도 부른다. 유두는 연중 가장 바쁜 시기로, ‘미끈유월’이라는 말처럼 이맘때가 되면 두레의 김매기로 짬이 없다. 밭농사도 마무리 손길로 분주한 때이...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물장군과에 속하는 곤충. 물자라는 민물이 고여 있거나 완만히 흐르는 개울 같은 곳에서 대부분 발견되는 곤충이다. 최근 수질 악화와 하천의 직선화 등의 부작용으로 급한 물길이 형성되고 서식처가 교란되면서 점차 수가 줄어들고 있다. 특히, 배수를 일차 목적으로 설치된 하천 제방과 옹벽에 가까운 구조를 보이는 곳에서는 이들이 살아갈 수 있는 서식 공간인 작은 웅...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물둥구릿과에 속하는 곤충. 물둥구리는 비교적 서식 분포가 적은 것으로 알려진 희귀한 종류의 수서 생물이다.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은 아니며 희소성에 따라 보호종으로 보호받을 가능성도 충분한 생물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중부 이남의 마름이 군락으로 서식하는 저수지, 하천변, 웅덩이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잘생긴 모양 때문에 희생되는 경우도 많다. 중부...
-
한국음악협회 광명지부에서 2005~2006년 개최한 신인 발굴 음악회. 미래를 여는 신인음악회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광명시지부가 주관하는 구름산예술제 기간에 개최한 행사로, 지역 출신의 신인 음악인들에게 무대에서 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음악 도시 광명시의 음악을 이끌어 갈 기악, 성악, 현악 부문의 유망주를 발굴, 육성하고자 개최되었다. 2007년부터는 매년 다른 내용...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버드나무목 버드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은사시나무는 광명시의 도덕산 어귀, 서독산, 구름산 등지의 계곡 및 산림 인접부 식재림 능선 아래 민가 주변 등에 서식한다. 한국의 수원사시나무와 미국 은백양 사이에 생겨난 자연 잡종이다. 인공적으로 수원사시나무와 은백양을 교잡하여 생산한 수종은 정식 명칭이 은수원사시나무 또는 현사시나무이다. 하지만...
-
경기도 광명시 철산2동 개명교회 앞에 있는 육교. 미리내육교는 아치형 조형 보도교이며, 길이 56m, 폭은 3.6m이다. 광명시가 안양천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통행 편의 및 원활한 교통 흐름과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2009년 설치하였다. 미리내육교에는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의 편의를 위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동그란 주탑에는 조명 시설을 갖추어 야간 경관의 멋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색채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예술의 한 분야. 광명 지역 미술 활동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광명 지역 중고등학교에 재직하던 미술 교사들의 창작과 전시 활동에서 본격화되었다. 이후 광명 미술을 만개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한 것은 광명 지역 미술 동호인들이 체계적인 미술 활동을 위해 1989년에 창립한 한국미술협회 광명지부이다. 한국미술협회 광명지부는 현대적...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수수께끼는 질문자가 어떤 사물과 현상을 비유적으로 물으면 상대방이 답을 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이다. 이를 ‘미어(謎語)’, ‘유사(諛辭)’, ‘파자(破字)’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수수께끼는 주로 은유를 써서 대상을 정의하는 언어 표현이다. 수수께끼는 구연으로 화자와 청자 쌍방이 참여하며, 질문과 대답으로 이...
-
경기도 광명 지역의 민간에서 오래 전부터 믿어져 내려온 신앙. 민간신앙은 일반 민중들의 생활 속에서 예전부터 민간에서 전승되어 오는 자연적 신앙을 의미한다. 민간신앙은 가신신앙, 마을신앙, 무속 등 민간에서 널리 행해지는 민속 종교를 그 범주로 한다. 민간신앙의 기능과 의미가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고 일제강점기 이후 왜곡된 시각이 오늘날까지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의 민간...
-
경기도 광명시의 민간에서 전승되고 있는 생활 풍속. 민속은 신앙, 의례, 놀이, 세시풍속 등 삶의 다양한 모습에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지역 공동체의 민속에는 그 지역만의 생태 환경 및 역사적·사회적 조건, 지역의 문화적 특성이 내재되어 있어 지역 생활사에서 갖는 의의가 크다. 여기에서는 도시화가 되기 전 광명 지역 토박이 주민들의 촌락 생활을 통해 조사한 신앙, 의례와 놀이, 세...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지역민의 생활과 습관을 반영한 놀이. 놀이는 아동 놀이, 성인 놀이, 남자 놀이, 여자 놀이로 구분할 수 있으며, 참여 인원에 따라서도 나누어 볼 수 있으나 대부분 놀이는 여러 사람이 한데 어울리면서 이루어진다. 성인의 경우 바쁜 일상으로 명절이나 농한기 등에 가끔 놀이를 할 뿐 아이들과 같이 일상적으로 놀이를 하지는 않는다. 아이들은 여가 시간...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서울민예에서 생산하는 특산물. 광명시에서 생산되는 전통민속인형은 조선 말기 생활 복식을 인형으로 재현한 제품으로, 신랑·신부·도령쌍·선비쌍·왕쌍 등 100여 가지가 있다. 전통민속인형을 생산하는 서울민예는 1979년 10월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에서 창업하고 상호를 서울민예로 하였다. 1984년 광명시 소하1동으로 이전하였으며, 2000년 소하2동으로...
-
경기도 광명 지역의 민중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요는 오래전부터 작사자나 작곡자가 따로 없이 민중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해 오고 있다. 따라서 민요는 민중의 사상이나 생활, 감정 등을 소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때로는 국민성과 민족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광명의 민요들은 여타 경기 소리와 유사한 변천을 겪으며 민간에 유전되었으나 현재는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
-
개항기 광명 출신의 농민운동가. 2차 시흥농민봉기와 관련하여 안핵사(按覈使) 안종덕(安鍾悳)이 1904년(고종 41) 9월 4일에서 10월 8일까지 주모자와 관련자들을 심문 조사하여 10월 11일 황제에게 보고한 61장의 공초(供招)는 『시흥직산안핵사주본(始興稷山按覈使奏本)』으로 정리되었다. 1905년 4월 17일 처리된 판결문은 『대명률(大明律)』과 『대전회통(大典會通)』의 법조...
-
민중의 삶은 놀이 속에 있다. 놀이는 민중의 삶을 지탱해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살림살이도 흥이 나고 신바람이 나야 잘 굴러 간다. 신명 없는 삶은 재미가 없다.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 사회에서 민중의 삶이란 일하고, 여가를 보내고, 의례 행위를 하는 것으로 집약된다. 이러한 일상의 삶을 놀이로 승화시켜 주는 것이 ‘신명’이다. 일상의 삶에 신명이 결합됨으로써 삶은 놀이가 되고...
-
조선 후기 광명 출신으로 소현세자의 빈. 본관은 금천(衿川). 고려 때 귀주 대첩의 영웅이며 벽상공신을 지낸 강궁진의 아들 강감찬의 출생지가 금천[현 서울특별시 금천구]이므로 금천강씨로 부른다. 아버지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40년(인조 18) 우의정을 지낸 강석기(姜碩期)[1580~1643]이며, 어머니는 고령신씨(高靈申氏)이다.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는 1611년 5남...
-
아방리[능말]라는 지명은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1611~1646]의 능인 영회원에서 유래한다. 영회원은 마을 동쪽의 애기능저수지를 지나 구름산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데, 마을에서는 직선으로 1.16㎞ 거리에 있다. 애기능저수지를 돌아 올라가서 광명시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 앞을 지나 산비탈에 마을을 내려다보듯 위치해 있는 영회원에 다다른다. 영...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잠자릿과에 속하는 곤충. 밀잠자리는 우리나라에서 여름철에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잠자리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밀잠자리와 유사한 중간밀잠자리, 홀쭉밀잠자리, 큰밀잠자리 등이 서식하고 있다. 성체의 경우 몸길이는 약 48~54㎜이고, 배 길이는 35~40㎜, 뒷날개 길이는 40㎜ 정도이다. 애벌레 몸길이는 24㎜ 내외이다. 미성숙 어른벌레는 암수 모두 황갈...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맹꽁잇과에 속하는 양서류.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과 추자도와 제주도, 전라도 및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주로 마을 주변의 습지나 두엄 밭, 휴경 과 들판의 습한 곳, 산지 등에서 흔히 발견되나, 이제는 서식 환경의 악화로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어 서식처 소멸과 종의 소멸을 우려하여 법정 보호종[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2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