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여비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0301
한자 東輿備考
영어음역 Dongyeobigo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기도 광명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동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동여비고 보물 제159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동여비고 보물 재지정
성격 지도첩
발급일시 17세기 후반
소장처 대성암
소장처 주소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9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17세기 후반 광명 지역 일대를 이해할 수 있는 32여 종의 지도를 수록한 지도첩.

[개설]

동여비고(東輿備考)는 제목의 뜻으로 보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을 이용하는 데 참고가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나 조선 전기에 제작된 『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동람도(東覽圖)』 보다는 훨씬 자세하다. 또한 조선 후기에 제작되는 도별도(道別圖)나 군현도(郡縣圖)와는 달리 도별도와 군현도를 복합하여 제작한 복합 군현도의 성격을 지닌다.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군현의 명칭을 적고 붉은 선으로 읍치를 표시하고, 강은 청색, 산맥은 녹색으로 그렸으나 도로 표시는 하지 않았다. 둘째,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달라진 군현의 명칭을 모두 표기하였다. 셋째, 각 군현에서 서울까지의 거리를 표기하였다. 넷째, 산을 표기하면서 해당 군현의 읍치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을 기록하였다. 다섯째, 나루터인 도(渡), 탄(灘), 진(津) 등이 표시되어 있다.

여섯째, 사원(寺院)의 명칭이 표기되어 있다. 일곱째, 역(驛)과 원(院)의 위치와 명칭이 표기되어 있다. 여덟째, 각 현의 유명한 명소나 저수지, 저명한 지형지물 등도 표기되어 있다. 아홉째,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의 고현(古縣)의 명칭과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열째,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왕릉의 위치와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한편, 편찬 시기는 「강화전도(江華全圖)」에 표기된 49개의 돈대(墩臺)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돈대의 완성 시점인 1682년(숙종 8)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1책 57장의 채색 필사본이다. 가로는 37~33㎝, 세로는 42~68㎝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내용]

동여비고에는 60종의 그림이 수록되어 있는데, 기본 구성은 먼저 역사 지도의 성격을 지니는 도별 총도를 수록하고, 다음에 각 군현별 지도를 남부·중부·북부 등으로 나누었다. 이 가운데 경기도 광명 지역과 관련된 지도는 4가지로 「고구려남변양도강역도(高句麗南邊兩都疆域圖)」, 「백제강역북변지도(百濟疆域北邊之圖)」, 「고려관내해양등도후위양광서해도도(高麗關內海陽等道後爲楊廣西海道圖)」, 「경기도좌우주군총도(京畿道左右州郡摠圖)」 등이다.

「고구려남변양도강역도」는 고구려의 장수왕이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했을 때의 영토를 그린 것이다. 상단에는 당시의 영토 규모가 경기, 황해, 강원, 함경, 평안의 5도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경기도의 군현은 모두 붉은색으로 표시하였다. 광명의 전신인 금천(衿川)은 곡양(穀壤)으로 되어 있다. 광명과 관련된 정보는 확인되지 않고, 안양천으로 보이는 물줄기는 선명하게 묘사되어 있다.

「백제강역북변지도」는 백제가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있을 때의 북쪽 강역을 그린 것이다. 상단에는 한강 이남부터 금강 이북까지가 옛 백제 강역이므로 산경(山經)과 수위(水緯)를 모두 기재하였다고 설명하였다. 금천의 당시 지명은 잉벌노(仍伐奴)로 되어 있고, 안양천으로 보이는 하천의 표기도 선명하다.

「고려관내해양등도후위양광서해도도」는 고려시대의 경기도와 황해도 일원을 그린 지도이다. 산성·포구·하천의 표시가 자세하고, 특히 산 정상에 띠를 둘러 산성을 표시한 점이 이채롭다. 금천의 지명은 금주(衿州)로 되어 있고, 그 아래 단(團)이라고 써서 군현의 성격을 나타냈다. 산성으로 호산성(虎山城)과 영랑성(永郞城)이 표기되어 있고, 안양천의 명칭과 물길이 잘 묘사되어 있다.

「경기도좌우주군총도」는 조선시대 경기도의 좌도(左道)와 우도(右道)에 속한 군현들의 상대적 위치를 간략하게 그린 지도이다. 전체적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수록된 「동람도(東覽圖)」 보다 소략하다. 군현의 이름 옆에 좌 혹은 우를 써서 좌도와 우도를 구분하였는데, 지금의 한강과 북한강 위쪽을 우도로 하고 그 나머지는 좌도로 구분하였다. 좌도의 용인과 우도의 교동·강도(江都)를 제외한 나머지 군현 사이에는 붉은색으로 연결 표시를 하였는데,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자세하지 않다. 광명과 관련하여 관악산과 금천이란 지명만 확인할 수 있으나, 안양천의 표기는 생략되었다.

[의의와 평가]

동여비고는 고구려, 백제, 고려, 조선 등 시대적 변화에 따라 각 시대별 경기도 소재의 각 군현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된다. 또한 광명의 옛 지명을 살피는 데도 도움이 된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