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눈 다래끼가 날 때 민간에서 병을 고치는 방법. 다래끼 치료는 눈시울이 발갛게 붓고 곪아서 생기는 작은 부스럼이 나는 병[눈 다래끼]을 고치는 민간요법이다. 1980년대 초만 하더라도 눈 다래끼가 나는 사람들을 가끔 볼 수 있었는데 최근에는 그런 사람을 볼 수 없다. 눈 다래끼가 나면 전염이 된다고 하여 사람들이 피한다. 눈에 통증도 있고 해서 곤란하지만 여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아이들이 다리를 세어가며 노는 놀이. 다리세기는 추운 겨울철 따끈따끈한 아랫목에 아이들 몇 명이 마주 앉아 서로 다리를 엇갈리게 뻗고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며 노는 민속놀이이다. 광명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지방마다 다양한 놀이 노래가 전해지고 있다. 적당한 숫자로 갈라져 다리를 펴고 마주 앉아서 서로 상대편의 다리에 자신의 다리를 끼우고 노...
-
경기도 광명시에서 서로 다른 국적·인종·문화를 지닌 사람들로 구성된 가족. 다문화가정이란 일반적으로 국내에 정주하고 있는 국제결혼 가정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국제결혼, 혼혈아 등의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한국 사회에서 금기시되거나 천시되어 온 특수한 사회적 배경 때문에 차별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하여 현재는 다문화가정으로 고쳐서 부르는 것으로 사회적인 합의가 이루어졌다. 「다문화...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호텔. 다이아나호텔은 가산디지털단지 등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990년 10월 23일에 건립되었다. 연면적은 6,635㎡이다. 객실로 스위트룸, 디럭스룸, 더블·트윈룸, 온돌룸, 싱글룸 등 총 65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부대시설로는 대연회실, 소연회실, 비즈니스센터, 세미나실, 커피숍, 칵테일바 등이 갖추어져...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음력 5월 5일 단오는 양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설·추석과 함께 3대 명절의 하나이다. 이를 수리, 천중절, 중오절, 단양, 수릿날 등이라고도 한다. 성장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삿날인 단오에는 두 가지의 의미가 담겨 있다. 하나는 모심기가 끝나고 이제 수확은 하늘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고 하여 성장과 증식을 비는 축제라는 것이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음력 5월 5일 단오는 양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설·추석과 함께 3대 명절의 하나이다. 이를 수리, 천중절, 중오절, 단양, 수릿날 등이라고도 한다. 성장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삿날인 단오에는 두 가지의 의미가 담겨 있다. 하나는 모심기가 끝나고 이제 수확은 하늘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고 하여 성장과 증식을 비는 축제라는 것이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 또는 1월 16일에 귀신이 돌아다닌다는 날. 음력 1월 16일인 귀신날은 귀신이 따르거나 집안에 들어오는 날이다. 이를 야광귀(夜光鬼), 귀신단지날, 귀신단오날, 신날[申日], 고마이날, 달귀귀신날 등이라고도 한다. 귀신날에는 먼 길의 외출을 삼간다. 특히 밤에는 남녀노소 모두 외출을 하지 않으며, 귀신이 와서 자신의 신발을 신어 보면 일 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세시풍속. 대보름은 정월 대보름을 말하며,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중원(中元)[7월 15일], 하원(下元)[10월 15일]과 연관해서 부르는 한자어이다. 또 이날을 오기일(烏忌日) 또는 달도(怛忉)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월 14일을 작은 보름, 15일을 큰 보름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대보름으로 부르는 것은 세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에 산으로 올라가 달을 보고 소원을 비는 풍속. 달보기는 한 해 중에서 가장 크게 뜨는 정월 대보름날 만월(滿月)을 보며 소원을 빌거나 농사일을 점치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달맞이, 영월(迎月), 달점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정월 대보름의 달은 1년 중 추석의 달과 더불어 양기(陽氣)가 가득 찬 달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신성시해 왔다. 특히 태음력에 기...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에 산으로 올라가 달을 보고 소원을 비는 풍속. 달보기는 한 해 중에서 가장 크게 뜨는 정월 대보름날 만월(滿月)을 보며 소원을 빌거나 농사일을 점치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달맞이, 영월(迎月), 달점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정월 대보름의 달은 1년 중 추석의 달과 더불어 양기(陽氣)가 가득 찬 달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신성시해 왔다. 특히 태음력에 기...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에 산으로 올라가 달을 보고 소원을 비는 풍속. 달보기는 한 해 중에서 가장 크게 뜨는 정월 대보름날 만월(滿月)을 보며 소원을 빌거나 농사일을 점치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달맞이, 영월(迎月), 달점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정월 대보름의 달은 1년 중 추석의 달과 더불어 양기(陽氣)가 가득 찬 달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신성시해 왔다. 특히 태음력에 기...
-
경기도 광명시의 대표적 인물인 정원용의 전복. 전복(戰服)은 문관과 무관의 군복인 구군복(具軍服)을 입을 때 그 위에 걸쳐 입던 옷이다. ‘답호’라고도 한다. 정원용(鄭元容)[1783~1873]이 입었던 전복은 1968년 12월 12일 중요민속문화재 제13-9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소매와 무, 그리고 앞섶이 없고 뒷솔기가 허리 아래로 트여져 있는...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재물과 재복을 기원하며 쌀을 담아 놓은 항아리. 대감독은 쌀이나 벼를 가득 담은 항아리를 대청 구석이나 광에 모셔 놓고 재물과 재복을 주는 가신으로 여기는 신체(神體)이다. 이를 ‘대감항아리’라고도 한다. 광명 지역에서는 이를 광에다 모셔 둔다. 대감독은 그 집의 재복을 기원하는 대상이다. 대감님은 굿에서 재물을 주는 신이다. 항아리에 쌀을 담아 대감님 몫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재물과 재복을 기원하며 쌀을 담아 놓은 항아리. 대감독은 쌀이나 벼를 가득 담은 항아리를 대청 구석이나 광에 모셔 놓고 재물과 재복을 주는 가신으로 여기는 신체(神體)이다. 이를 ‘대감항아리’라고도 한다. 광명 지역에서는 이를 광에다 모셔 둔다. 대감독은 그 집의 재복을 기원하는 대상이다. 대감님은 굿에서 재물을 주는 신이다. 항아리에 쌀을 담아 대감님 몫을...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었던 전기전자 냉난방기 제조업체. 1988년 10월 25일 대광엔지니어링으로 설립되었으며 1995년 1월 21일 공장 등록을 하였다. 1997년 10월 5일 본사를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362-1번지[설월로 15-9]로 이전하였고, 1998년 10월 7일 공장을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뇌조리 73-5번지로 이전하였다. 2000년 4월 18일 (주)대광엔지...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대년(大年). 증조할아버지는 태종의 아들인 익령군(益寧君)이고, 할아버지는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이며, 아버지는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이다. 어머니는 국자생원(國子生員) 조경(趙璟)의 딸이다. 부인 우씨(禹氏)와 혼인하였으나 자식이 없었고, 뒤에 감찰(監察) 정치(鄭錙)의 딸과 혼인하여 2남 1녀를 낳았는데, 그...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축산물 가공업체. 주식회사 대덕미트는 축산물 수입 개방에 맞서 경기도 내 축산 농가 축산물의 질적 향상 도모와 브랜드화 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판로를 구축하고 최고 품질의 안전한 먹을거리를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8년 주식회사 대덕미트가 설립되었으며 2009년에 지점 및 본사를 확장 통폐합하였다. 2009년 한 해에 다음과 같은 활동을 전개하였다...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신랑이 신부의 집에 가서 신부를 직접 맞이하는 의식. 친영(親迎)은 전통 혼례 중에서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예식을 올리고 신부를 맞아오는 의례이다. 이는 혼례식의 과정을 일컫는 말로써 ‘대례(大禮)’라고도 한다. 친영에는 신랑이 신부를 맞이하러 가는 초행을 비롯하여 혼례식의 절차인 전안례(奠雁禮)·교배례(交拜禮)·합근례(合巹禮)의 과정, 혼례식 이후의 과정,...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세시풍속. 대보름은 정월 대보름을 말하며,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중원(中元)[7월 15일], 하원(下元)[10월 15일]과 연관해서 부르는 한자어이다. 또 이날을 오기일(烏忌日) 또는 달도(怛忉)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월 14일을 작은 보름, 15일을 큰 보름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대보름으로 부르는 것은 세시...
-
아방리[능말]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정확히 말하면 정월 14일 저녁 보름달이 뜰 무렵 줄다리기를 하고 달집태우기와 널뛰기, 윷놀이를 하며 신나게 논다. 그런데 예부터 내려오는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는 일들이 최근 들어 젊은이들이 부족해지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줄다리기를 할 때면 외지인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고, 타지에 사는 고향 사람들에게...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던 자동차 정비 공구 제조 및 판매업체. 오늘날 자동차 시장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앞으로도 예측 불허의 발전을 보일 것이 분명하지만 선진국의 정비 문화에 비해 국내 정비 문화는 많이 뒤떨어져 있다. 이에 대신오토툴스는 선진 자동차 정비 문화 정착에 앞장선다는 신념으로 미래에 대한 가치 창조와 고객을 위한 마음, 시장 변화에 대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꿈꾸는...
-
경기도 광명시에서 공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습자 중심의 자율적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학교. 대안교육은 기존 제도권 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완하고 새로운 교육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대안학교는 학력 인정 여부에 따라 인가형과 비인가형 학교로 구분된다. 또한 학교 운영 형태에 따라 전일제 형태와 프로그램 형태로 구분된다. 광명시는 전국 최초로 개교...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 있는 한방 의료 기기 제조업체. 대조산업 한방메디칼은 보약과 보약 생산 설비 등의 제조 및 대리점 운영 등을 전문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조산업 한방메디칼은 1985년 3월 20일 식품 기계 공장을 설립하였다. 1999년 4월 30일 약 300㎡ 규모의 식품 공장을 착공하여 12월 20일에 준공하였으며, 2000년 6월 12일 한국식품을 설립하였...
-
1904년 제2차 시흥농민봉기의 간접적 원인이 된, 한일간 체결한 외교 문서. 한일의정서는 1894년 청일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조선의 식민지 지배에 배타적 우위를 확보한 일제가 러일전쟁 중인 1904년 2월에 무력으로 조선에 강요한 협약서이다. 이를 ‘대조선대일본양국맹약’이라고도 한다. 한일의정서로 일제는 조선에 대한 정치적·군사적 간섭을 합법화하였으며, 그 결과 광명 지역의 토지...
-
경기도 광명시에서 대중과 소통하며 대중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 광명시는 서울과 인접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광명시만의 자생적인 대중문화가 뿌리 내리는 게 쉽지 않은 현실이다. 이런 이유로 뚜렷한 대중문화의 족적을 찾기 어려우나, 다행히 1991년 한국연예인협회 광명지부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인 대중문화 활동이 시작되었다. 대중문화 예술이 광명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한국...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 있는 전산실 부대 장비 전문 설계, 제조 및 실내 건축 공사 업체. (주)대하솔루텍은 첨단 장비에 양질의 전원을 공급하여 전원 교란 및 장애로부터 보호하며 수명을 연장시키고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등 전산실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7월 대하전력전자시스템을 설립하고 무정전 전원장치(UPS), 자동전압조정기(AVR)를 개발하였고...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대한가수협회 광명 지역 지부. 대한가수협회 광명시지부는 회원들의 친목 도모와 권익 옹호 및 지역의 대중 예술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다. 2007년 2월 20일 초대 지부장에 서교원이 선출되면서 창립하였다. 2008년 2월 서교원이 한국연예인협회 광명지부장에 선출됨에 따라 사임하고 후임으로 수석 부지부장이던 고영화가 2대 지부장으로 취임하였다. 광명시에서 열리는...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대한노인회 산하 광명 지역 지부. 대한노인회는 전국 16개 광역시·도 연합회와 245개 시·군·구 지회 및 334개 노인대학, 2,005개 읍·면·동 분회, 전국 5만 8528개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260만 회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한노인회 광명시지부는 사회 구조 기능의 다변화에 따른 지역 사회 노인들의 복지 증진과 권익 신장을 도모하고, 사회봉사 활...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대한성공회 소속의 교회. 대한성공회 광명교회는 하나이요, 거룩하고[聖], 공변되고[公],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의 전통을 계승한다. 대한성공회 광명교회는 하나님 나라를 전하는 교회를 표어로하여 찬양, 말씀, 기도와 사랑, 나눔, 섬김을 사목 방향으로 설정하여 활동하고 있다. 1989년 4월 2일 영등포교회에서 광명 지역 교회 개척 기금 1,000만...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대한적십자사봉사회 산하 광명 지역 지부. 국제적십자운동은 1859년 이탈리아 북부의 솔페리노 전쟁터에서 스위스 청년 실업가 장 앙리 뒤낭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 1863년 10월 29일 제네바에서 회의를 개최하여 흰색 바탕에 붉은 십자 모양의 표장을 선정하였고, 10개조의 적십자 규약을 채택함으로써 정식으로 국제 적십자 운동이 시작되었다. 대한적십자...
-
경기도 광명시 광명3동에 있는 청소년 보호를 위한 지역 사회단체. (사)대한청소년육성회 광명시지회는 청소년의 탈선 방지를 위한 감시, 고발 활동 및 성폭력과 유해 환경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가청소년위원회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 지정 단체이다. (사)대한청소년육성회 광명시지회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바른 성장을 위하여 새롭고 유익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며, 건전한...
-
경기도 광명시에서 활동하는 실버 댄스 동아리. 나이야가라는 스포츠댄스를 통한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신체 활동으로 건강을 유지하고 생활의 즐거움과 활력을 높여 생산적인 삶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잔존 능력을 개발하여 공연 봉사단으로 재조직화하고 배우며 봉사하는 자원봉사로 사회 통합을 이루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004년 4월 어르신들의 건강한 여가 선용과 즐거운 노후 생활을 위...
-
경기도 광명시 광명3동에 있는 어르신 사회봉사 단체. 광명은빛봉사단은 고령 사회를 대비하여 어르신들의 역할을 증대시킴으로써 적극적인 봉사 활동과 사회 참여를 유도하고 시대적인 문제 해결에도 앞장서는 등 문화 시민으로의 활동과 생산적인 노후 생활을 영위하여 사회 통합을 가져오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광명종합사회복지관은 고령 사회를 대비하여 어르신들의 역할을 증대하기 위하여 19...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더위를 먹었을 때 민간에서 병을 고치는 방법. 더위먹음은 광명시에서 더위에 지쳐서 헛헛하고 헛배가 부른 더위를 먹었을 때[일사병·열사병]에 취하는 민간요법이다. 과거 농촌에서 일을 하던 사람들은 뜨거운 햇볕 아래에서 장시간 일을 하다 보면 더위를 먹게 된다. 더위를 먹으면 몸에 힘이 없고 입맛이 떨어진다. 밥맛이 떨어질 때는 익모초가 효험이 있다. 또한 더위를...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대보름날 아침에 남에게 더위를 파는 풍속. 더위팔기는 음력 1월 15일 아침, 해뜨기 전에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상대방의 이름을 불러 더위를 파는 세시풍속이다. 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서 부럼 깨물기를 한 다음에 밖으로 나가 아는 사람을 만나면 불러서 “내 더위 사가라.”하고 말한다. 이는 더위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이라도 덜게 하고자 하는 주술적 행위라고 본...
-
장순룡을 시조로 하고 장준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덕수장씨(德水張氏)는 의랑공파(議郞公派)와 판윤공파(判尹公派)가 있으며, 조선시대에 왕비 한 명, 상신 한 명, 호당(湖堂) 두 명, 공신 세 명, 문과 급제자 여덟 명을 배출하였다. 시조 장순룡(張舜龍)은 원나라 세조 때 필도치라는 벼슬을 지낸 장백창(張伯昌)의 아들로, 1274년(원종 15) 충렬왕 비인 제국대...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자연마을. 성채산 정상에 있는 바위인 덕암(德岩) 아래에 있는 마을이어서 덕암이라 하였다가 후대에 덕안(德岸)으로 변하였다는 설, 성채산 위에 ‘덕암’이라고 새긴 바위가 있어 덕암이라 하였다가 나중에 덕안이 되었다는 설이 전한다. 일설에는 마을이 하천 변에 있음에도 큰 장마가 들어도 피해가 없는 언덕 위에 자리 잡은 마을이어서 붙인 이름이라고도 한다....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서독로에서 KTX 광명역을 지나 기아로에 연결되는 도로. 덕안이라는 자연마을에서 이름을 따서 덕안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덕안로는 연장 2.61㎞, 폭 25m, 왕복 6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KTX 광명역에서 광명역세권 개발 지구를 통과하여 기아로까지 연결하고 있는 광명 역세권 개발 지구의 중심 도로로 건설되었다. 광명시 소하2동 기아로의 기아삼거리 가마숯길...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자경리마을 북쪽 덕안이마을에 있는 고개. 광명시 일직동 자경리는 지방에서 한양으로 이동할 때, 이 마을에 도착하면 이제부터는 한양이라는 뜻으로 자경리(自京理)라 했다고 전해진다. 이곳의 북쪽 마을을 덕안이라고 하는데 이 마을에 위치한, 언덕으로 이루어진 고갯길을 마을의 이름을 따서 덕안이고개라고 부르게 되었다. 성채산 남쪽의 제2경인고속도로가 지나는 일직분기점...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 자는 덕휘(德輝), 호는 동곽(東郭). 증조할아버지는 강숙돌(姜叔突)이고, 할아버지는 강뢰(姜賚)이며, 아버지는 현령(縣令)을 지낸 강유경(姜惟慶)이다. 강찬(姜燦)[1557~1603]은 1582년(선조 15)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이듬해 알성시(謁聖試)에서 병과 3인으로 급제하였다. 승정원사변가주서를 거쳐 1587년(선조 20) 호...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왜가릿과에 속하는 조류. 덤불해오라기는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태평양 등지에 서식하며 우리나라를 찾는 여름새이다. 전국적으로 갈대와 부들, 줄 등의 친수성 또는 정수성 수생 식물이 밀생하여 천적으로부터 몸을 숨기기 유리하고 적절하게 그늘을 제공하며, 먹이 활동하기에 좋은 곳에서 부들의 잎을 엮어 둥지를 틀고 번식을 마친다. 몸집이 작기 때문에 부들과 줄...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자연마을. 데부뚝마을은 일본말로 제방을 뜻하는 ‘데이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일제강점기인 1933년 안양천에 제방을 쌓은 뒤 그 밑에 형성된 마을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광복 직전에는 약 7가구가 있었고 기아산업이 들어선 뒤 기아산업과 석수역을 잇는 다리가 개설되어 교통이 편리해지면서 인구가 늘어났다. 여의도 등지에 살던 사람들이 도시 개발로 데부뚝...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이 독 안처럼 생겨 독안이라 하였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발음이 변하여 도구내가 되었다는 설, 서독산을 넘어 소하동으로 가는 고갯마루에서 발원한 작은 내의 이름인 도고내[道高川]에서 따 온 이름이라는 설이 전한다. 김정호(金正浩)의 『대동지지(大東地志)』에도 지도와 함께 도고내라는 하천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오래전부터 도고내란...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서 가학동 도고내로 넘어가는 고개. 서독산의 서편을 도고산이라고도 하는데, 서독산의 주변부 서편을 흐르는 하천을 도고내로 부르면서 가까이 있는 고개를 도고내고개로 부르게 되었다. 산정 부근으로는 떡갈나무와 팥배나무·때죽나무·굴참나무·갈참나무·밤나무 등의 나무가 자라고 있다. 도고내고개는 비포장도로로 되어 있으며, 인근에 있는 구름산·가학산·서독산 등으로 이어진...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에 있는 대한불교 원융종 소속의 사찰. 원융종(元融宗)은 믿고, 알고, 실행하는 것을 여러 사람과 같이 해야 된다는 이리행원(二利行願)을 목표로, 1982년 3월 26일 문공부에서 사단법인 대한불교 원융원의 설립 허가를 받고 포교 활동을 해왔다. 이후 시대적 사명감과 대원력(大圓力)으로 화합하여 불교의 전통을 바로 잡고 총화 불교의 구현자로서, 민족이 요구하는...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이 독 안처럼 생겨 독안이라 하였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발음이 변하여 도구내가 되었다는 설, 서독산을 넘어 소하동으로 가는 고갯마루에서 발원한 작은 내의 이름인 도고내[道高川]에서 따 온 이름이라는 설이 전한다. 김정호(金正浩)의 『대동지지(大東地志)』에도 지도와 함께 도고내라는 하천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오래전부터 도고내란...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에 행하는 액막이 풍속. 허수아비 버리기는 음력 1월 15일에 액을 쫓아 버리기 위해 허수아비를 만들어 그 속에 좋지 않은 운세를 써넣어 버리면 액을 면한다고 하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도깨비 방쉬’라고도 부른다. 허수아비는 새나 짐승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인형이다. 막대기와 짚, 헝겊 등으로 사람의 형상을 만들고 헌 삿갓 같은 것을...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 식골마을에서 주민의 안녕과 무병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옥길동 식골 도당고사는 매년 음력 7월 1일과 10월 1일에 마을 사람이 모두 여름과 가을에 무병하고 무고하기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산신제’, ‘도당고사’ 등이라고도 한다. 1993년 조사에 의하면, 산신제는 연 2회 지내는데 날짜는 7월과 10월에 택일을 하다가 요즘은...
-
도당(禱堂)은 수호신을 제사하는 단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굿이 개인의 무병장수나 죽은 이의 영혼을 위해 행해지는 것과 달리 도당굿은 신목(神木)인 소나무에 띠를 두르고 제를 올리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굿판이다. 마을 전체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는 것이다. 광명시 소하2동 설월리 마을에서는 이웃한 오리동, 영당말 주민들과 함께 매해 음력 7월 1일 마을 축제이기도 한 도당고사를...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 두길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옥길동 두길 산신제는 음력 10월 초정유일(初丁酉日)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고 우마와 가축의 번성과 주민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그냥 ‘산신제’, ‘도당제’ 등이라고도 한다. 제장은 사창 터의 도당나무이다. 사창 터는 예전에 소나무가 무성했던 곳으로 활을...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시청사거리에서 철산3동 안현초등학교 삼거리에 연결되는 도로. 광명시 철산3동 시청사거리를 기점으로 하여 철산4동주민센타와 광덕초등학교를 지나 철산3동 안현초등학교 삼거리를 종점으로 하는 도로이다. 도덕산 도시자연공원이 가까이 있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도덕공원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도덕공원로는 연장 964m, 폭 11m, 왕복 2차선 도로이다. 철산동의 토...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 광명돔경륜장에서 중앙하이츠아파트에 연결되는 도로. 광명시 광명7동 광남사거리에서 광문초등학교 사거리를 지나 광명7동 중앙하이츠아파트에 이르는 도로이다. 광남사거리에서 도덕산 등산로의 입구에 진입하는 도로여서 도덕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도덕로는 연장 750m, 폭 20m, 왕복 4차로에 이르는 도로이다. 1992년~1994년 광명7동 일대에서 광명지구 토지 구...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철산동·하안동에 걸쳐 있는 산. 도덕산의 주봉인 광명산을 축으로 광명동과 하안동 및 철산동으로 펼쳐진 산이다. 시내 중심에 위치하여 산의 정상을 기준으로 북동쪽으로는 광명시청과 광명시민회관이 있다. 반대 방향으로는 하안동 주거 지역과 공공시설인 광명시 실내체육관이 있고, 서쪽 방향으로는 광명동이 배향하고 있는 도심을 거느린 산이다. 도심에 인접한 지리적 특성상...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에 있는 도시 자연 공원. 도덕산은 광명시 광명동, 철산동, 하안동에 걸쳐 있는 높이 183.1m의 산이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사신들이 산봉우리에 모여 도(道)와 덕(德)에 대한 의견을 자주 나누었다고 하여 도덕산이라 불렸다고 한다. 도덕산 도시자연공원의 이름은 산 이름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1979년 도시 자연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나 지속적인...
-
경기도 광명시 도덕산(道德山)에 있는 백제시대의 보루(堡壘). 도덕산 보루군은 도덕산성으로 알려진 유적이다. 1977년의 조사에 따르면 둘레 700m 정도의 토석축(土石築)으로, 삼국시대 산성지(山城址)라 보고되었다. 그러나 1986년의 조사에서는 도덕산[198m] 성지(城址)로 삼국시대 후기의 백제 유적과 함께 성지나 봉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2003년의 조사에...
-
경기도 광명시 철산4동에 있는 야생화단지. 2002년부터 도덕산 정상부 녹화 사업을 시작하여 전통 정자[전망 휴게소], 학습장 등의 시설물을 설치하고, 진달래와 철쭉 등 20여 종의 수목 10만여 그루를 식재하였다. 2004년 11월에는 도덕산 정상부 녹화[철쭉동산] 사업을 완료하였다. 시내 전경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도덕산 정상부의 정자 주변에 여러 종류의 야생화 군락이 조성되어...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에 있는 인공폭포공원. 광명시는 쌈지소공원을 조성하면서 유휴지에 인공 폭포, 분수, 야외무대 등을 설치하고 있는데, 도덕산 인공폭포공원의 경우는 도덕산 도시자연공원을 건립하면서 공원 입구의 일부분인 도덕산 채석장 터를 활용하여 조성한 공원으로서 2008년 10월 31일 완공하였다. 총면적은 도덕산 도시자연공원의 4.87%인 7만 487㎡이다. 인공 폭포, 벽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적의 습격에 대비하여 흙이나 돌로 구축한 방어 시설. 성곽이란 성(城)과 곽(郭)의 합성어이다. 성은 내성을 말하고 곽은 성의 주위를 에워싼 나성의 형태로 우리나라는 내성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을 성곽으로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성곽은 기능에 따라 도성(都城)과 장성(長城), 읍성(邑城), 산성(山城) 등 다양하게 구분을 한다. 도성은 왕궁의 도읍지...
-
경기도 광명시 철산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예절 바른 어린이, 야무진 꿈을 가꾸는 실력 있는 어린이, 열린 생각으로 슬기롭게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정서가 풍부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이다. 1984년 12월 28일 도덕국민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86년 4월 25일 개교하...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사람이나 차들이 다니는 비교적 큰 길. 광명시의 도로 개설 단계는 정비기인 1980년대, 확장기인 1990년대, 내실을 다지는 시기인 2000년대로 나눌 수 있다. 시 승격 당시인 1981년에는 도로 총 연장이 57.57㎞이었으나 1990년도에는 123.62㎞에 이를 정도로 크게 확장되었다. 특히 1989년에 비약적인 도로 확장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는 광명...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경칩(驚蟄) 날에 도롱뇽이나 개구리 알을 먹는 풍속. 도롱뇽알먹기는 동면했던 도롱뇽이나 개구리 등이 경칩 무렵에 낳은 알을 먹으면 몸에 좋다고 하여 건져 먹는 세시풍속이다. 경칩은 글자 그대로 동면에 들었던 동물이나 벌레들이 깨어나 꿈틀거리기 시작하는 절기이다. 이때는 날씨가 따뜻하여 초목에 싹이 돋아나며 동면하던 짐승들도 땅속에서 나온다. 경칩 무렵에 도롱뇽...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도서, 출판물 등의 자료를 모아 두고 일반인이 볼 수 있도록 한 시설. 광명시의 도서관은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이동 도서관, 학교 도서관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공공도서관은 지방자치단체가 설치·운영하는 도서관으로 광명시 하안도서관, 광명시 광명도서관[옛 광명시 중앙도서관], 광명시 철산도서관, 광명시 소하도서관, 광명시 충현도서관, 광명시 연서도...
-
경기도 광명시 철산4동에 있는 대한불교 본원종 소속의 사찰. 대한불교 본원종은 고려 말기의 승려인 태고(太古) 보우(普愚)를 종조로 삼고 있는 종단이다. 1989년 창종하고, 태허(太虛)[속명 권계한]가 초대 종정으로 취임하였다. 자각각타(自覺覺他), 각행원만(覺行圓滿)의 교리를 봉체(奉體)하여 널리 법을 전해 전법도생(傳法度生)하고, 호국안민(護國安民)하는 것을 종지로 삼는다....
-
자연경관을 보호하고 시민의 건강, 휴양, 정서 생활을 위하여 경기도 광명시 도시 계획 구역 안에 만든 공원. 도시공원은 도시 내부 또는 주변에 조성하는 후생적(厚生的) 조원(造園)으로 시민의 레크리에이션을 위하고 도시 생활자에게 생활의 윤택함을 주기 위해 도시계획법에 따라 도시 계획 시설로서 설치되는 녹지 지역, 풍치 지구 등의 공원 및 녹지를 말하며 기능에 따라 어린이공원, 근린...
-
경기도 광명시 광명2동에 있는 광고 기획사. 도시기획은 광고물의 기획, 설계, 제작 및 시공과 관련된 사업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간판 및 현수막을 주로 제작하고 있다. 2009년에 경기도청에서 아름답고 특색 있는 옥외 광고물 제작 업체를 발굴할 목적으로 주관한 옥외 광고 모범 업체 인증제에서 모범 업체로 선정되었다. 2010년 현재 약 99㎡의 사무실에서 디자이너 2명을 포함하...
-
충청북도 제천이 고향인 정운하[1959년생] 씨는 초등학교 5학년이던 1970년에 아버지의 사업이 어려워지면서 서울로 올라와 철산리, 지금의 광명시청 건너편 철산주유소 자리에 정착했다. 당시 그곳에는 정운하 씨 집을 비롯해 20여 가구가 무허가 땅에 벽돌로 집을 짓고 옹기종기 붙어살았다. 정운하 씨 아버지는 광명사거리에서 동그마니[곡식을 담기 위해 짚으로 엮어서 만든 넓...
-
광명시 하안1동 주거 밀집 지역에 위치한 안터습지는 도덕산·구름산 자락과 인근에 안양천·목감천을 끼고 있어 도심권에서는 보기 드문 내륙 습지로서 독특한 내력을 자랑하고 있다. 전체 면적은 1만 7,914㎡[5,149평]로, 2004년 경기도 생태계보존지구로 지정될 만큼 전체 지역이 자연 녹지 지역으로서 습지의 발달 생태적 환경 특성이 양호한 곳이다. 특히 도덕산과 구름산 등의 수림...
-
오리(梧里)는 조선 후기 대표적인 재상인 이원익(李元翼)[1547~1634]의 호이다. 본관은 전주(全州)로, 태종의 아들인 익녕군 이치(李袳)의 5세손이다. 1569년(선조 2) 관직에 나아가 임진왜란을 전후한 격동기에 선조와 광해군, 인조 등 세 왕을 섬겼다. 이원익은 청백리(淸白吏) ‘오리 대감’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데, 청백리는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근검·도덕...
-
철산동 쇠머리 지역은 예부터 덕수장씨 일족이 모여 살던 세거지였다. 덕수장씨 가문이 철산2동에 정착한 것은 임진왜란 당시 행주산성에서 권율 장군의 휘하에서 싸우다 전사한 충의공 장응기(張應箕)의 영정을 그의 넷째 아들 장준(張晙)이 옮겨 오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장준의 후예들은 충의사라는 사당을 건립해 대대로 제를 지내 왔다. 철산주공12단지...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갈참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 가학산, 서독산 등지의 비교적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군집을 형성하며 서식하고 있다. 참나무속 식물 중 수세(樹勢)가 중간 정도이며 흔히 연료목, 목재용, 기구용 등으로 많이 잘려 나가 주변에서 장수하는 나무를 보기 쉽지 않다. 실제 갈참나무 목질은 단단하고 무거우며...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상수리나무는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 등지를 포함한 전국 대부분의 산림과 숲 자락, 민가 주변 농경지와 임산지의 경계부, 산정 인근의 양지 등에 집단으로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참나무속 중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제 수고(樹高)도 높다. 아울러 지하고(枝下高)가...
-
광명문화원에서 매년 관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문화장터. 도토리문화장터는 광명시에 거주하는 초등학생이 직접 도토리문화장터에 가게를 신청하고, 물건을 판매하는 경험을 해봄으로써 시장 경제에 대한 감각을 배우고 이익금 중 일부를 아름다운 가게에 기부함으로써 나누고 더불어 사는 정도 함께 배울 수 있는 뜻 깊은 행사이다. 2006년 광명어린이문화장터가 2007년 도토리문화장터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간 의료 행위. 도투마리경 읽기는 별다른 이유 없이 횡액을 당했을 때 아픈 사람을 치료하기 위한 의료 행위이다. 도투마리경을 읽을 때는 귀신을 쫓기 위하여 복숭아나무 가지를 꺾어다 쓴다. 도투마리경 읽기는 못을 잘못 박았거나, 다른 물건을 들여오거나, 모르는 사람이 잘못 들어와 아무런 이유 없이 탈이 나서 아픈 사람이 생겼을 때에 병을 고치려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주로 부녀자들이 즐기던 민속놀이. 널뛰기는 정초에 여자들이 둘로 나뉘어, 긴 널빤지의 중간에 짚단이나 가마니로 밑을 괴고, 양쪽에서 서로 균형을 잡아가며 발로 굴러서 서로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을 반복하는 민속놀이이다. 한자어로는 초판희(超板戱), 판무(板舞), 도판희(跳板戱) 등이라고도 한다. 정초나 단오, 혹은 추석 같은 명절에 많이 행한다. 널뛰기는 우리나...
-
광명 지역에서 3·1만세 운동이 처음 일어난 시기는 3월 27일이다. 당시 서면 소하리에 거주하고 있던 이정석(李貞石)이 노온사리 주재소 부근에서 만세 시위를 선동하다가 28일 아침 출동한 일본 경찰에 강제 연행되어 치안법 위반자로 노온사리 경찰관 주재소에 구금되었다. 이에 서면 지역 주민들이 이정석을 구출할 계획을 세움으로써 이 지역에서 3월 28일 200여 명이 참가...
-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민족 독립을 위해 경기도 광명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운동가들. 대한제국기와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 이후 1945년 광복을 맞이하기까지 광명 지역에서는 독립 운동과 항일 운동이 부단하게 전개되었다. 광명지역에서는 여러 명의 독립운동가들이 활약하였다. 1866년 시흥군 서면 철두리에서 태어난 장원겸(張元謙)은 충청남도 직산군 일대에서 길찬범(吉贊範) 의병...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 있는 한국기독교 장로회 소속의 교회.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라는 신앙 고백을 바탕으로, ‘가르치는 교회’, ‘증거하는 교회’, ‘치유하는 교회’를 표방한다. 1968년 3월 17일 김일용 전도사의 창립 예배로 시작된 독산동교회는 1969년 교회 건물을 건축하고 이듬해인 1970년에 장대웅 목사가 부임하여 2001년 4월까지 시...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신갈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가학산, 도덕산, 서독산 등지의 모든 산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수종이다. 우리나라 전체의 숲에서도 주인공 노릇을 하며 삼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와 함께 숲에서 실질적인 주인공으로 등장할 날이 그리 멀지 않는 자연적 천이 과정에서 가장 우세한 세력을...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 자는 덕휘(德輝), 호는 동곽(東郭). 증조할아버지는 강숙돌(姜叔突)이고, 할아버지는 강뢰(姜賚)이며, 아버지는 현령(縣令)을 지낸 강유경(姜惟慶)이다. 강찬(姜燦)[1557~1603]은 1582년(선조 15)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이듬해 알성시(謁聖試)에서 병과 3인으로 급제하였다. 승정원사변가주서를 거쳐 1587년(선조 20) 호...
-
경기도 광명시 철산4동에 있던 어린이 도서관. 동네한바퀴 어린이도서관은 철산4동에 거주하는 아이들에게 놀이터와 같은 공간을 만들어 다양하고 재미있는 체험 활동과 지역 주민의 교육 공간, 소모임 활동 공간으로 2009년 6월 10일에 문을 열었다. 주요 업무는 도서 열람 및 대출 업무와 도서관 운영 시간 이후 공부방 운영이었다. 이 외에도 연 2회 소식지를 통해 도서관 활동 보고 및...
-
경기도 광명시의 대표적 인물인 정원용의 구군복. 구군복(具軍服)은 조선시대 문관과 무관들이 갖추어 입던 군복이다. 정원용(鄭元容)[1783~1873]이 입었던 구군복은 1968년 12월 12일 중요민속문화재 제13-8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머리에는 짐승 털을 가공하여 만든 전립을 쓰고 두루마기와 비슷한 모양이나 뒤가 트여 있는 협수를 입고 그 위에...
-
경기도 광명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의 모든 종류. 동물상이란 일정한 환경이나 사는 조건에 따라 분류된 전체 동물의 종류를 의미한다. 동물상은 식물상과 상대되는 말이다. 일정한 지역에 생존하고 있는 동물상을 상세하게 파악하는 것은 매우 작은 지역이라도 어렵다. 그러나 동물상을 파악하는 것은 생태계나 생물 군집에 관계되는 생태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광명의 동물상은 광명시 일원...
-
경기도 광명시 광명4동에 있는 전기 배선 공사 및 전기 재료 판매 업체. 동서전기건설공사는 아파트·빌딩의 전기 배선 공사 사업과 더불어 전기 재료, 인테리어 및 실내조명 기기 도매 사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이다. 동서전기건설공사의 주 업종은 내부 전기 배선 공사업으로 아파트 및 빌딩의 전기공사 사업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부 업종으로 전구·램프, 조명 장치[인테리어 조명, 실내...
-
경기도 광명시에서 동성동본의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사는 곳. 집성촌은 우리나라 전통 사회의 한 특징으로 동성동본의 성씨 집단이 대대로 함께 모여 사는 촌락을 말한다. 집성촌이 형성된 시기는 삼국시대 또는 고려시대로 보기도 하지만, 조선 전기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여 17세기 이후에 정착된 것으로 보고 있다. 집성촌의 형성은 가족 제도와 친족의 범위, 혼인, 상속 제도와 관련이...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함(景涵), 호는 동암(東巖)·북산(北山). 증조할아버지는 상의원정(尙衣院正)과 지제교(知製敎)를 지낸 이달선(李達善)이고, 할아버지는 홍문관박사를 지낸 이공인(李公仁)이며, 아버지는 승정원도승지와 이조참판·전라도관찰사를 역임한 이중호(李仲虎)이다. 부인은 박이(朴苡)의 딸이다. 이발(李潑)[1544~1589]은 1573년(선조 6)...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어린이 책 전문 서점. 동원 어린이서점은 유익한 책을 구비하여 광명 지역 어린이들에게 도서를 보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어린이 서적에 대한 판매뿐만 아니라 좋은 책에 대한 정보와 독서 지도 요령 등의 조언도 하고 있다. 이 외에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문화 행사에 후원을 하고 있다. 사단법인 어린이도서연구회 광명동화읽는어른모임에서 주최하는...
-
경기도 광명시에서 동성동본의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사는 곳. 집성촌은 우리나라 전통 사회의 한 특징으로 동성동본의 성씨 집단이 대대로 함께 모여 사는 촌락을 말한다. 집성촌이 형성된 시기는 삼국시대 또는 고려시대로 보기도 하지만, 조선 전기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여 17세기 이후에 정착된 것으로 보고 있다. 집성촌의 형성은 가족 제도와 친족의 범위, 혼인, 상속 제도와 관련이...
-
경기도 광명시에서 동성동본의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사는 곳. 집성촌은 우리나라 전통 사회의 한 특징으로 동성동본의 성씨 집단이 대대로 함께 모여 사는 촌락을 말한다. 집성촌이 형성된 시기는 삼국시대 또는 고려시대로 보기도 하지만, 조선 전기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여 17세기 이후에 정착된 것으로 보고 있다. 집성촌의 형성은 가족 제도와 친족의 범위, 혼인, 상속 제도와 관련이...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에 지내는 풍속. 광명 지역에서는 동지[양력 12월 22일 또는 23일]를 ‘작은설’, ‘아세(亞歲)’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옛날에 동지를 설로 삼았던 데서 나온 말이다. 그래서 24절기 중 동지를 태양이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고, 한 해가 시작되는 기점으로 여겨 예로부터 중시하였다. 동지를 작은설이라 한 것도 동...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자연마을. 분성김씨 김계욱이 처음 정착하여 선조인 김응수를 기리고자 사당인 영모재를 지은 뒤 후손들이 사당 아래에 마을을 이루어 살면서 동쪽에 창을 내고 선조를 우러렀다 하여 동창골[東窓谷]이라 하였다. 동창골은 조선 후기 분성김씨 11세손인 김계욱이 농사를 짓기 위해 경기도 김포군 양촌면에서 이주해 와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1914년...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낚시터. 샘터낚시터는 본래 가뭄 시 천수답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던 개인 소유의 저수지로서, 평상시에는 우기 시의 물을 담수하고 농번기 때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면서 수세를 받아 왔는데 주변 개발로 인하여 농경지가 없어짐에 따라 저수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소유주가 기존 저수지를 낚시터로 이용할 수 있는지의 유무를 경기도...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던 자연마을. 동향(東向) 마을이므로 동촌(東村)이라 하였다. 동촌에는 남원양씨가 처음 정착하였고 이후 전주최씨·안동권씨 등이 입향하여 세거해 왔다. 조선 말기 시흥군 서면 일직리에 속하였고, 1964년 시흥군 서면 일직2리에 속하였다. 1981년 광명시 승격으로 광명시 일직동에 속하였고 행정상으로는 광명시 소하2동 10통 2반이다. 일직동은 크게 자경리와...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에 있는 자연마을. 시흥시 금이동과 서울특별시 오류동을 관통하는 길이 마을 중앙을 지나면서 길 양쪽에 민가가 들어서 취락이 형성된 뒤로, 뒤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뒤길이라 하였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두길(斗吉)로 바뀌었다. 두길은 철산부사를 지낸 하섭이 관직에서 물러나 부평말 중앙에 연못[일명 못배미]을 파고 살다가 후손이 분가하여 정착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두길리교회는 광명시 옥길동 두길리마을[두길리]의 복음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두길리교회는 1967년에 설립된 이후 지금까지 현재의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개척자 고(故) 김태주 목사 이후 2008년부터 김두회 목사가 두길리교회 제2대 담임목사로 교회를 섬기고 있다. 그동안 두길리교회는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가입된 교회였는데,...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생태 체험 학교. 두꺼비산들학교는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계절별 생태의 변화를 느끼고 흥미로운 자연 체험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과 놀이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0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환경 동아리에서 활동하던 주부들이 모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생태 체험 활동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구름산 모니터링’과 ‘두꺼비산들학교 들살이...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두드러기가 났을 때 민간에서 병을 고치는 방법. 두드러기 치료는 광명시에서 피부가 붉거나 희게 부르트며 몹시 가려운 병에 걸렸을 때에 취하는 민간요법이다. 예전에는 몸에 두드러기가 생기면 매캐한 냄새가 나도록 재를 태우고, 이 재를 뒷간에 가서 환자의 환부에 바른 뒤 그 자리를 빗자루로 여러 차례 쓸어냈다. 아마도 매캐한 재에 특별한 소독 효과가 있는 것으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공동 노동이나 잔칫날에 하던 공동체 놀이. 두레놀이는 정월 대보름과 두레 공동 노동 시, 그리고 혼인과 환갑 등의 기쁜 날에 두드리는 마을 공동의 민속놀이이다. 두레는 원시적 유풍인 공동 노동체이며 농촌 사회의 상호 협력과 감찰을 목적으로 조직된 촌락 단위의 조직이다. 우두머리를 좌상[영좌]이라 하고, 두레를 표시하는 기(旗)가 있었다. 그 종류도 다양하여 성...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본사를 둔 단체급식 전문 업체. (주)두레식품은 순수하게 단체급식회사로 처음 설립된 학교급식전문 중소기업이다. 일찍이 1980년대 말에 광명과 인연이 되어 시민운동을 통해 지역의 문화 교육에 힘써왔고 농민운동을 통해 도농 간의 직거래로 연결하는 생활협동조합을 운영하며 농촌 살리기에도 앞장서온 김양주 현 대표이사가 1997년 전국적으로 학교 급식이 시행되자 자...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식품 제조업체. 두부와 콩나물은 1990년 설립된, 친환경 콩나물 재배와 두부 제조를 주 업종으로 하고 있는 식품 업체이다. 무농약, 무성장 촉진제, 국산 콩 100%의 재료로 두부와 콩나물을 재배한다. 콩나물을 재배하는 물은 수질 검사 44개 항목에 합격한 음용수인 도덕산 줄기 지하 암반수를 사용하고 있다. 콩은 제주도와 전라도산으로 매회 약 10톤...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자연마을. 공석골 뒤에 있는 마을이므로 뒷골이라 하였다. 달리 둔전현(屯田峴)이라고도 하였다. 뒷골은 공석골에 살던 창녕성씨가 번성하여 분가하면서 형성된 마을로 조선시대에는 시흥군 서면 유등리에 속하였고, 1914년 시흥군 서면 가학리에 속하였다. 1964년 시흥군 서면 가학3리에 속하였고, 1981년 광명시 승격으로 광명시 가학동에 속하였다. 행정상으...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자연마을. 공석골 뒤에 있는 마을이므로 뒷골이라 하였다. 달리 둔전현(屯田峴)이라고도 하였다. 뒷골은 공석골에 살던 창녕성씨가 번성하여 분가하면서 형성된 마을로 조선시대에는 시흥군 서면 유등리에 속하였고, 1914년 시흥군 서면 가학리에 속하였다. 1964년 시흥군 서면 가학3리에 속하였고, 1981년 광명시 승격으로 광명시 가학동에 속하였다. 행정상으...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 아방리[학온2통]에서 농사의 고단함을 해소하고 풍년을 기원하며 부르던 노동요. 아방리[능말]는 현재 행정구역 상 광명시 학온2통으로 구분되지만, 전통적인 자연마을로 유지되고 있는 지역이다. 아방리에서는 구름산 산신제, 아방리 줄다리기와 같은 전통문화가 마을 행사로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농번기 때는 모심기, 논매기 등과 관련하여 농요(農謠)가 성행하였다. 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에 디딜방아를 훔쳐와 액막이로 거꾸로 세우는 풍속. 디딜방아 훔치기는 음력 1월 15일에 훔쳐온 디딜방아를 마을 입구에 거꾸로 세워 두고 부인들 속곳을 거꾸로 입혀 잡귀나 질병을 막고자 한 세시풍속이다. 이를 ‘디딜방아 액맥이놀이’라고도 한다. 마을에 질병이 유행할 때 액막이로 다른 마을의 디딜방아를 훔쳐와 자기 마을에 세워 놓는 풍속이다. 곡식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에 디딜방아를 훔쳐와 액막이로 거꾸로 세우는 풍속. 디딜방아 훔치기는 음력 1월 15일에 훔쳐온 디딜방아를 마을 입구에 거꾸로 세워 두고 부인들 속곳을 거꾸로 입혀 잡귀나 질병을 막고자 한 세시풍속이다. 이를 ‘디딜방아 액맥이놀이’라고도 한다. 마을에 질병이 유행할 때 액막이로 다른 마을의 디딜방아를 훔쳐와 자기 마을에 세워 놓는 풍속이다. 곡식을...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경찰서삼거리에서 철산대교사거리에 연결되는 도로. 2009년 광명시에서 도로명을 재정비하면서 기존의 광덕로 구간 중 광명경찰서에서 철산대교에 이르는 도로를 디지털로로 변경하였다. 이는 철산대교 건너 옛 구로공단이었던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가산디지털단지의 상징성과 접근성을 반영한 것이다. 디지털로는 연장 4.6㎞, 폭 30m, 왕복 6차선에서 8차선에 이르는...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미리 정한 구역의 땅을 서로가 많이 차지하려고 겨루는 놀이. 땅뺏기는 남자나 여자 아이들이 마당에서 일정한 구역을 지정한 후 손바닥으로 땅을 재어 많은 땅을 가지려고 경쟁하는 민속놀이이다. 땅의 크기를 자신이 원하는 만큼씩 넓혀가며 승부를 겨루는데, 지역에 따라 놀이 방법이 다소 다르다.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땅뺏기는 어린이들이 가장 손쉽게...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떡갈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 가학산, 서독산, 애기능 주변 야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참나무속 나무 중에서 잎이 가장 크게 성장하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예로부터 음식물과 식재료를 쌀 수 있는 크고 넓으며 위생적으로도 우수한 특성의 잎을 가진 나무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에서도...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갈참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 가학산, 서독산 등지의 비교적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군집을 형성하며 서식하고 있다. 참나무속 식물 중 수세(樹勢)가 중간 정도이며 흔히 연료목, 목재용, 기구용 등으로 많이 잘려 나가 주변에서 장수하는 나무를 보기 쉽지 않다. 실제 갈참나무 목질은 단단하고 무거우며...
-
경기도 광명시 중앙도서관에 소속된 독서를 좋아하는 시민들의 모임. 또바기독서회는 꾸준한 책 읽기와 토론을 통하여 독서 문화 향상과 사고의 발전을 꾀하기 위하여 설립되엇다. 또바기는 ‘언제나 한결같이’라는 의미의 순우리말로,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이 모여 2005년 또바기독서회를 창립하였다. 또바기독서회는 취미 활동의 수준을 넘어 우리 시대의 문학이 어떤 길을 가야 하는지에 대해 진지...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데부뚝마을에서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을 연결하던 다리. 소하2동 데부뚝마을은 일직동 자경리와 신촌 사이에 있는 마을로 안양천 제방 아래에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데부뚝은 제방을 뜻하는 일본말 ‘데이보’에서 변형된 말이다. 뚝방다리는 경기도 시흥군 서면 일직3리[현 광명시 소하2동]에서 동면 시흥리[현 금천구 시흥동]를 연결하던 다리였다. 고...
-
경기도 광명시 철산1동에 있던 자연마을. 안양천 제방 밑에 있었으므로 뚝방마을이라 하였다. 뚝방마을은 6·25전쟁 직후 난민들이 정착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1964년 시흥군 행정리 확장으로 뱀수·양수장마을과 함께 경기도 시흥군 서면 철산1리에 속하였고, 1981년 광명시 승격으로 광명시 철산동에 속하였다. 행정상으로는 광명시 철산1동에 속하였다. 뱀수 동쪽에 자리 잡았던 마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