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 지역 출신이거나 광명에 연고가 있는 사람으로서 나라와 임금을 위하여 충성을 다한 신하. 광명 지역에 전해지는 대표적인 충신으로는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충현서원(忠賢書院)에 모셔진 고려시대의 강감찬(姜邯贊)[948~1031], 서견(徐甄)과 조선시대의 이원익(李元翼)[1547~1634]을 들 수 있다. 충현서원은 1658년(효종 9) 처음 건립되었는데, 삼현사(三賢祠)라 하여...
-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금주(衿州)]. 초명은 강은천(姜殷川). 본래는 고구려의 명장 강이식(姜以式) 장군을 시조로 하는 진주강씨(晉州姜氏)의 분파(分派)로 강감찬(姜邯贊)[948~1031]은 인헌공파(仁憲公派)의 파조(派祖)이다. 강감찬의 5대조로 신라에서 문하시랑을 지낸 여청(餘淸)이 경주로부터 금주에 이주, 호족으로 성장하여 금주가 본관이 되었다. 아버지는 고...
-
조선 후기 광명 출신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 자는 복이(復而), 호는 월당(月塘)·삼당(三塘). 고조할아버지는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 강숙돌(姜叔突)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소격서참봉(昭格署參奉) 강뢰(姜賚)이며, 할아버지는 삼등현령(三登縣令) 강유경(姜惟慶)이고, 아버지는 이조참의 강찬(姜燦)이다. 어머니는 광주김씨(廣州金氏)이며, 외할아버지는 첨지(僉知) 김은휘(金殷輝)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 본관은 금천(衿川). 자는 자양(子讓). 증조할아버지는 강양(姜揚)이고, 할아버지는 강비웅(姜非熊)이며, 아버지는 강희(姜曦), 부인은 성홍령(成洪齡)의 딸이다. 외할아버지는 성복동(成福仝)이다. 증손자로 여주목사를 지낸 강찬(姜燦)이 있다. 강숙돌(姜叔突)[?~1515]은 1492년(성종 23)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사관(史官)과 의금부도...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 자는 덕휘(德輝), 호는 동곽(東郭). 증조할아버지는 강숙돌(姜叔突)이고, 할아버지는 강뢰(姜賚)이며, 아버지는 현령(縣令)을 지낸 강유경(姜惟慶)이다. 강찬(姜燦)[1557~1603]은 1582년(선조 15)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이듬해 알성시(謁聖試)에서 병과 3인으로 급제하였다. 승정원사변가주서를 거쳐 1587년(선조 20) 호...
-
경기도 광명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아버지는 병조참의 구춘보(丘春甫)이다. 아들로 사헌부대사헌 구치곤(丘致崑)과 조카 구종직(丘從直)이 있다. 구차숭(丘次崇)은 1442년(세종 24) 영해부사(寧海府使)를 거쳐 1451년(문종 1) 예빈시판사(禮賓寺判事)를 역임하였고 첨절제사(僉節制使)에 이르렀다. 묘소는 경기도 광명시 학온동[옛 시흥군 서면 가학...
-
경기도 광명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증조할아버지는 구천우(丘天雨)이고, 할아버지는 구춘보(丘春甫)이며, 아버지는 구차숭(丘次崇)이다. 외할아버지는 김윤(金贇)이다. 부인은 조후지(趙厚之)의 딸이다. 동생으로 구치강(丘致崗)을 두었다. 구치곤(丘致崑)은 1464년(세조 10) 진사로서 식년문과(式年文科) 정과(丁科)에 급제한 뒤 1479년(성종 10...
-
경기도 광명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퇴보(退甫), 호는 하계(霞溪). 고조할아버지는 승지 권형(權詗)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권약(權若)이며, 할아버지는 목사 권훈(權勛), 아버지는 권단(權偳)이다. 외할아버지는 정백형(鄭百亨)이다. 부인은 이행원(李行源)의 딸이다. 권유(權愈)[1633~1704]는 1665년(현종 6) 별시 문과에 병과 1인으...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오(仲悟). 증조할아버지는 권치(權錙)이고, 할아버지는 권식(權湜)이며, 아버지는 증좌승지 권침(權琛)이다. 외할아버지는 김석보(金碩輔)이다. 부인은 변훈남(卞勳男)의 딸이다. 권형(權詗)[1541~1605]은 1568년(선조 13)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적을 두고 있던 중 처음으로 목청전참봉(穆淸殿參奉)에 제수되었고, 다시 선...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시조는 신라의 왕족인 김흥광(金興光)이다. 고려 초기부터 명문의 기틀을 다지기 시작한 광산김씨는 김위(金位)와 김주영(金珠永) 형제 대(代)에서 크게 두 갈래로 나뉘어져 김광세(金光世)와 김광존(金光存)의 양대 산맥으로 분파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많은 급제자가 배출되었으며 정승 5명, 대제학 7명, 청백리 4명, 왕비 1명이 나왔다. 김흥광의...
-
조선 후기 광명에 정착한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광산김씨 25세손으로 아버지는 통훈대부(通訓大夫) 사헌부감찰(行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종(金綜)이고, 어머니는 이양(李樑)의 딸이다. 김원록(金元祿)[1546~1627]은 1588년(선조 21)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후 문한관(文翰官)을 거쳐 공조·형조의 좌랑을 역임하고, 1594년(선조 27) 병조좌랑이 되었다. 이어 북청...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시조는 고려 인종 때 평장사를 지내고 묘청의 난을 평정하여 김녕군(金寧君)에 봉해지고, 명종 때에 조위총의 난을 진압하여 금주군(金州君)에 봉해진 김시흥(金時興)이다. 김응수(金應壽)[1567~?]는 사복시 잡직인 마의(馬醫)에서 조관(朝官)의 반열에 오른 인물이다. 『선조실록(宣祖實錄)』에 따르면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상경(商卿), 호는 가정(柯亭). 익찬공파 26세손으로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김약평(金若枰)이다. 조선조의 명장으로 육진을 개척한 김종서(金宗瑞)[1390~1453]의 후손이다. 부인은 파평윤씨로 현령을 지낸 윤숭선(尹崇先)의 딸이다. 김희열(金希說)[1497~1551]은 1519년(중종 14)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
-
조선 후기 광명 출신으로 소현세자의 빈. 본관은 금천(衿川). 고려 때 귀주 대첩의 영웅이며 벽상공신을 지낸 강궁진의 아들 강감찬의 출생지가 금천[현 서울특별시 금천구]이므로 금천강씨로 부른다. 아버지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40년(인조 18) 우의정을 지낸 강석기(姜碩期)[1580~1643]이며, 어머니는 고령신씨(高靈申氏)이다.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는 1611년 5남...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경모재에 모신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홍서(弘瑞), 호는 만은(晩隱). 아버지는 창덕궁(昌德宮) 직장(直長)을 지낸 설훈(薛纁)이며, 어머니는 고령신씨로 신숙주(申叔舟)의 고모이다. 설계조(薛繼祖)[1418~1486]는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茅亭里)에서 태어났다. 25세인 1443년(세종 25) 무과에 급제하였다. 1453년(단...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중량(仲亮), 호는 서은(西隱). 증조할아버지는 성복영(成復榮)이고, 할아버지는 진사 성열(成烈)이며, 아버지는 홍문관교리를 지낸 성우규(成禹奎)이다. 성종영(成鍾永)[1827~1890]은 1865년(고종 2)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후 1880년(고종 17) 상서원직장을 거쳐 1886년(고종 23) 예안현감과 연산현감, 1887년...
-
조선 후기에서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초명은 성태경(成泰慶), 자는 치장(稚長), 호는 서암(書岩). 증조할아버지는 성수(成樹)이며, 할아버지는 성진익(成鎭翼)이고, 아버지는 성용연(成龍淵)이다. 외할아버지는 홍윤철(洪潤哲)이다. 성하경(成夏慶)[1823~1899]은 1855년(철종 6)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이때는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였다. 사헌부지평을 거쳐 18...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익(子益), 호는 반청와(蟠靑窩). 명재상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의 7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의금부도사와 지방 현감을 지낸 이존도(李存道)이고, 할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이인복(李仁復)이며, 생부는 교관(敎官)을 지낸 이언충(李彦忠)이다. 온양군수인 이언수(李彦秀)에게 입양되었다. 이겸환(李謙煥)[1739~1791]은 어려서...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함(景涵), 호는 동암(東巖)·북산(北山). 증조할아버지는 상의원정(尙衣院正)과 지제교(知製敎)를 지낸 이달선(李達善)이고, 할아버지는 홍문관박사를 지낸 이공인(李公仁)이며, 아버지는 승정원도승지와 이조참판·전라도관찰사를 역임한 이중호(李仲虎)이다. 부인은 박이(朴苡)의 딸이다. 이발(李潑)[1544~1589]은 1573년(선조 6)...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선이(善而). 아버지는 이원익(李元翼)의 형인 통진현감과 흡곡현감을 지낸 이원보(李元輔)이다. 이성전(李性傳)[1551~1585]은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진사(進士) 3등, 1577년(선조 10) 알성시(謁聖試)에 병과 2등으로 급제하였다. 예조좌랑과 병조좌랑을 지냈다. 묘소는 광명시 일직동에 있다. 석물로는 묘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성(而省)이다. 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원익(李元翼)이며, 아버지는 양근군수를 지낸 이의전(李義傳)이다. 이수약(李守約)[1590~1668]은 1623년(인조 1) 문음으로 선공감역이 되었으나 이듬해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628년(인조 6) 연풍현감과 1633년(인조 11) 사헌부감찰을 거쳐 1639년(인조 17) 형조좌랑에 올...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화(子和). 할아버지는 현령을 지낸 이원보(李元輔)로, 이원익(李元翼)의 형이다. 생부는 이경부(李敬傅)이나 예조좌랑을 지낸 이성전(李性傳)에게 입양되었다. 이수함(李守諴)[1592~1656]은 1627년(인조 5) 생원시에 합격한 후 1645년(인조23) 별시 을과에 4위로 합격하였다. 용담현령(龍潭縣令)과 양근군수(楊根郡守) 등을...
-
조선 전기 광명 출신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입부(立夫). 태종의 첫 번째 왕자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생원 이귀달(李貴達)이며, 아버지는 이진(李眞)이다. 어머니는 복주김씨(福州金氏)로 외할아버지는 진사(進士) 김구수(金龜壽)이다. 부인은 경상도병마우후(慶尙道兵馬虞候) 윤천수(尹天壽)의 딸이다. 이순신(李純信)[1554~1611]은 어릴 때부터 유업...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의 후손이다. 부인은 전주최씨(全州崔氏)이다. 이신(李愼)[1570~1634]은 임진왜란 때 영유 지방에서 시행된 무과 시험에 급제하여 관직을 시작하였다. 평안도 안주와 강계판관 등을 비롯하여 주로 평안도 지방의 수령을 지냈다. 그리고 함경북도병마절도사와 영흥부사를 역임하였다. 1624년(인조 2) 평안병사 이괄(李适)이 인조반정의...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대년(大年). 증조할아버지는 태종의 아들인 익령군(益寧君)이고, 할아버지는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이며, 아버지는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이다. 어머니는 국자생원(國子生員) 조경(趙璟)의 딸이다. 부인 우씨(禹氏)와 혼인하였으나 자식이 없었고, 뒤에 감찰(監察) 정치(鄭錙)의 딸과 혼인하여 2남 1녀를 낳았는데, 그...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익(伯益). 할아버지는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이고, 아버지는 정의대부(正義大夫)로 승진하고 함천군(咸川君)에 봉해진 이억재(李億載)이다. 동생이 영의정 이원익(李元翼)이다. 이원보(李元輔)[1530~1589]는 1570년(선조 3) 생원에 합격한 후 1577년(선조 10) 처음으로 귀후서별제(歸厚署別提)에 제수된 뒤 1578년(...
-
조선 후기 광명 지역의 대표적인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공려(公勵), 호는 오리(梧里). 태종의 아들인 익녕군 이치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함천군 이억재(李億載)이다. 이원익의 가계는 익녕군 이치-수천군 이정은-청기군 이표-함천군 이억재-이원익으로 이어진다. 이원익(李元翼)[1547~1634]은 1573년(선조 6) 성균관전적이 되었으며, 그해 2월 성절사 권덕여(權德輿)의...
-
조선 후기 광명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의중(宜仲). 할아버지는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이고, 아버지는 상국문충공(相國文忠公) 이원익(李元翼)이다. 어머니는 영일정씨(迎日鄭氏)로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이다. 이의전(李義傳)[1568~1647]은 1599년(선조 32) 31세 때 비로소 벼슬에 나가 4현(四縣), 5군(五郡), 2부(二府)의 목민관으로 전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내초(來初), 호는 춘절재(春節齋). 명재상 이원익(李元翼)의 5세손으로 할아버지는 공주목사를 지낸 이증현(李曾賢)이고, 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이존도(李存道)이다. 어머니는 권석(權碩)의 딸이다. 이인복(李仁復)[1683~1730]은 1705년(숙종 31)에 진사가 된 뒤 문음으로 입사(入仕)하여 1708년 하양현감이 되었으며,...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정중(正中), 호는 월호(月湖)·설창(雪窓)·남곡(嵐谷). 아버지는 태종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示+多)이다. 이정은(李貞恩)은 일찍이 수천부정(秀川副正)에 봉해졌다가 종친부도정(宗親府都正)을 지낸 뒤 수천군(秀泉君)에 봉해졌다. 인품이 독실하고 돈후하여 스스로 겸손하며, 식견과 도량이 있고, 학문의 이치를 터득하여...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문백(文伯), 호는 망와(忘窩). 이원익의 4세손으로 친부는 이상현(李象賢)이고, 성주목사를 지낸 이증현(李曾賢)의 양자가 되었다. 아들로 이인복(李仁復)이 있다. 이존도(李存道)[1659~1745]는 가문의 일을 많이 정비하여 의릉참봉 시절 묘지(墓誌)를 참고하여 정조의 서녀이며 순조의 누이인 숙선옹주(淑善翁主)의 묘를 찾고 옛 비갈...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효사(孝思). 증조할아버지는 청백리 이원익(李元翼)이다. 부인은 상산김씨(商山金氏)이다. 이증현(李曾賢)[1629~1694]은 1657년(효종 8) 사간원대사간 민응형이 선조 대 삼대신(三大臣)의 후예를 채용하길 청하여 사옹원(司饔院)의 참봉으로 관직을 시작하였다. 이후 군자감과 내섬시의 주부를 거치며 외직으로 교하현감과 영천군수, 선...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 제2대 왕인 정종[재위 1398~1400]의 손자로 아버지는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이며, 어머니는 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 이종무(李從茂)의 딸이다. 형제로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 부윤부수(富潤副守) 이효숙(李孝叔), 송림부수(松林副守) 이효창(李孝昌) 등이 있다. 이효성(李孝誠)[?~1518]은 형제인 이효...
-
경기도 광명시에 묘소가 있었던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심(士深), 호는 우재(迂齋)·남항거사(南港居士)이다. 세종의 다섯 번째 왕자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7세손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이한(李漢)이고, 할아버지는 이인건(李仁健)이며, 아버지는 군수 이욱(李郁)이다. 어머니는 장수황씨(長水黃氏)로 문정공(文貞公) 황정욱(黃廷彧)의 딸이다. 부인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정선(旌善). 자는 여견(汝見), 호는 석천(石泉). 정선전씨 안동파로 아버지는 호조판서 임하군 전응조(全應祖)이다. 전용(全龍)[1559~?]은 임진왜란 당시 사복시(司僕寺)에 속하여 판관으로서 선조를 호종하며 뒤따랐다. 개성 청서전(淸署展)에 안치된 종묘의 사주(社主)를 봉환할 때 왜군이 포위하여 왼쪽 뺨과 귀가 떨어지는 중상을 입으면서도 임무를 완수...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성구(聖九), 호는 주계(周溪). 증조할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역임한 정동만(鄭東晩)이며, 아버지는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다. 아들로 정범조(鄭範朝), 손자로 정인승(鄭寅昇)을 두었다. 정기세(鄭基世)[1814~1884]는 1837년(헌종 3) 정시(庭試)에 병과 제1...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고(友古), 호는 졸암(拙庵). 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아들로 조선 후기 여섯 차례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 있다. 정동만(鄭東晩)[1753~1822]은 1786년(정조 10) 진사시에 합격한 후 1804년(순조 4) 경릉참봉(敬陵參奉)이 되었다. 직장(直長)과 주부(主簿)를 거쳐 외직으로 현령과 군...
-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서(禹書), 호는 석정(石汀), 규당(葵堂). 증조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지낸 정동만(鄭東晩)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과 승정원도승지를 지낸 정기세(鄭基世)이다. 정범조(鄭範朝)[1833~1897]는 1859년(철종 10)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에 등용된 후 성균관 대사성과 홍문관...
-
조선 후기 광명 지역의 대표적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선지(善之), 호는 경산(經山). 영의정을 지낸 정태화(鄭太和)의 6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지낸 정동만(鄭東晩)이다. 어머니는 용인이씨이다. 외할아버지는 예조판서 이숭호이다. 부인은 예조판서 김계락의 딸이다. 아들로 이조판서를 지낸 정기세(鄭基世)와 목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