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자연마을. 자경리(自京里)는 『한국지명총람』에 따르면, “조선시대 서울의 경계로 이제부터 서울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자경리는 옛 시흥군 영역이었고, 당시 시흥군과 서울의 경계 지역은 서울 한강이 되므로 이치에 맞지 않는다. 광산김씨 대종중 정묘보[1747]와 병자보[1876]에는 성채산이 공경 받는 선비인 김원록(金元禄)...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어린이 책을 매개로 하는 문화 운동 단체. 광명 동화읽는어른모임은 사단 법인 어린이도서연구회 광명지회이라고도 한다. 사단 법인 어린이도서연구회는 1980년 5월에 창립하여 ‘겨레의 희망 어린이에게 좋은 책을’ 읽히자는 운동을 꾸준히 펼치고 있는 단체이다. 광명 동화읽는어른모임은 모든 어린이와 어른이 참 삶을 가꾸기 위해 어린이 책을 연구하고 좋은 어린이 책을...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자연마을. 모래밭에 터를 잡은 마을이므로 사들이라 하였다. 현재 모래밭은 잘 가꾸어진 논밭으로 변하였다. 사들은 김해김씨 안경공파를 비롯하여 영일정씨·전주이씨·동래정씨 등이 비교적 오랫동안 터를 잡고 살아온 곳으로 조선 말기 시흥군 남면 아방리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시흥군 서면 노온사리에 속하였다. 1964년 시흥군 서면 노온사4리...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과 시흥시 과림동을 연결하는 다리. 사들교는 광명시 노온사동 사들길에서 시흥시 과림동의 목감천을 건너는 다리로, 1987년에 준공되었다. 노온사동의 자연마을인 사들에서 명칭을 따왔다. 사들은 모래밭 위에 터를 잡고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사들이라고 불렸다. 길이 24m, 폭 4m, 높이 3m이며, 경간 수는 3개이다. 상부 구조 형식은 11.RCS, 하부 구조...
-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에 있는 전통 찹쌀떡 제조업체. 이른 새벽부터 정성을 다하여 손끝으로 빚어내는 찹쌀떡이 사랑방식품의 주력 상품이다. 직장 다니기 전에는 농사를 지었다는 업체 대표는 쌀의 귀함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떡이 우리 생활에서 기쁜 날이든 슬픈 날이든 빠질 수 없는 음식이기에 사업으로 선택했다고 한다. 대표의 가족이 직접 농사지은 쌀로 떡을 빚지만 모자라는 양은 미질 좋...
-
경기도 광명 지역의 봉기에서 사발을 엎어서 그린 원을 중심으로 참가자의 이름을 돌려가며 적은 통문. 통문(通文)이란 어떤 일이 있을 때 사람을 모으기 위하여 알리는 고지문(告知文)을 말한다. 특히 19세기 후반 농민항쟁이 거세지면서 관에 항의하고자 각 마을마다 통문을 돌려 사람을 모았으며, 서원과 향교에서도 사람을 불러 모을 때 이를 돌렸다. 사발통문이란 호소문이나 격문 등을 쓸...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땅에 놀이판을 그리고 돌을 이용해서 노는 놀이. 사방치기는 평평한 마당에 네모꼴의 놀이판을 그리고 납작한 돌을 던진 후 이 돌을 한 발로 쳐 다음 선으로 이동해 나가는 놀이이다. 우선 평평한 땅에 일정한 규격의 선을 그어 바둑판 모양의 칸을 만든다. 그리고 일정한 순서에 따라 납작한 돌을 던져 놓고 깨금발[앙감질]로 돌아 나오는 놀이이다.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던 자연마을. 장마철이면 뱀이 많이 나와서 붙인 이름이라는 설, 마을 뒷산 지세가 뱀의 형상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라는 설이 전한다. 또 ‘산속’이라는 뜻의 ‘받속’이 뱃속·배수를 거쳐 뱀수가 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남양홍씨·능성구씨·전주이씨 등이 들어와 마을을 이루었고, 그중 능성구씨와 전주이씨가 번성하였다. 1981년 7월 1일 법률 제34...
-
경기도 광명시 철산1동 안양천로의 철산배수펌프장에서 광명1동 목감로의 하수펌프장에 연결되는 도로. 자연마을이 있던 뱀수[뱀쇠]라는 옛 지명을 따서 뱀수길로 불리다가 도로 위계를 노(路)급으로 승격시키면서 사성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사성(巳省)은 뱀수의 한자식 표기이다. 사성로는 연장 1,346m, 폭 8~13m, 왕복 2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사성로는 1983년에 철산1동·철산2...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버드나무목 버드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은사시나무는 광명시의 도덕산 어귀, 서독산, 구름산 등지의 계곡 및 산림 인접부 식재림 능선 아래 민가 주변 등에 서식한다. 한국의 수원사시나무와 미국 은백양 사이에 생겨난 자연 잡종이다. 인공적으로 수원사시나무와 은백양을 교잡하여 생산한 수종은 정식 명칭이 은수원사시나무 또는 현사시나무이다. 하지만...
-
경기도 광명시에 묘소가 있었던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심(士深), 호는 우재(迂齋)·남항거사(南港居士)이다. 세종의 다섯 번째 왕자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7세손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이한(李漢)이고, 할아버지는 이인건(李仁健)이며, 아버지는 군수 이욱(李郁)이다. 어머니는 장수황씨(長水黃氏)로 문정공(文貞公) 황정욱(黃廷彧)의 딸이다. 부인은...
-
경기도 광명시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며 공적으로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불교는 삼국시대부터 우리 민족에 전파된 후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광명시는 고산이 없는 관계로 오랜 전통 사찰은 존재하지 않고 해방 이후부터 터를 잡은 사찰들만이 존재한다. 하지만 향토사의 관점에서 보면, 광명 지역 역시 불교 사찰의 흔적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온사동(老溫寺洞)이라는 지명에서...
-
경기도 광명시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며 공적으로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불교는 삼국시대부터 우리 민족에 전파된 후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광명시는 고산이 없는 관계로 오랜 전통 사찰은 존재하지 않고 해방 이후부터 터를 잡은 사찰들만이 존재한다. 하지만 향토사의 관점에서 보면, 광명 지역 역시 불교 사찰의 흔적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온사동(老溫寺洞)이라는 지명에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정월 초에 윷으로 새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윷점치기는 정초[음력 1월 초]에 윷을 가지고 한 해의 운수나 풍흉(豊凶)을 점치는 세시풍속이다. 한자어로는 사점(柶占)이라고 한다. 윷점은 윷가락을 세 번 던져서 나오는 결과를 가지고 길흉을 판단한다. 윷점은 여러 명이 편을 짜서 집단으로 놀아 마을의 운수나 한 해의 풍흉을 점치는 것과, 한 명이 윷을 놀아...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충현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사주(四柱)를 적어 보내는 함. 오리 이원익(李元翼)의 13대 종손 이승규[1940~]가 종부 함금자[1940~]에게 보낸 사주함이다. 사주는 생년·월·일·시를 말하며, 정혼(定婚) 후에 일곱 번을 접은 한지의 가운데에 신랑의 사주를 써서 봉하지 않은 봉투에 담아 다시 사주함에 넣고, 사주보로 싸서 신부의 집으로 보낸다. 신부의...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충현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사주(四柱)를 적어 보내는 함. 오리 이원익(李元翼)의 13대 종손 이승규[1940~]가 종부 함금자[1940~]에게 보낸 사주함이다. 사주는 생년·월·일·시를 말하며, 정혼(定婚) 후에 일곱 번을 접은 한지의 가운데에 신랑의 사주를 써서 봉하지 않은 봉투에 담아 다시 사주함에 넣고, 사주보로 싸서 신부의 집으로 보낸다. 신부의...
-
경기도 광명시에서 자연·문화·유적 등을 예술적 시각으로 촬영하여 광명을 알리는 예술 장르. 광명시의 사진예술 활동은 1991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광명시지부의 탄생과 더불어 사진예술 단체의 필요성을 느낀 사진작가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광명사진동우회로부터 시작되었다. 1991년 4월 22일 창립한 광명사진동우회는 같은 해 9월 26일부터 10월 16일까지 개최된 구름산예술제에...
-
경기도 광명시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며 공적으로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불교는 삼국시대부터 우리 민족에 전파된 후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광명시는 고산이 없는 관계로 오랜 전통 사찰은 존재하지 않고 해방 이후부터 터를 잡은 사찰들만이 존재한다. 하지만 향토사의 관점에서 보면, 광명 지역 역시 불교 사찰의 흔적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온사동(老溫寺洞)이라는 지명에서...
-
경기도 광명시의 사통팔달 교통 이야기. 교통망은 물류 및 인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도시의 발전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크다. 광명시는 시의 중앙부로 도덕산과 구름산, 서독산이 이어져 있고 산지는 남쪽으로 갈수록 더욱 넓어지는 양상을 보여 전체 인구 중 상당수가 시의 동북 및 서북 지역에 몰려 산다. 한편 주변 입지 조건은 동쪽과 북쪽이 서울과 맞닿아 서울과의 교통량이...
-
경기도 광명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주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광범위한 사회 정책. 사회·복지라는 용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여 왔다. 즉 전통적으로는 상호 부조, 자선 사업, 인보 사업, 박애 사업 등으로, 오늘날에 와서는 사회사업, 사회봉사, 사회 정책, 사회·복지 등으로 개념이 변화한 것이다. 현대적 의미의 사회·복지는 사회[social]와 복지[welfare]의 합성어...
-
경기도 광명시에서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활동하는 단체. 사회단체는 시민들이 일정한 목적하에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으로, 국가를 상대로 견제와 비판의 역할을 담당하는 단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단체라고 하면 정부 기구에 포함되지 않은 민간단체들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광명시에서 활동하는 사회단체는 결성 주체들의 계층별 성격, 구체적인 활동 내용에 따라 다양...
-
경기도 광명시에서 사회·복지 사업을 수행하는 시설.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따르면, 사회복지관이란 지역 사회 내에서 일정한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추고 지역 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하여 지역 사회·복지를 중심으로 종합적인 사회·복지 사업을 수행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사회복지관이 수행하는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복지 사업으로 가족 관계 증진 사업, 가족 기능...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에 있는 사회 복지 법인. 사회복지법인 빛나라는 빈곤·결손 가정의 아동 보호와 교육, 저소득 가정·결손 가정·취업 부부 가정에 대한 통합적인 아동 양육 보충과 지원, 부모 및 아동 복지·교육 전문 인력의 자질과 능력 향상을 위해 설립하였다. 2002년 12월 경기도 소속 사단법인 빛나라가 설립되었고, 2003년 12월 하안1동에 빛나라 아동복지관 아동사랑의 집...
-
경기도 광명시에서 사회 변화를 일으키거나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시민들이 집단적으로 전개하는 운동. 해방 이후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던 민주화운동은 1987년 6월 항쟁의 성공과 더불어 보다 세분화되고 다양한 사회운동을 촉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광명시에서도 역시 특히 6월 항쟁을 기점으로 전국적인 추세와 더불어 다양한 사회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즉 노동운동,...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편을 나누어 윷을 던져 승부를 겨루는 놀이. 윷놀이는 네 개의 단면이 반달 모양인 가락[또는 알]을 던져서 그것이 나타내는 형상에 따라 말을 움직여 노는 우리나라의 민속놀이이다. 한자어로는 ‘사희(柶戱)’ 또는 ‘척사희(擲柶戱)’라고 한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함께 할 수 있다. 매우 간단한 도구와 단순한 방법으로 놀이를 하지만 놀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
-
경기도 광명 지역에 분포하는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보통 상대고도 300m 이상 되는 경우를 산지라고 하고, 그 이하는 구릉지 또는 저산성 산지라고 표현한다. 산지가 연속된 것은 산맥이라고 한다. 보통 ‘산’이라는 명칭이 붙지만 드물게는 ‘봉’이라는 지명 접미사가 쓰이는 경우도 있다. 광명시는 국토의 중부 지방에 위치하여 있고, 해발 고도가 높은 산은 많지 않으나 크...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아이의 출산을 전후하여 행하는 의례나 풍속. 산속(産俗)은 출산의례(出産儀禮)라고도 하며, 자식 얻기를 기원하는 기자(祈子)로부터 출산전 금기·해산속(解産俗)·산후속(産後俗) 등이 포함된다. 산속은 관혼상제와 함께 사람이 일생을 사는 동안 거치게 되는 통과의례 또는 평생의례의 시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산속과 관련된 절차는 전국적으로 크게 차이가 나지...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 두길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옥길동 두길 산신제는 음력 10월 초정유일(初丁酉日)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고 우마와 가축의 번성과 주민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그냥 ‘산신제’, ‘도당제’ 등이라고도 한다. 제장은 사창 터의 도당나무이다. 사창 터는 예전에 소나무가 무성했던 곳으로 활을...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 식골마을에서 주민의 안녕과 무병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옥길동 식골 도당고사는 매년 음력 7월 1일과 10월 1일에 마을 사람이 모두 여름과 가을에 무병하고 무고하기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산신제’, ‘도당고사’ 등이라고도 한다. 1993년 조사에 의하면, 산신제는 연 2회 지내는데 날짜는 7월과 10월에 택일을 하다가 요즘은...
-
경기도 광명시의 산업 경쟁력 제고와 활성화를 위하여 만들어진 제반 시설이나 설비. 산업지원시설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국가 또는 지역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산업 입지나 여건을 개선하고 물류·설비 등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등 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으나 기업 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든 시설들을 말한다. 도시 지역의 대표적인 산업지원시설은 기존의...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가리대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소하동 가리대 산고사는 매년 음력 10월 초사흘 새벽 1시에 뾰죽산 중턱에서 마을의 안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마을 사람들은 산신제[산고사]를 지내는 것을 일러 ‘산치성드린다’라고도 한다. 가리대마을은 풍수와 관련해서 마을 앞을 나무로 가렸다고 해서 유래된 지명이다. 뾰죽산...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미술 비전공자들로 구성된 미술 단체. 삶과그림전은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서울특별시립근로청소년복지관 내에 순수 미술을 지향하는 직장인으로 구성된 동아리로, 지역 미술의 저변 확대 및 예술 활동의 대중화를 꾀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광명시민회관 전시실에서 7명이 참가하여 제1회 삶과그림전을 개최하였으며, 그 후 매년 정기적으로 한 차례씩 전시회를...
-
경기도 광명시 철산1동에 있던 자연마을. 양수장(揚水場)이 있던 곳에 마을이 형성되었으므로 양수장마을이라 하였다. 달리 삼각주마을이라고도 한다. 양수장마을은 철산동 주민들이 농사를 짓기 위해 설치한 양수장이 1950년대 말경에 폐지되면서 주택지로 변모하여 형성된 마을로, 남부순환로 아래에 있다. 1964년 시흥군 행정리 확장으로 뱀수·뚝방마을과 함께 시흥군 서면 철산1리로 개편되었...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일원 삼각주마을의 주거환경개선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이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거 지정 하는 사업으로 도시 저소득층 주민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으로서 정비 기반 시설이 극히 열악하고 노후 불량 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을 정비함으로써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주거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삼각주마을 주거환경개선사업은 광명시 철산동 60...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행하는 초복·중복·말복의 세 절기의 풍속. 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절기로 초복, 중복, 말복을 이르는 속절(俗節)이다. 삼복은 하지 후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 넷째 경일을 중복, 입추 후 첫 경일을 말복이라 한다. 이를 삼복 혹은 삼경일(三庚日), 경금(庚金), 월복(越伏) 등이라고도 한다.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이를 ‘삼복더위’라...
-
조선 후기 광명 출신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 자는 복이(復而), 호는 월당(月塘)·삼당(三塘). 고조할아버지는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 강숙돌(姜叔突)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소격서참봉(昭格署參奉) 강뢰(姜賚)이며, 할아버지는 삼등현령(三登縣令) 강유경(姜惟慶)이고, 아버지는 이조참의 강찬(姜燦)이다. 어머니는 광주김씨(廣州金氏)이며, 외할아버지는 첨지(僉知) 김은휘(金殷輝)이다...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행하는 초복·중복·말복의 세 절기의 풍속. 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절기로 초복, 중복, 말복을 이르는 속절(俗節)이다. 삼복은 하지 후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 넷째 경일을 중복, 입추 후 첫 경일을 말복이라 한다. 이를 삼복 혹은 삼경일(三庚日), 경금(庚金), 월복(越伏) 등이라고도 한다.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이를 ‘삼복더위’라...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천남성은 광명시 전역의 산지, 들판, 계곡, 나무 밑 등 음습한 곳이면 어디서나 관찰할 수 있다. 흔히 사극에서 등장하는 사약의 재료가 되는 독성 식물로 유명하다. 실제 독성이 강해 함부로 섭취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에는 천남성과에 창포, 석창포, 큰천남성, 무늬천남성, 반하, 대반하, 넓은잎천남성, 두루...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아이의 점지와 출산, 수명과 질병 등을 관장하는 가신(家神). 제석(帝釋)은 가신신앙에서 모시는 신격의 하나로 안방이나 안방 다락에 모셔지는 신이다. 이를 ‘삼신’이라고도 한다. 제석신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경상도에서는 세존(世尊)으로 모셔지기도 하나 황해도에서 제석신은 복을 주는 신으로 모셔진다. 경기도 남부 지역에서는 제석이라는 말 보다는 ‘삼...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전기 장비 제조업체. 1997년 형광등용 소켓 실용신안 등록을 했으며 2001년 광고형 형광등 고정 클립 실용신안 등록을 했다. 2002년 4월 15일 삼영광고자재가 설립되었다. 2003년 10월 위생 드라이어, 2004년 6월 형광등용 소켓 실용신안 등록을 했으며 2006년 1월 경관조명용 LED 조명 장치 특허 등록을 하였다. 2007년 7월 (주)...
-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에 있는 필터 제조업체. 삼우시스템(주)은 공기 압축기 필터, 유압 필터, 유수 분리 카트리지 등의 기체 여과기를 제조 설비하는 회사이다. 1991년 3월에 삼우특수필터로 설립되어 1995년 한국전력 정비적격업체 인증을 받았으며 1998년 (주)삼우필터로 법인 전환하였다. 이후 2006년 삼우시스템(주)으로 상호를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 취급 품목...
-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에 있는 손목시계 제조업체. (주)삼일양행은 국내 손목시계 역사의 중심으로 인체 공학적인 설계와 세계 명품 브랜드와 경쟁하여 손색없는 제품을 생산해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 인정받는 시계 전문 회사로 성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1년 4월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서 삼일양행을 설립하였고, 1993년 (주)삼일양행으로 법인을 전환한 뒤 광명시로 사업장을 이전하...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뭇과의 여러해살이풀.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등지의 등산로 주변 숲 속 등지에 서식하고 있다. 도덕산과 구름산 등은 해발 고도가 그리 높지 않음에도 비교적 다양한 식물이 살아간다. 국가에서 보존 식물로 지정할 정도로 그 개체 수나 서식처 보존 상태 등이 비교적 열악한 삼지구엽초는 일명 음양곽으로도 알려진 소중한 우리 고...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뭇과의 여러해살이풀.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등지의 등산로 주변 숲 속 등지에 서식하고 있다. 도덕산과 구름산 등은 해발 고도가 그리 높지 않음에도 비교적 다양한 식물이 살아간다. 국가에서 보존 식물로 지정할 정도로 그 개체 수나 서식처 보존 상태 등이 비교적 열악한 삼지구엽초는 일명 음양곽으로도 알려진 소중한 우리 고...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열 병합 발전소. 2005년 1월 18일 산업자원부는 전국 5개 지구를 열 이용 효율이 높은 구역형 집단 에너지[CES] 사업 지구로 결정하였다. 구역형 에너지 사업이란 업무용 빌딩과 병원 등이 밀집된 도심 상가와 택지 지구에 열 병합 발전 시설에서 생산된 전기 및 열을 일괄 공급하는 종합 에너지 시스템이다. 이에 따라 KTX광명역세권 개발 구역의 에너...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도시가스 공급 업체. (주)삼천리 중부지역본부 광명안전관리팀은 고객 중심의 현장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경기도 광명시의 도시가스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는 도시가스 회사이다. 1982년 5월 (주)삼천리 안양공장 도관과[안전 관리 부서]를 설립하였다. 1987년 광명시 지역에 LNG를 공급하기 시작하였으며, 1997년 3월 경기지사에서 광명시를 관...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터.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에 역대 명현을 모시고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함께 지닌 지방의 사설 교육 기관이라 할 수 있다. 공간적으로는 전학후묘의 배치를 지니고 있으며, 인재 양성과 유교적 향촌 질서의 구심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서원은 붕당의 정치적 이해를 지닌 역기능도 지니고 있었다. 1865년(고종 2)부터 흥선대원군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상경(商卿), 호는 가정(柯亭). 익찬공파 26세손으로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김약평(金若枰)이다. 조선조의 명장으로 육진을 개척한 김종서(金宗瑞)[1390~1453]의 후손이다. 부인은 파평윤씨로 현령을 지낸 윤숭선(尹崇先)의 딸이다. 김희열(金希說)[1497~1551]은 1519년(중종 14)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집안의 신[家宅神]에게 지내는 제사. 가을고사는 추수가 끝나는 음력 10월에 가족의 평안과 재수를 축원하고 재액을 물리치기 위하여 집집마다 가택신에게 고(告)하고 비는 의식이다. 이를 성주고사(城主告祀), 안택고사, 가을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을고사를 지내는 날짜는 지역이나 집집마다 다르며 10월 1일, 2일, 15일에 정해 놓고 지내는 곳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는 사회의 구성원이었던 사람이 죽어서 사회에서 분리되는 의례로 전통적인 관습이 가장 잘 나타나는 통과 의례이다. 보통 ‘장례(葬禮)’로 표현하기도 한다. 상례는 사람이 죽음에 임박한 시기부터 운명한 후 시신의 수습, 입관, 매장, 장례 후의 애도 기간 등과 관련된 모든 의례를 포함한다. 현대에는 전통 상례의 절차가 간소화...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상수리나무는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 등지를 포함한 전국 대부분의 산림과 숲 자락, 민가 주변 농경지와 임산지의 경계부, 산정 인근의 양지 등에 집단으로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참나무속 중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제 수고(樹高)도 높다. 아울러 지하고(枝下高)가...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두 사람이 샅바나 바지 허리춤을 잡고 힘과 슬기를 겨루어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경기.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나 띠를 넓적다리에 매어 이것을 서로 잡고 손과 발, 그리고 몸을 이용한 힘과 재주를 부려 상대편을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우리나라 고유의 운동이다. 씨름은 상대방의 허리와 다리에 감은 샅바를 잡고 경기가 시작되면 발을 제외한 몸의 일부가 땅...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상수리나무는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 등지를 포함한 전국 대부분의 산림과 숲 자락, 민가 주변 농경지와 임산지의 경계부, 산정 인근의 양지 등에 집단으로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참나무속 중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제 수고(樹高)도 높다. 아울러 지하고(枝下高)가...
-
올해로 90세가 되는 임정동[1921년생] 씨와 79세가 되는 김정관[1932년생] 씨는 설월리에서 행해졌던 장례풍습을 누구보다 잘 기억하고 있었다. 임정동 씨는 상여 소리꾼이었고 김정관 씨는 그와 함께 소리를 받고 장례 절차를 직접 수행한 분이었기 때문이다. 최문락 씨가 제공한 사진들과 함께 두 분이 증언한 설월리의 장례풍습을 채록해 보았다. 김정관 씨에 따르면, 예전...
-
아방리 상여집 은 옛날 우마차를 끌고 시흥에서 아방리[능말]로 들어오는 길목에 위치해 있다. 그래서 해가 저물어 어둑어둑할 때 이 앞을 지나던 사람들에게 상여집은 분명 두려운 존재로 다가왔을 것이다. 앞으로 몇 년만 지나면 이곳의 상여집은 사라지고 주변 일대에 아파트촌이 들어설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필자가 상여집의 마지막 모습을 글로, 또 사진으로 남길 수 있게...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세시풍속. 대보름은 정월 대보름을 말하며,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중원(中元)[7월 15일], 하원(下元)[10월 15일]과 연관해서 부르는 한자어이다. 또 이날을 오기일(烏忌日) 또는 달도(怛忉)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월 14일을 작은 보름, 15일을 큰 보름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대보름으로 부르는 것은 세시...
-
경기도 광명시 광명3동에 있는 프레스 금형 및 판금 가공 제품 제조업체. 상진공업(주)은 1978년 프레스 가공업체로 출발하여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 및 최신 기계 설비를 바탕으로 최고 품질의 프레스 금형 및 판금 가공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방위 산업 제품, 가전제품, 통신 제품, 컴퓨터 기기에 들어가는 부품 등의 생산과 관련된 사업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02년에 IS...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새누리장애인부모연대 광명 지역 지부. 사단법인 새누리장애인부모연대 광명시지부는 장애인과 그 부모 및 가족을 지원하는 사업을 펼치며, 장애인의 교육·복지·노동 등 보편적 권리 확대를 통해 장애인들이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6년 지적, 자폐성, 뇌 병변 장애 등 발달 장애인의 광명시 특수학급부모회로 출범하여 장애인도 당당히 교육을...
-
1999년 3월 9일 광명시는 교육을 통해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사회적인 삶을 배우고 나눔으로써 더불어 사는 아름다운 교육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전국의 지방 자치 단체 중에서는 처음으로 평생학습도시를 선언했다. 사실, 오래 전부터 광명 지역 주민들은 지역에 대학이 들어오기를 바랐다. 하지만 법적인 제약 등으로 대학을 유치하는 것은 어려웠다. 이런 시민들의 요구와 갈증을 다...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에 있는 새마을교통봉사대 산하 광명 지역 지부. 새마을교통봉사대 광명지대는 근면·자조·협동의 새마을 정신을 바탕으로 교통 문화 선진화 운동과 이웃 사랑 운동을 실천하여 성숙한 시민 사회 구현과 선진 일류 국가를 추구해 나가는 데 밑거름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2000년 1월 31일 새마을교통봉사대 광명지대 창립 발대식을 가졌다. 2009년 1월 7일 제4대 이방...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새마을금고법」에 의거하여 운영되는 금융 기관. 새마을금고는 회원의 자주적인 협동 조직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상부상조 정신에 입각하여 자금의 조성 및 이용과 회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의 향상 및 지역 사회 개발을 통한 건전한 국민정신의 함양과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금융 기관이다. 광명시에는 현재 광명새마을금고, 광남새마을금고,...
-
경기도 광명시 학온동과 가학동에 있는 주말농장. 새마을주말농장은 도시의 척박한 삶을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시골 고향의 정취를 느끼게 하고, 자라나는 아이들에게는 생명의 근원인 흙을 느끼게 하며 땀 흘려 가꾼 농작물의 소중함을 체험하도록 하기 위하여 2000년경부터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총면적은 1만 330.4㎡이다. 광명시 학온동과 가학동 등지에 농지가 흩어져 있는데, 장터말농장[약...
-
경기도 광명시 하안2동에 있는 새마을문고 광명시 지부. 새마을문고 광명시지부는 광명시민의 정서 순화와 새마을 정신의 계발을 촉진하고 독서를 통한 지식 보급으로 주민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자질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81년 7월 1일 설립되었다. 1981년 7월 1일 초대 회장 김재주를 중심으로 새마을문고 광명시지부를 설립한 후, 오리새마을문고 개관을 필두로 하여 문고를...
-
경기도 광명시 하안2동에 있는 새마을문고 광명시 지부. 새마을문고 광명시지부는 광명시민의 정서 순화와 새마을 정신의 계발을 촉진하고 독서를 통한 지식 보급으로 주민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자질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81년 7월 1일 설립되었다. 1981년 7월 1일 초대 회장 김재주를 중심으로 새마을문고 광명시지부를 설립한 후, 오리새마을문고 개관을 필두로 하여 문고를...
-
경기도 광명시 광명6동에 있는 재래시장. 새마을시장은 1986년부터 2,314.05㎡의 대지 위에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새마을시장 건립 이후 시장 조합원들은 새마을시장 상점가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 간의 복리 증진 및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북돋아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광명새마을시장상점가 진흥사업협동...
-
경기도 광명시 학온동과 가학동에 있는 주말농장. 새마을주말농장은 도시의 척박한 삶을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시골 고향의 정취를 느끼게 하고, 자라나는 아이들에게는 생명의 근원인 흙을 느끼게 하며 땀 흘려 가꾼 농작물의 소중함을 체험하도록 하기 위하여 2000년경부터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총면적은 1만 330.4㎡이다. 광명시 학온동과 가학동 등지에 농지가 흩어져 있는데, 장터말농장[약...
-
경기도 광명시 학온동과 가학동에 있는 주말농장. 새마을주말농장은 도시의 척박한 삶을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시골 고향의 정취를 느끼게 하고, 자라나는 아이들에게는 생명의 근원인 흙을 느끼게 하며 땀 흘려 가꾼 농작물의 소중함을 체험하도록 하기 위하여 2000년경부터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총면적은 1만 330.4㎡이다. 광명시 학온동과 가학동 등지에 농지가 흩어져 있는데, 장터말농장[약...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 있는 자연마을. 농사를 짓기 위해 사람들이 정착하면서 새로 형성된 마을이므로 신촌(新村) 또는 새말이라 하였다. 신촌 일대는 예전 주막이 서너 집 있었을 뿐 대부분이 뽕나무 밭과 논이었다. 일제강점기에 후쿠다라는 일본인이 처음 집을 지었고, 그 뒤 하안동 밤일 출신 평기현(平基鉉)이 농사를 짓기 위해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1964년 시흥군 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마당에서 새 쫓는 흉내를 내는 풍습. 새쫓기는 음력 1월 15일 새벽 동이 트기 전에 곡식의 피해를 막고 풍년을 기원하며 새를 쫓아내는 모의 행위이다. 지역에 따라 이를 까마귀쫓기, 솔개쫓기, 까치쫓기 등이라고도 부른다. 곡식을 축내는 새를 쫓아서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려는 새쫓기는 점차 변용되어 몇몇 지역에서 흉조로 여겨지는 까마귀나 솔개...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 도덕로에서 광명4동 오리로에 연결되는 도로. 자연마을인 신기촌이 있던 지역명을 따서 한글식 이름인 새터로로 부르게 되었다. 새터로는 연장 1㎞, 폭 8~10m, 편도 1차선에서 왕복 2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새터로는 자연마을인 신기촌이 형성될 무렵부터 이용되던 도로로 1986~1989년에 광명7동에 있는 도덕산 주변의 토지 구획 정리 사업 당시 정비되었다....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에 있던 자연마을. 광명동에서 가장 늦게 새로 형성된 마을이므로 새터말이라 하였다. 일제강점기 초에 광산김씨·남양홍씨·원주원씨 등이 정착해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을 이루었다. 조선 말기 시흥군 서면 광명리에 속하였고, 1964년 시흥군 서면 광명2리에 속하였다. 1981년 광명시 광명동에 속하였고 행정상으로는 광명시 광명7동에 속한다. 일제강점기에는 17가구가 살...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자연마을. 허허벌판에 새로 생긴 마을이므로 새터말이라 하였다. 새터말은 능말에 살던 강봉서(姜鳳瑞)[1665~1682]의 후손인 금천강씨들이 분가하여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면서 형성된 마을로, 지금도 금천강씨가 집성을 이루고 있다. 조선 말기 시흥군 남면 아방리에 속하였고, 1914년 시흥군 서면 노온사리에 속하였다. 1981년 광명시 승격으로 광명시...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자연마을. 안동권씨가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였다 하여 권촌말이라고 하였다가 여러 성씨가 들어오면서 새터말로 고쳐 불렀다. 마을이 형성되기 이전에는 대부분의 지역이 밤나무가 무성하던 곳으로 안동권씨가 정착하여 살면서 마을을 이루었다. 조선 말기 시흥군 서면 일직리에 속하였고, 1964년 시흥군 서면 일직2리에 속하였다. 1981년 광명시 승격으로 광명시...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작은말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우물에 지내는 마을 제사. 샘고사는 작은말의 공동 우물에서 매년 음력 1월 14일 밤에 마을 사람들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례 의식이다. 작은말에서는 정초에 집집마다 두레패가 다니면서 지신밟기를 하기 전에 먼저 마을의 공동 우물에 가서 샘고사를 지낸다. 샘고사를 지내던 곳은 마을의 산꼭대기에 있는 공...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낚시터. 샘터낚시터는 본래 가뭄 시 천수답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던 개인 소유의 저수지로서, 평상시에는 우기 시의 물을 담수하고 농번기 때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면서 수세를 받아 왔는데 주변 개발로 인하여 농경지가 없어짐에 따라 저수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소유주가 기존 저수지를 낚시터로 이용할 수 있는지의 유무를 경기도...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낚시터. 샘터낚시터는 본래 가뭄 시 천수답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던 개인 소유의 저수지로서, 평상시에는 우기 시의 물을 담수하고 농번기 때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면서 수세를 받아 왔는데 주변 개발로 인하여 농경지가 없어짐에 따라 저수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소유주가 기존 저수지를 낚시터로 이용할 수 있는지의 유무를 경기도...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에 있는 이주 노동자들의 쉼터 생명샘 외국인쉼터는 산재 사고를 당하고도 오갈 곳 없는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편히 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문을 연 생명샘 외국인쉼터는 산재 사고를 당한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이 다니던 회사에서 받아주지 않아 거처할 곳도 없이 떠돌게 된다는 사실을 안타깝게 여긴 김대환 목사가 교회 사택 3층을 제공하면...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초·중 3개 학교에서 운영하는 생태 체험 학습관. 생태체험학습관은 학생들이 생명의 소중함과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살아 있는 곤충과 파충류 등을 관찰하면서 미래의 생물 과학 분야에서 우수한 인재로 자랄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체험 과학으로서 말로만 듣던 곤충을 직접 기르면서 호기심 및 탐구정신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9년 5월...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서어나무는 광명시의 서독산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독특한 외형으로 구분이 비교적 쉽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강원도 이남에 분포하는 온대 수종의 하나이다. 본래 서쪽에 있는 나무라 하여 서목(西木)으로 표기하였는데, 여기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하지만 특정 방향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일반적...
-
경기도 광명시가 서울특별시와 합작으로 건설한 하수 처리장. 광명시는 서울시와 지방 자치 단체 간의 환경 빅딜 최초 성사 이후 추가적인 증설이 없는 조건으로 광명시에서 발생하는 하수 18만 톤/일을 서남하수종말처리장에서 처리하도록 하고,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쓰레기는 광명시 가학동에 가동 중인 자원 회수 시설을 이용하여 처리하도록 하였다. 1985년 서울시와 하수 위탁 처리 협약을 체...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과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에 걸쳐 있는 산. 서독산은 광명시 소재의 야산 중에서 가장 안정된 물리적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해발 고도는 비교적 낮아 180m에 불과하지만, 자연 자원의 부존 가치가 대단히 높으며, 특히 멸종으로 치닫고 있는 반딧불이의 서식처로 널리 알려진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만, 인근의 안양시 도시 팽창과 광명시의 개발 압력으로 인해 현재...
-
경기도 광명시 학온동에서 소하2동 KTX 광명역사에 연결되는 도로. 서독로는 기점인 광명시 학온동의 가학삼거리에서 서독산을 관통하는 서독터널을 지나 종점인 KTX 광명역사로 진입하는 도로이다. 서독산을 관통하는 도로이기 때문에 산의 이름을 따서 서독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서독로는 연장 3.971㎞, 폭 55m, 왕복 4차선에서 6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광명시 서쪽 지역과 시흥시,...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과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에 걸쳐 있는 산. 서독산은 광명시 소재의 야산 중에서 가장 안정된 물리적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해발 고도는 비교적 낮아 180m에 불과하지만, 자연 자원의 부존 가치가 대단히 높으며, 특히 멸종으로 치닫고 있는 반딧불이의 서식처로 널리 알려진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만, 인근의 안양시 도시 팽창과 광명시의 개발 압력으로 인해 현재...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활공장. 광명시 항공스포츠연합회는 첨단 항공 스포츠 분야[초경량 항공기, 패러글라이딩, 모터패러글라이딩, 모형 항공기]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각 클럽 및 동호회를 규합하여 연합회를 구성하고, 주요 비행 구역[활공장]으로 광명시 서독산 활공장[180m]과 구름산 활공장[200m]을 만들어 항공 스포츠 발전을 위한 홍보와 활공장 개발 및 항공 분야 활성화를...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과 일직동을 연결하는 터널. 서독터널은 광명시 가학동과 일직동을 연결하는 서독로에 설치된 터널로 경부고속철도와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으로 연결되며, 양지사거리에서 가학삼거리에 이르면 광명로와 연결된다. 서독터널은 2003년 12월에 건설되었으며, 서독산을 관통하는 이유로 공사에 반대하는 환경 단체의 반발이 컸었다. 터널이 서독산을 가로질러 지나고 있어서 산의 이름...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자연마을. 조선 중기의 명재상이었던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이 관직에서 물러나 영당말에 살면서 호미로 농사를 지었다고 하여 ‘호미 서(鋤)’자를 써서 서월리(鋤月里)라 하였다가 발음이 변하여 서러리라 하였다는 설, 이원익이 눈 오는 밤에 마을길을 걸으면서 사색에 잠기곤 했다 하여 설월리(雪月里)라 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조선시대에 시흥군 서면의 관...
-
경기도 금천현·시흥현·시흥군에 있던 행정구역. 서면은 현재의 경기도 광명시 전역에 해당하던 지역이다. 1914년 남면과 통합하기 이전에는 경기도 광명시의 법정동인 철산동·소하동·하안동·일직동 지역에 해당하고, 남면과 통합한 이후에는 경기도 광명시의 법정동인 광명동·가학동·노온사동을 포함한 지역이다. 조선시대에 금천현(衿川縣) 서쪽에 있었으므로 서면이라고 하였다. 서면은 고려시대 금...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뿌리를 내린 아름다운 신앙 공동체를 만들어 지역을 섬기며, 기독교 문화를 창출함으로써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확장해 나아가고자 하는 생명 살림의 푸르고 푸른 생명 공동체를 지향하는 교회이다. 구름산교회는 6·25전쟁 이후 황폐화된 지역 사회에 기독교 복음을 전파하여 국민들을 위로하고 희망을 심어주기...
-
1914년부터 1979년 이전까지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지역에 있던 면사무소. 현 광명시 소하2동은 1979년 이전까지 경기도 시흥군 서면이라는 행정 구역이었는데, 서면사무소는 서면 지역의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 기관이었다. 서면사무소가 생기면서 이 지역에는 취락이 발달하였고, 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1927년에는 근대적인 의미에서 광명시의 첫 교육 기관인 서...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이웃을 사랑하며 예절 바른 어린이[도덕인], 깊이 생각하며 탐구하는 개성 있는 어린이[탐구인], 스스로 공부하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자주인], 즐겁게 생활하며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예의 바르고 당당하게’이다. 1907년 시흥군 서면의 이연철이 설립한 운양의숙이 모태이다. 1911년 7월 1일 시...
-
개항기 광명 출신의 농민운동가. 2차 시흥농민봉기는 1901년 착공하여 1904년 개통된 경부선의 영등포~수원 간 공사에 강제 동원한 데 이어 토지를 대가 없이 수용한 일에 크게 반발하여 군민 2,000여 명이 항거한 사건이다. 1904년 9월 13일까지 6개 면 집강들에게 봉기 계획을 전달하는 한편, 시흥군의 모든 가구마다 한 명씩 반드시 집회에 참여하도록 하여 9월 14일 읍내...
-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 있는 화훼 및 도자기 판매 단지. 총면적은 4만 9,586.78㎡이다. 170개 매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화, 조화, 초화, 관엽, 선인장, 허브, 분재, 장식 소품, 비료, 자재 등을 매장별로 한 가지씩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서울화훼유통은 제2경인고속도로와 서울외곽순환도로가 인접해 있는 등 교통이 편리한 곳에 위치하여 수도권 주민들이...
-
조선 후기에서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초명은 성태경(成泰慶), 자는 치장(稚長), 호는 서암(書岩). 증조할아버지는 성수(成樹)이며, 할아버지는 성진익(成鎭翼)이고, 아버지는 성용연(成龍淵)이다. 외할아버지는 홍윤철(洪潤哲)이다. 성하경(成夏慶)[1823~1899]은 1855년(철종 6)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이때는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였다. 사헌부지평을 거쳐 18...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서어나무는 광명시의 서독산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독특한 외형으로 구분이 비교적 쉽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강원도 이남에 분포하는 온대 수종의 하나이다. 본래 서쪽에 있는 나무라 하여 서목(西木)으로 표기하였는데, 여기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하지만 특정 방향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일반적...
-
경기도 광명시 철산2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서울반석교회는 모이면 기도하고, 흩어지면 전도하는 교회, 이웃을 사랑하며, 나눔과 섬김을 실천하는 교회로서, 예배, 교육, 선교, 전도, 섬김, 성도의 교제 등을 통하여 성도들이 온전케 되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땅 끝까지 전하여 예수가 다시 올 때까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청소년 복지 시설. 서울특별시립근로청소년복지관은 교육 문화 사업, 생활 체육 사업, 상담 사업, 후생 복지 사업 등 근로 청소년 및 청소년 대상의 종합적인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근로 청소년 복지 기관으로, 서울특별시가 설립하여 한국청소년연맹이 수탁·운영하고 있다. 주거 환경 개선 및 복지 증진과 함께 건전한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적 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중량(仲亮), 호는 서은(西隱). 증조할아버지는 성복영(成復榮)이고, 할아버지는 진사 성열(成烈)이며, 아버지는 홍문관교리를 지낸 성우규(成禹奎)이다. 성종영(成鍾永)[1827~1890]은 1865년(고종 2)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후 1880년(고종 17) 상서원직장을 거쳐 1886년(고종 23) 예안현감과 연산현감, 1887년...
-
경기도 광명시에서 각종 잡지와 출판물들을 판매하는 곳. 서점은 도매회사나 출판사에서 보내온 출판물을 점포에 진열하여 독자에게 판매하는 곳이며 출판물은 크게 서적과 잡지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서적은 단행본, 전집, 문고본, 전서 등으로 구분하거나 일반 도서, 전문 도서, 실용 도서. 아동 도서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잡지는 월간지, 주간지, 계간지 등 발간 주기별로 나누거나...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던 극장. 광명시 일원에 세워진 최초의 극장은 1971년 소하동에서 개관한 서천극장과 광명동의 개봉극장이다. 개관 첫 해 400석의 서천극장에는 7만 3885명, 600석의 개봉극장에는 1만 6028명의 관객이 들었다. 1977년 서천극장이 폐관된 이후에는 개봉극장이 광명시에서 유일한 대형 극장으로서 명맥을 이어 갔다. 두 극장 모두 재개봉하는 동시 상영...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서 일직동구간을 경유하여 서울과 목포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길이 341㎞로 경부고속도로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고속도로이다. 1990년 12월 27일에 착공하여 2001년 12월 21일에 완공되었다. 광명시에서 서해안고속도로의 접근은 광명IC를 통해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이 구간은 서울 시계~일직동의 0.14㎞길이이다. 제1단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논둑과 밭둑에 불을 놓으며 노는 놀이. 쥐불놀이는 음력 정월의 첫째 자일(子日)[쥐날]에 농부들이 들판에 쥐불을 놓아서 해충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행했던 농사 기원 민속놀이이다. 이를 ‘서화희(鼠火戱)’, ‘불싸움’ 등이라고도 한다. 또한 음력 1월 14일이나 보름날 밤에 횃불놀이를 겸해서 쥐불놀이를 한다. 쥐불놀이는 잡귀를 쫓고 신성하게 봄을 맞이한다는 것...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과 철산동을 연결했던 고개. 석고개는 도덕산의 한 줄기였으나 도시 개발로 깎여나가 철산2동이 된 광명산과 도덕산 사이의 고갯길이었다. 고개 부근에서 발원한 개천이 광명사거리를 따라 목감천으로 흘러들어 갔다. 조선시대에는 험한 지형 때문에 도적이 들끓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일제강점기에 원광명 지역에서 안양천의 제방을 쌓으러 부역 나가던 길이기도 했었는데, 당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석기를 도구로 사용하였던 시대의 역사와 문화. 석기시대(石器時代)는 석기의 제작 방법에 따라서 뗀석기[일명 타제석기]를 사용하던 구석기시대와 간석기[일명 마제석기]를 사용하던 신석기시대로 구분된다. 그리고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사이에는 세석기(細石器)를 사용하였던 중석기시대가 존재하였다. 인류는 농경(農耕)을 시작하면서 구석기시대의 채집 경제에서 신석기시대의...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정선(旌善). 자는 여견(汝見), 호는 석천(石泉). 정선전씨 안동파로 아버지는 호조판서 임하군 전응조(全應祖)이다. 전용(全龍)[1559~?]은 임진왜란 당시 사복시(司僕寺)에 속하여 판관으로서 선조를 호종하며 뒤따랐다. 개성 청서전(淸署展)에 안치된 종묘의 사주(社主)를 봉환할 때 왜군이 포위하여 왼쪽 뺨과 귀가 떨어지는 중상을 입으면서도 임무를 완수...
-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서(禹書), 호는 석정(石汀), 규당(葵堂). 증조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지낸 정동만(鄭東晩)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과 승정원도승지를 지낸 정기세(鄭基世)이다. 정범조(鄭範朝)[1833~1897]는 1859년(철종 10)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에 등용된 후 성균관 대사성과 홍문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정선(旌善). 자는 여견(汝見), 호는 석천(石泉). 정선전씨 안동파로 아버지는 호조판서 임하군 전응조(全應祖)이다. 전용(全龍)[1559~?]은 임진왜란 당시 사복시(司僕寺)에 속하여 판관으로서 선조를 호종하며 뒤따랐다. 개성 청서전(淸署展)에 안치된 종묘의 사주(社主)를 봉환할 때 왜군이 포위하여 왼쪽 뺨과 귀가 떨어지는 중상을 입으면서도 임무를 완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4월 8일에 사찰을 찾아 불공을 드리는 풍속. 일반적으로 음력으로 매월 상순에 있는 8일을 초여드렛날, 초파일[初八日]이라고 말한다. 부처가 태어나신 날이 4월 초여드렛날이라 4월 초파일이라 명했다. 초파일이란 일반 용어가 불교와 접목되면서 초파일하면 으레 사월 초파일을 연상하게 되었다. 초파일은 석탄일·불탄일·욕불일 등 다양한 용어로 쓰이다가 최근에는...
-
경기도 광명시에서 지역 주민이 공직에 임용될 사람을 직접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행위. 선거는 ‘일정한 조직이나 집단에 있어서 특정의 지위에 취임할 사람을 그 조직이나 집단 구성원들이 집합적인 의사 표시를 통하여 선정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즉 다수인이 일정한 직에 취임할 사람을 선출하는 행위인 것이다. 따라서 선거는 반드시 국가 기관의 선임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노동조합,...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떡갈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 가학산, 서독산, 애기능 주변 야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참나무속 나무 중에서 잎이 가장 크게 성장하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예로부터 음식물과 식재료를 쌀 수 있는 크고 넓으며 위생적으로도 우수한 특성의 잎을 가진 나무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에서도...
-
경기도 광명시에서 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를 통칭하는 역사와 문화. 우리나라의 선사시대(先史時代)는 구석기시대·중석기시대·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철기시대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 시기는 대체적으로 약 70만 년 전부터 시작하여 서력기원을 전후한 시기까지를 의미한다. 다만 중석기시대의 경우 그 존재 여부에 대해 아직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선사시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선이(善而). 아버지는 이원익(李元翼)의 형인 통진현감과 흡곡현감을 지낸 이원보(李元輔)이다. 이성전(李性傳)[1551~1585]은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진사(進士) 3등, 1577년(선조 10) 알성시(謁聖試)에 병과 2등으로 급제하였다. 예조좌랑과 병조좌랑을 지냈다. 묘소는 광명시 일직동에 있다. 석물로는 묘표,...
-
조선 후기 광명 지역의 대표적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선지(善之), 호는 경산(經山). 영의정을 지낸 정태화(鄭太和)의 6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지낸 정동만(鄭東晩)이다. 어머니는 용인이씨이다. 외할아버지는 예조판서 이숭호이다. 부인은 예조판서 김계락의 딸이다. 아들로 이조판서를 지낸 정기세(鄭基世)와 목사를...
-
청곡부채박물관장 금복현 씨는 장인의 삶을 살아왔다. 그는 잊혀 가는 우리의 민예품을 수집하고 끊임없는 호기심과 도전 의식을 가지고 공예 기술을 익혔다. 현재 아방리[능말]에 거주하고 있는 금복현 씨가 걸어온 길을 통해 장인의 삶과 현재 아방리[능말]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이야기를 들어 본다. 금복현 씨는 충청남도 아산이 고향이다. 아버지의 고향은 경상도다. 그가 초등학교...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뭇과의 여러해살이풀. 깽깽이풀은 광명시의 구름산, 도덕산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중북부 이북과 중국 만주에 걸쳐 서식한다. 국가 지정 보호 식물[멸종 위기 동식물 2급]이다. 따라서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채집해서는 안 되는 종이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식물학자들도 자생지를 발견하는 것이 비교적 드문 일로 알려진다. 선황련,...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명절. 설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원일(元日)·원단(元旦)·세수(歲首)·연수(年首) 등이라고도 부른다. 설을 한자로 신일(愼日)이라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이다. 설날을 시점으로 새로운 해가 시작되므로 한 해의 운수가 첫날에 있다고 생각했던 옛 사람들의 정신과 몸가짐을...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경모재에 모신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홍서(弘瑞), 호는 만은(晩隱). 아버지는 창덕궁(昌德宮) 직장(直長)을 지낸 설훈(薛纁)이며, 어머니는 고령신씨로 신숙주(申叔舟)의 고모이다. 설계조(薛繼祖)[1418~1486]는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茅亭里)에서 태어났다. 25세인 1443년(세종 25) 무과에 급제하였다. 1453년(단...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명절. 설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원일(元日)·원단(元旦)·세수(歲首)·연수(年首) 등이라고도 부른다. 설을 한자로 신일(愼日)이라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이다. 설날을 시점으로 새로운 해가 시작되므로 한 해의 운수가 첫날에 있다고 생각했던 옛 사람들의 정신과 몸가짐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설사가 날 때 조치하는 방법. 설사 치료는 수분이 많이 함유된 대변을 배출하고 배변의 횟수가 많은 증상을 고치는 민간요법이다.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행한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인 『민간의약』에는 “설사가 나면 건시와 석류를 달여 먹고 이질이 나면 토끼털을 가루로 만들어 술에 타 먹고 토끼 고기를 조금 먹는다거나 고추장과 같이 매운 음식을 밥에 비벼서...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 경계에 있는 구름산 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기아천은 소하동과 노온사동의 경계에서 솟은 구름산 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설원리마을의 남쪽을 지나 가리대 부근에서 크게 굽이쳐 흐르다가 충현고등학교와 기아자동차 소하리 공장을 지나서 안양천으로 흘러들고 있다. 기아자동차 소하리 공장 앞으로 흐른다고 하여 기아천이라고 부르고 있다....
-
소하2동주민센터 를 출발해서 설월리 길을 지나다 보면 돌담에 둘러싸인 오래된 옛 집들을 만나게 된다. 설월2길로 접어들면 오랜 설월리의 더 많은 흔적들이 우리 눈에 들어온다. 설월리의 최고령자 설순금 씨가 사는 집과 소하동성당 한마음공소를 지나쳐 약 100m를 오르면 금강정사에 다다른다. 제법 많은 참배 차량들이 금강정사에 진입하는 것을 보며 또 약 100m를...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자연마을. 조선 중기의 명재상이었던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이 관직에서 물러나 영당말에 살면서 호미로 농사를 지었다고 하여 ‘호미 서(鋤)’자를 써서 서월리(鋤月里)라 하였다가 발음이 변하여 서러리라 하였다는 설, 이원익이 눈 오는 밤에 마을길을 걸으면서 사색에 잠기곤 했다 하여 설월리(雪月里)라 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조선시대에 시흥군 서면의 관...
-
설월리에는 마을의 토박이 주민들 중에 연령이 비슷한 또래끼리 모여서 만든 ‘설동회’, ‘설송회’, ‘설친회’ 등의 친목회가 있다. 이들 모임은 대부분 마을회관에 사무실을 두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있다. 설동회는 30대, 설송회는 40~50대, 설친회는 60대가 모인 조직이다. 이러한 조직은 대개 성인으로 성숙하고 경제적으로도 안정적인 위치인 30대...
-
설월리는 1970년대까지 150여 호가 모여 살던 면소재지로서 광명 일대에서 가장 전통 있고 번성했던 마을이었다.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이 시작되고 전국이 개발로 몸살을 앓기 전까지 설월리 주민들은 주로 농업에 종사했다. 다음에 소개하는 세 분은 설월리에서 태어나서 현재까지 설월리를 떠나지 않고 평생을 살아온 분들이다. 이들은 살아 온 방식들은 서로 다르지만 지금 이...
-
설월리는 광명시의 진산인 구름산을 등지고 그 앞으로 안양천이 흘러가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마을이다. 불과 50년 전만 해도 설월리 주민들은 소하동 너른 벌판을 일구며 멀리 관악산을 바라보았을 것이다. 이곳은 또 예전부터 안산과 시흥 사람들이 서울에 가려면 반드시 경유해야 했던 교통의 요충지였다. 그만큼 사람이 살기에 적당한 산세와 부족하지 않은 물자가 생산되어 제법 큰...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정중(正中), 호는 월호(月湖)·설창(雪窓)·남곡(嵐谷). 아버지는 태종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示+多)이다. 이정은(李貞恩)은 일찍이 수천부정(秀川副正)에 봉해졌다가 종친부도정(宗親府都正)을 지낸 뒤 수천군(秀泉君)에 봉해졌다. 인품이 독실하고 돈후하여 스스로 겸손하며, 식견과 도량이 있고, 학문의 이치를 터득하여...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졸참나무는 광명시에 서식하는 기본 6종의 참나무속 식물 중 잎이 가장 작다. 아울러 열매인 도토리도 작은 편이며 대신 길쭉하다. 높은 산정에서 낮은 습지 주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우리나라 토양에 잘 적응해 살아가는 수종으로 거목으로 자라는 특성이 있기도 하다.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소수서원에는...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적의 습격에 대비하여 흙이나 돌로 구축한 방어 시설. 성곽이란 성(城)과 곽(郭)의 합성어이다. 성은 내성을 말하고 곽은 성의 주위를 에워싼 나성의 형태로 우리나라는 내성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을 성곽으로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성곽은 기능에 따라 도성(都城)과 장성(長城), 읍성(邑城), 산성(山城) 등 다양하게 구분을 한다. 도성은 왕궁의 도읍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성구(聖九), 호는 주계(周溪). 증조할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정계순(鄭啓淳)이고,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역임한 정동만(鄭東晩)이며, 아버지는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다. 아들로 정범조(鄭範朝), 손자로 정인승(鄭寅昇)을 두었다. 정기세(鄭基世)[1814~1884]는 1837년(헌종 3) 정시(庭試)에 병과 제1...
-
경기도 광명시에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활동했던 유교 단체. 시흥유도회 광명시지회는 유교를 중심으로 도의 정신을 천명하고, 윤리부식(倫理扶植)을 실천하여 수제치평(修齊治平)의 대도(大道)를 선양하며, 사회 질서를 순화하는 동시에 전통 유교 문화를 발전시키고 도덕 및 윤리의 지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광명 지역의 유림들은 1990년 9월 7일에 시흥향교를 중심으로...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유교 단체. 1945년 8·15해방 후에 유림(儒林)들은 서울과 지방에서 각각 동지들을 규합하여 유림 단체를 구성하였다. 명륜전문학교 졸업생을 중심으로 한 대동회(大同會), 서울 지역 유림들의 유림회,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대동유림회(大同儒林會), 전라도 지역의 대성회(大成會)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곧 유림들은 전국의 유림들이 대동단결함으로써 건국 운...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성기석(成基錫)[1920~1990]은 본관이 창녕(昌寧)으로 지금의 경기도 파주시에서 태어났다. 독립운동가이면서 군수를 지낸 성종영(成鍾永)의 5세손이다. 성기석은 1940년 조선방송국(朝鮮放送局)에 기술직으로 근무할 때 단파수신기(短波受信機)를 제작하여 해외 방송을 청취하면서 아버지를 통하여 이인(李仁)과 조병옥(趙炳玉) 등에게 상해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천주교의 종교 의식이 행해지는 교당. 천주교는 조선 후기 선비들에게 처음에는 ‘서학’이라는 학문으로 다가왔다가 이후 신앙으로 받아들여졌다. 1845년(헌종 11) 김대건은 한국인 최초로 신부 서품을 받았으나 다음 해인 1846년 새남터에서 순교를 당하였다. 살아남은 교인들은 산간벽지에서 박해를 피해 숨어 살기도 하였지만 교세는 점점 확장하였다. 과거 시흥군에...
-
개항기 광명 출신의 농민운동가. 성우경(成禹慶)[1842~1916]은 본관이 창녕(昌寧)으로, 시흥군 남면 유등리[현 광명시 학온동]에서 태어났다. 시흥군 남면 동학(東學)의 집강(執綱)으로 활동하면서 1898년(고종 35)과 1904년(고종 41) 두 차례에 걸쳐 다른 집강들과 함께 이른바 시흥농민봉기를 주도하였다. 1차 시흥농민봉기는 일본의 침략과 간섭이 노골화하던 1898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중량(仲亮), 호는 서은(西隱). 증조할아버지는 성복영(成復榮)이고, 할아버지는 진사 성열(成烈)이며, 아버지는 홍문관교리를 지낸 성우규(成禹奎)이다. 성종영(成鍾永)[1827~1890]은 1865년(고종 2)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후 1880년(고종 17) 상서원직장을 거쳐 1886년(고종 23) 예안현감과 연산현감, 1887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가족의 안녕을 관장하는 가신(家神) 중 으뜸 신. 성주는 집안의 가택신 중 가장 최고의 신이다. 따라서 성주는 집안의 가장(家長)으로 비유되고, 지신밟기의 「성주지신풀이」에서 읊는 비나리는 가장인 남편과 지신(地神)을 의미하는 부인이 서로 화합하여 가정을 잘 지켜 나가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가신신앙에서도 성주는 가장 중요한 신이기 때문에 떡시루도 성주 앞에...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집안의 신[家宅神]에게 지내는 제사. 가을고사는 추수가 끝나는 음력 10월에 가족의 평안과 재수를 축원하고 재액을 물리치기 위하여 집집마다 가택신에게 고(告)하고 비는 의식이다. 이를 성주고사(城主告祀), 안택고사, 가을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을고사를 지내는 날짜는 지역이나 집집마다 다르며 10월 1일, 2일, 15일에 정해 놓고 지내는 곳도...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성지장로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높이고, 그를 영화롭게 하기 위하여 희망을 잃은 영혼들에게 복음을 전하며, 그들을 교회의 성도가 되게 하고, 그들이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과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고, 건전한 교리를 익히며, 개인적인 경건과 적절한 영적 태도를 개발하는 것에 최선을 다하도록 돕고, 그들의 삶이 하느님의 나...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성지장로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높이고, 그를 영화롭게 하기 위하여 희망을 잃은 영혼들에게 복음을 전하며, 그들을 교회의 성도가 되게 하고, 그들이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과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고, 건전한 교리를 익히며, 개인적인 경건과 적절한 영적 태도를 개발하는 것에 최선을 다하도록 돕고, 그들의 삶이 하느님의 나...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LED 조명 제조업체. LED(Light Emitting Diode)란 빛을 발하는 반도체 소자로 대다수 광원과 다르게 불필요한 자외선 등을 포함하지 않은 빛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어 자외선에 민감한 문화재나 예술 작품 등의 조명에 사용되며, 21세기 최첨단 소재의 조명 기구로 주목받고 있다. (주)성진기업은 LED MR 램프, LED 매입 가구 조명을...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덕안로에서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52사단에 이르는 도로이다. 성채산 앞을 지나는 도로라 하여 성채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성채로는 연장 1.042㎞, 폭 25m, 왕복 2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오리로의 52사단삼거리에서 영당말길까지의 도로를 광명역세권 개발 지구까지 연장하여 덕안로와 연결하였다. 52사단으로 가는 입구 길이었으나, 기존의 길과 광명역세권 개발...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덕안로에서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52사단에 이르는 도로이다. 성채산 앞을 지나는 도로라 하여 성채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성채로는 연장 1.042㎞, 폭 25m, 왕복 2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오리로의 52사단삼거리에서 영당말길까지의 도로를 광명역세권 개발 지구까지 연장하여 덕안로와 연결하였다. 52사단으로 가는 입구 길이었으나, 기존의 길과 광명역세권 개발...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산. 광명시를 통과하는 서해안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가 만나는 일직분기점에서 조망이 가능한 낮은 산이며, 기아자동차 소하리공장과 광명정보산업고등학교·광명역의 역세권인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으로 이어지는 도심으로 고립되어 가는 산지의 하나이다. 높이는 83m이다. 최근에는 광명시에서 성채산 자락 인근에 광명시립 메모리얼파크[광명납골당]를 건립하면서 안양지...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기아로에서 소하2동의 성채로에 연결되는 도로. 성채로의 안쪽 도로라는 의미에서 성채안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성채안로는 연장 479m, 폭 22m, 왕복 1~2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성채안로는 충현고등학교의 진입로로 개설되었다. 편도 1차선 도로로 충현고등학교까지 연결되었으나, 신설된 성채로와 연결하는 도로로 연장하면서 도로를 확장하였다. 성채안로는 광명역세...
-
조선 후기에서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초명은 성태경(成泰慶), 자는 치장(稚長), 호는 서암(書岩). 증조할아버지는 성수(成樹)이며, 할아버지는 성진익(成鎭翼)이고, 아버지는 성용연(成龍淵)이다. 외할아버지는 홍윤철(洪潤哲)이다. 성하경(成夏慶)[1823~1899]은 1855년(철종 6)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이때는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였다. 사헌부지평을 거쳐 18...
-
조선 후기에서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초명은 성태경(成泰慶), 자는 치장(稚長), 호는 서암(書岩). 증조할아버지는 성수(成樹)이며, 할아버지는 성진익(成鎭翼)이고, 아버지는 성용연(成龍淵)이다. 외할아버지는 홍윤철(洪潤哲)이다. 성하경(成夏慶)[1823~1899]은 1855년(철종 6)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이때는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였다. 사헌부지평을 거쳐 18...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여러 대에 걸쳐 계속해서 살아오고 있는 성씨. 특정 지역의 세거성씨(世居姓氏)는 어떤 가문이나 인물이 일정한 지역에 정착하여 세거하면서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세거성씨는 입향조(入鄕祖)가 있게 마련인데, 입향조는 실존한 인물로서 추적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역사가 오래되어 막연히 성씨만 구전되는 경우도 있다. 촌락 사회, 특히 집성촌에서는 입향조를 정점으로...
-
경기도 광명시 하안4동에 있는 종교단체.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일명 통일교라고 부른다. 1954년 5월 문선명(文鮮明)이 창시한 신흥 그리스도 교회이다. 1997년에 기존의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를 세계평화가정연합과 통합하여 공식 명칭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으로 변경하였다. 2008년에는 통일교 세계회장에 문선명 총재의 막내아들인 문형진 목사가 세계회장과 한국회장에 취임했다. 통일...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하는 의례적인 생활풍속.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 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 세사(歲事), 시절(時節), 명절(名節), 월령(月令), 시령(時令) 등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 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성·순...
-
오래된 주택 지역이 재건축이나 재개발이 되어 아파트 단지를 형성하게 되면서, 옛 주택 지역과 아파트 단지 내 주민 간에 갈등이 생겨나는 일이 종종 벌어지곤 한다. 그런 사회 분위기 속에서도 철산4동 ‘촛불’ 엄마들은 가정 간의 소득 격차가 가정환경의 차이로 이어지고, 부모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가정의 아이들이 학교와 이웃에게 소외되면서 생기는 갈등을 내 아이의 문제로 함께 품어가...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명절. 설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원일(元日)·원단(元旦)·세수(歲首)·연수(年首) 등이라고도 부른다. 설을 한자로 신일(愼日)이라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이다. 설날을 시점으로 새로운 해가 시작되므로 한 해의 운수가 첫날에 있다고 생각했던 옛 사람들의 정신과 몸가짐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하는 의례적인 생활풍속.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 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 세사(歲事), 시절(時節), 명절(名節), 월령(月令), 시령(時令) 등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 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성·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하는 의례적인 생활풍속.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 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 세사(歲事), 시절(時節), 명절(名節), 월령(月令), 시령(時令) 등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 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성·순...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할인형 백화점. 2002년 7월 16일 세이브존 광명점으로 개점하였고, 같은 해 10월 22일 허가를 받았다. 2004년에는 할인점으로 등록되었다. 대지 면적은 5,664㎡, 건물 연면적은 2만 1,831.6㎡, 매장 면적은 9,403.12㎡이다. 지하 2~지하 3층은 주차장, 지하 1층은 세이브존 식품점, 세이브리빙, 푸드아일랜드, 지상 1층은 패션...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에 있는 검도 용품 제조업체. (주)세현상사는 장인 정신이 깃든 우수한 검도 용품을 생산하여 국내는 물론 세계 시장에 보급하는 전문 회사로 성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9년 11월 30일 경기도 광명시에서 세현무도구로 설립했다. 1988년 1월 본사 사옥을 신축 확장했으며, 1989년 1월 31일 (주)세현상사로 법인 전환했다. 1993년 10월 법인 직매...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연말이나 정초에 잡귀를 쫓기 위해 벽사(辟邪)의 용도로 대문에 붙이는 그림. 세화(歲畵)는 새해를 송축하고 재앙을 막기 위해 매·호랑이 등을 그린 그림이다. 이를 문배(門排)·문배세화(門排歲畵)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세화붙이기는 질병이나 재난 등의 불행을 예방하고 한 해 동안 행운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기복적 성격을 띠고 전개되었으며, 새해 첫날 세시풍속의 하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에 소에게 나물과 밥을 주고 풍흉(豊凶)을 점쳤던 풍속. 소밥주기는 음력 1월 15일 아침에 밥과 나물을 소에게 주고, 소가 먼저 먹는 것에 따라 그 해의 풍년과 흉년을 점치는 일종의 농사점(農事占)이다. 일반적으로 소가 밥을 먼저 먹으면 그 해 농사는 풍년이 들고, 나물을 먼저 먹으면 그 해 농사는 흉년이 든다고 한다. 또한 정월 정축일에는 우마...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에 소에게 나물과 밥을 주고 풍흉(豊凶)을 점쳤던 풍속. 소밥주기는 음력 1월 15일 아침에 밥과 나물을 소에게 주고, 소가 먼저 먹는 것에 따라 그 해의 풍년과 흉년을 점치는 일종의 농사점(農事占)이다. 일반적으로 소가 밥을 먼저 먹으면 그 해 농사는 풍년이 들고, 나물을 먼저 먹으면 그 해 농사는 흉년이 든다고 한다. 또한 정월 정축일에는 우마...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일원의 1, 2지구 토지 구획 정리 사업. 토지구획정리사업이란 도시 계획을 시행할 때 공공시설의 정비 개선이나 택지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토지의 구획이나 형질을 변경하고 공공시설을 신설하거나 변경하는 사업을 말한다. 개발자인 시가 토지 소유자와 합의하여 토지를 체비지와 공공용지 및 환지로 나누어 체비지는 시가 매각하여 개발 비용으로 사용하고 공공용지는 공공...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을 관할하는 행정동. 조선시대 관아가 있던 현내면의 아랫동네이므로 소하라 하였다. 소하동은 고려시대 금천현(衿川縣)에 속했던 지역으로, 금천현은 조선 건국 후인 1414년(태종 14) 과천(果川)을 병합해 금과현(衿果縣)이 되었다가 두 달 뒤 과천을 다시 설치하면서 금천과 양천(陽川)을 병합해 금양현(衿陽縣)이 되었고, 1416년(태종 16) 경기도·충청도·전라...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 금하로에서 소하1동 소하로에 연결되는 도로. 소하동이라는 행정구역의 명칭을 따서 소하1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소하1로는 연장 566m, 폭 16m, 왕복 2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소하1로는 금하로와 소하로·신촌로를 잇는 도로로 소하초등학교, 소하중학교, 소하고등학교의 접근로로 건립되었다. 금하로 소하초삼거리에서 소하초·중·고등학교로 진입하는 기존의 도로가...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과 소하동 일부를 관할하는 행정동. 조선시대 관아가 있던 현내면의 아랫동네이므로 소하라 하였다. 소하동은 고려시대 금천현(衿川縣)에 속했던 지역으로, 금천현은 조선 건국 후인 1414년(태종 14) 과천(果川)을 병합해 금과현(衿果縣)이 되었다가 두 달 뒤 과천을 다시 설치하면서 금천과 양천(陽川)을 병합해 금양현(衿陽縣)이 되었고, 1416년(태종 16) 경기...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지덕체의 조화로운 발달 위에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로운 사람, 기초학습 능력과 자기 주도적 탐구력을 갖춘 사람,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여 글로벌시대의 능력을 갖춘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봉사’이다. 1997년 1월 14일 소하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3월 3일 개교하였다. 2002년 2월 수덕관을 준공하였으며,...
-
경기도 광명시에 속하는 법정동. 소하동은 개발 제한 구역이 면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도농 복합 지역이며 최근 소하1동은 소하택지개발사업과 신촌마을 주거지환경개선사업으로 신시가지로 변모 중이다. 조선시대 관아가 있던 현내면의 아랫동네이므로 소하라 하였다. 소하동은 고려시대 금천현(衿川縣)에 속했던 지역으로, 금천현은 조선 건국 후인 1414년(태종 14) 과천(果川)을 병합해 금...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가리대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소하동 가리대 산고사는 매년 음력 10월 초사흘 새벽 1시에 뾰죽산 중턱에서 마을의 안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마을 사람들은 산신제[산고사]를 지내는 것을 일러 ‘산치성드린다’라고도 한다. 가리대마을은 풍수와 관련해서 마을 앞을 나무로 가렸다고 해서 유래된 지명이다. 뾰죽산...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영당말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소하동 영당말 도당고사는 매년 음력 7월 그믐과 10월 초하루에 도당할머니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영당말과 큰말, 작은말도 함께 지냈으며, 소를 잡을 만큼 도당고사의 규모가 컸다고 한다. 영당말은 청백리에 선정된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1547~1634...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광명시 소하2동 341-1번지, 342번지 일대와 소하2동 367~370번지, 377-1~3번지 일대에 걸쳐 소하동 유물산포지가 분포하고 있다. 광명시 소하2동에서 조선시대 토기, 자기, 기와 조각들이 확인되었다. 소하동 유물산포지는 설월리마을 서쪽에 위치한 금강정사 앞에 있는 밭이다. 이곳에서는 회청색과 회백석을 띠는 연질토기...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은행나무. 소하동 은행나무는 1982년 10월 15일 보호수로 지정되었다가, 1986년 10월 13일 해제되었다. 소하동 은행나무는 태풍으로 소실되어, 뿌리와 몸체만 남아 있다. 은행나무는 불에 잘 타지 않고, 병충해에 강해 오래 살며 흔히 정자나무로 많이 심고 있다....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보호수. 소하동 측백나무는 높이 10m, 나무 둘레 2m이다. 소하동 측백나무는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이 말년을 보낸 관감당(觀感堂)과 역사를 같이하고 있다. 관감당은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인조[재위 1623~1649] 때 영의정을 지내고 청백리로 이름 높던 이원익의 집이다. 1630년(인조 8) 2칸 초가인 이...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광명시 노인종합복지관은 ‘늘 어르신을 부모님처럼 공경하며 정성으로 섬기겠습니다.’ 라는 모토로 광명시가 건립하고 사회복지법인 한기장복지재단 계명성교회가 운영·지원하는 광명시 최초의 노인종합복지관이다. 광명시 노인종합복지관은 어르신들이 보다 건강하고 풍요로운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8년 6월 27일 광명...
-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의 가톨릭 교회. 소하동성당은 행정상으로는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속해 있으나 생활권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에 인접해 있다. 1970년대에는 서울 시흥동성당 11지역에 속해 있었으나 이후 차츰 신자가 증가하면서 11지역 신자들이 독립된 신앙 공동체의 설립 필요성을 느껴 공소 설립 문제가 거론되었다. 이에 경기도에 위치해 있으므...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 소하택지개발지구와 소하1동 신촌마을주거환경개선지구 를 연결하는 도로이다. 소하동이라는 행정구역의 명칭을 따서 소하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소하로는 연장 1,800m, 폭 35m, 왕복 6차선 도로이다. 소하로는 2005년 10월 31일에 소하택지개발지구 대지 조성 공사 착공과 2007년 2월 소하1동 신촌마을주거환경개선지구 공사가 착공되면서 두 지역을 잇는 도...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소하어린이도서관은 광명시에서 설립한 어린이 전용 도서관으로 양질의 도서 제공 및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문화 강좌 개최로 어린이의 정서 함양과 기초 지식 획득, 문화적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꿈과 희망, 상상의 세계를 펼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자 건립되었다. 2007년 11월 27일 소하다목적복지센터 착공식을 하였고, 2008년 12월...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바른 생활 습관 형성으로 건강한 심신을 기르는 사람[건강인], 친절하고 예의가 바르며 책임감을 지닌 도덕적인 사람[도덕인], 사회 질서 준수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지혜를 기르는 사람[협동인], 창의력을 신장하고 자율적으로 문제 해결력을 길러 미래를 열어 가는 사람[능력인], 세계인으로서의 자질과 기본 소양을 길러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
소하동의 오리동마을 앞을 동류하여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소하천의 유로는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 경계에 있는 구름산 남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기아자동차 소하리공장을 지나 소하고등학교 근처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서 복개되어 안양천으로 유입된다. 하천의 유로 연장은 3.44㎞이고, 유역 면적은 2.89㎢이며, 하천 연장은 1.64㎞이다. 소하천은 그동안 하천 유역에 고밀도...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주적인 어린이[자주인], 새롭게 생각하는 슬기로운 어린이[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새롭게 생각하고 꿈을 키워 가는 예절 바른 어린이’이다. 1997년 1월 14일 소하초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5월 1일 14학급...
-
국민임대주택 보급의 일환으로 광명시 소하동 일원에 대해 진행한 택지 개발 사업. 택지개발사업이란 도시 지역의 시급한 주택난을 해소하기 위해 주택 건설에 필요한 택지를 개발, 공급함으로써 국민 주거 생활의 안정과 복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사업이다. 택지개발이란 주택 건설 용지 및 주택 건설 용지와 관련된 공공시설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물리적 작업과 토지 용도의 변경을 포함하는 행위...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졸참나무는 광명시에 서식하는 기본 6종의 참나무속 식물 중 잎이 가장 작다. 아울러 열매인 도토리도 작은 편이며 대신 길쭉하다. 높은 산정에서 낮은 습지 주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우리나라 토양에 잘 적응해 살아가는 수종으로 거목으로 자라는 특성이 있기도 하다.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소수서원에는...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피하거나 금기시 되는 말과 행동. 금기어는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속신으로, 일상생활이나 종교적 의례에서 관습적으로 사용하기를 꺼리는 말이나 행동을 표현한 말이다. 이를 ‘속언’, ‘속신어’ 등이라고도 한다. 금기어는 보통 관습적인 민간 신앙의 하나로 사람들이 해서는 안 되는 행위나 말들을 표현하고 있다. 흔히 터부(taboo)와도 같은 뜻으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과 희망을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 길조어는 오랜 세월을 두고 기억 전승되어 인간의 행위를 권장하거나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을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이다. 이를 ‘속신어’, ‘속언’ 등이라고도 한다. 길조어는 예부터 조상들의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덕담과 교훈을 곁들여 민중들이 만들어낸 짧은 말이다. 어떤 행동을 하면 복이 오거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과 희망을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 길조어는 오랜 세월을 두고 기억 전승되어 인간의 행위를 권장하거나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을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이다. 이를 ‘속신어’, ‘속언’ 등이라고도 한다. 길조어는 예부터 조상들의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덕담과 교훈을 곁들여 민중들이 만들어낸 짧은 말이다. 어떤 행동을 하면 복이 오거나...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피하거나 금기시 되는 말과 행동. 금기어는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속신으로, 일상생활이나 종교적 의례에서 관습적으로 사용하기를 꺼리는 말이나 행동을 표현한 말이다. 이를 ‘속언’, ‘속신어’ 등이라고도 한다. 금기어는 보통 관습적인 민간 신앙의 하나로 사람들이 해서는 안 되는 행위나 말들을 표현하고 있다. 흔히 터부(taboo)와도 같은 뜻으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0월 20일경에 행하여졌던 풍속. 손돌추위는 절기로 소설(小雪) 무렵인데, 대개 음력 10월 20일경에 관례적으로 부는 손돌바람이 너무 차가워서 매우 춥다는 말이다. 이날은 뱃사공 손돌이 원통한 죽음을 당한 날이기에 손돌의 넋이 매우 차가운 바람을 일으킨다 하여 손돌추위라 하고, 이날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이라고 한다. 고려 때 어느 임금이 강화도로 파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0월 20일경에 행하여졌던 풍속. 손돌추위는 절기로 소설(小雪) 무렵인데, 대개 음력 10월 20일경에 관례적으로 부는 손돌바람이 너무 차가워서 매우 춥다는 말이다. 이날은 뱃사공 손돌이 원통한 죽음을 당한 날이기에 손돌의 넋이 매우 차가운 바람을 일으킨다 하여 손돌추위라 하고, 이날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이라고 한다. 고려 때 어느 임금이 강화도로 파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0월 20일경에 행하여졌던 풍속. 손돌추위는 절기로 소설(小雪) 무렵인데, 대개 음력 10월 20일경에 관례적으로 부는 손돌바람이 너무 차가워서 매우 춥다는 말이다. 이날은 뱃사공 손돌이 원통한 죽음을 당한 날이기에 손돌의 넋이 매우 차가운 바람을 일으킨다 하여 손돌추위라 하고, 이날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이라고 한다. 고려 때 어느 임금이 강화도로 파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0월 20일경에 행하여졌던 풍속. 손돌추위는 절기로 소설(小雪) 무렵인데, 대개 음력 10월 20일경에 관례적으로 부는 손돌바람이 너무 차가워서 매우 춥다는 말이다. 이날은 뱃사공 손돌이 원통한 죽음을 당한 날이기에 손돌의 넋이 매우 차가운 바람을 일으킨다 하여 손돌추위라 하고, 이날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이라고 한다. 고려 때 어느 임금이 강화도로 파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마당에서 새 쫓는 흉내를 내는 풍습. 새쫓기는 음력 1월 15일 새벽 동이 트기 전에 곡식의 피해를 막고 풍년을 기원하며 새를 쫓아내는 모의 행위이다. 지역에 따라 이를 까마귀쫓기, 솔개쫓기, 까치쫓기 등이라고도 부른다. 곡식을 축내는 새를 쫓아서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려는 새쫓기는 점차 변용되어 몇몇 지역에서 흉조로 여겨지는 까마귀나 솔개...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에 있는 자연마을. 풍수지리상 마을 지세가 봉황이 앉아 있는 형국이므로 봉예골이라 하였다고 여겨진다. 봉예골은 두길과 식골 사이에 있는 마을로 마을이 형성되기 이전에는 옥길교회가 있었고, 광복 후 김영성(金榮聲)이 농사를 짓기 위해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예전에는 큰 소나무가 많아 솔모루[松隅]라고도 불렀다. 1964년 부천군 행정리 확정으로 두길·부평말...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 뒤에 소나무가 많았으므로 솔안[松內]이라 하였다. 솔안은 1964년 시흥군 서면 가학1리에 속하였고, 1981년 광명시 승격으로 광명시 가학동에 속하였다. 행정상으로는 광명시 학온동 5통 4반에 속한다. 시흥광산이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광부들이 거주하는 민가가 속속 들어서자 광산촌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시흥광산은 1903년 5월 2일 일본...
-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에 있는 제품 개발 토털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지니어링 업체. 솔텍엔지니어링은 다양한 제품을 직접 설계 개발해 판매하는 동시에 제품 디자인, 제품 및 기구 설계, 금형 개발에서 생산까지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5년 8월 제품 디자인 및 기구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솔텍디자인연구소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11월에 솔텍엔지니어링으로 명...
-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 뒤에 소나무가 많았으므로 솔안[松內]이라 하였다. 솔안은 1964년 시흥군 서면 가학1리에 속하였고, 1981년 광명시 승격으로 광명시 가학동에 속하였다. 행정상으로는 광명시 학온동 5통 4반에 속한다. 시흥광산이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광부들이 거주하는 민가가 속속 들어서자 광산촌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시흥광산은 1903년 5월 2일 일본...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던 자연마을. 마을 지세가 소의 머리처럼 생겨 소머리라 하였는데 이후 쇠머리를 거쳐 쇠멀로 발음이 변하였고, 쇠멀의 쇠를 ‘쇠 철(鐵)’자로 보고 멀을 ‘뫼 산(山)’자의 고어[메, 말, 멀, 몰은 산의 고어]로 보아 한자로 철산(鐵山)이라 하였다는 설, 마을 지세가 소가 누워 있는 형국이어서 쇠머리라 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지금은 개발되어 그 모양을 잃어...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왜가릿과에 속하는 조류.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았던 여름새이다. 그러나 최근 월동지로 이동하지 않고 전국 각지에 머무르며 겨울을 나는 등 서식형 개체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백로 무리 중 체구가 가장 작다. 그래서인지 영명이 little egret이다.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타이완, 하이난 섬, 인도차이나, 미얀마, 인도, 유럽 남쪽, 아프리카,...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음력 5월 5일 단오는 양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설·추석과 함께 3대 명절의 하나이다. 이를 수리, 천중절, 중오절, 단양, 수릿날 등이라고도 한다. 성장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삿날인 단오에는 두 가지의 의미가 담겨 있다. 하나는 모심기가 끝나고 이제 수확은 하늘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고 하여 성장과 증식을 비는 축제라는 것이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음력 5월 5일 단오는 양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설·추석과 함께 3대 명절의 하나이다. 이를 수리, 천중절, 중오절, 단양, 수릿날 등이라고도 한다. 성장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삿날인 단오에는 두 가지의 의미가 담겨 있다. 하나는 모심기가 끝나고 이제 수확은 하늘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고 하여 성장과 증식을 비는 축제라는 것이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수수께끼는 질문자가 어떤 사물과 현상을 비유적으로 물으면 상대방이 답을 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이다. 이를 ‘미어(謎語)’, ‘유사(諛辭)’, ‘파자(破字)’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수수께끼는 주로 은유를 써서 대상을 정의하는 언어 표현이다. 수수께끼는 구연으로 화자와 청자 쌍방이 참여하며, 질문과 대답으로 이...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61세 되는 생일을 축하하는 잔치. 회갑(回甲)이란 자녀들이 부모의 장수를 축하하기 위해 잔치를 베푸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을 ‘수연’ 혹은 ‘회갑연’이라고 한다. 일가친척과 친한 친구들을 초대하여 술과 음식을 대접하는 것이 예로 되어 있다. 회갑 상을 앞에 둔 부모님께 자녀들이 술을 올리고 절을 하는데, 이것을 헌수(獻壽)라고 한다. 회갑과 관련하여 가장 오...
-
경기도 광명시의 범죄 사건 수사 및 공소 제기, 범죄인 처벌 등을 담당하는 수원지방검찰청 관할 지청. 검찰청은 검사(檢査)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법무부장관 소속으로 설치된 기관으로 1949년 「검찰청법」에 따라 설치되었다. 검찰청은 대법원·고등법원·지방법원 및 가정법원에 각각 대응하여 대검찰청·고등검찰청·지방검찰청이 있으며 관할 구역도 대응하는 각 법원의 관할 구역과 같다....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산하 등기소.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광명등기소는 관할 구역인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부동산의 표시와 그에 대한 일정한 권리 관계 즉 소유권 이전, 근저당 설정, 말소 등의 권리를 법적 절차에 따라 기재하고 관리하기 위해 설치한 국가 기관이다. 1983년 4월 11일 수원지방법원 광명등기소가 설치되었으며 1986년 5월 10일 현 위...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산하 법원.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은 수원지방법원 산하 5개 지원[성남지원, 여주지원, 평택지원, 안산지원, 안양지원]의 하나이며 안산시, 시흥시, 광명시를 그 관할 구역으로 하고 있다.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광명시법원은 시 또는 군 단위별로 설치된 상설 법원의 하나이다. 비교적 간단한 소송 사건의 경우 소송 당사자의 거주지에 가까...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광명광성초등학교 내에 조직된 미술 단체. 수채화동호회 느낌은 현직 교사들의 친목을 도모하고 교직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며 개인의 소질을 계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3월 광명광성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0명에서 시작되었으며, 광명광성초등학교에서 전근 간 교사들을 통해 알게 된 교사들이 추가로 참가하여 회원 수가 증가하였다. 매주 1회 퇴근 후 모여...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정중(正中), 호는 월호(月湖)·설창(雪窓)·남곡(嵐谷). 아버지는 태종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示+多)이다. 이정은(李貞恩)은 일찍이 수천부정(秀川副正)에 봉해졌다가 종친부도정(宗親府都正)을 지낸 뒤 수천군(秀泉君)에 봉해졌다. 인품이 독실하고 돈후하여 스스로 겸손하며, 식견과 도량이 있고, 학문의 이치를 터득하여...
-
개항기 경기도 광명 지역의 향리들이 모여 고을의 사무를 처리하던 통치 기구. 읍사(邑司)는 지방 향리 조직의 기반이 되는 수령의 하부 행정 체계로서 제1차 시흥농민봉기 때 광명 지역에 있던 농민의 집합 장소로 사용된 관청이다. 읍사는 군현 단위로 설치된 곳들의 총칭이며, 실제로는 해당 군현의 격에 따라 주사(州司)·부사(府司)·군사(郡司)·현사(縣司)·진사(鎭司) 등으로 불렸다....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4월 5일경 조상에 차례를 지내는 풍습. 한식(寒食)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동지 후 105일 또는 그 다음 날에 들며, 청명 다음 날이거나 같은 날일 때도 있다. 중국 춘추시대 제(濟)나라 사람들은 냉절(冷節) 또는 숙식(熟食)이라고 하였다. 한식의 유래는 중국 옛 풍속으로, 이날은 풍우가 심하여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 습관이 있었다. 중국에서...
-
근대 개항기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벌어진 1, 2차 시흥농민봉기의 수사를 맡았던 기관. 순교청은 1894년 갑오개혁기에 각 지방 관아에 설치된 기관으로 범죄의 단속과 수사 등 지금의 경찰 업무를 수행하였다. 순교청에는 경찰관에 해당하는 하급 경리(警吏)인 순교가 소속되어 있었다. 순교청은 1898년 8월 23일에 일어난 1차 시흥농민봉기와 1904년 9월 14일에 일어난 2차 시흥...
-
설거백을 시조로 하고 설업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광명시 세거성씨. 순창설씨 시조 설거백(薛居伯)은 진한(辰韓) 땅이었던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 촌장으로 다른 5부 촌장들과 함께 기원전 57년 박혁거세를 왕으로 추대하여 신라를 세웠고, 서기 32년(유리왕 9) 고야촌이 습비부(習比部)로 개칭되면서 설씨 성을 하사받았다. 516년(법흥왕 3)...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에 있는 자연마을. 밤일과 노온사동 등에 사는 주민들이 서울로 가려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교통 요충지여서 주막이 성행하였으므로 술청거리라 하였다. 마을 앞에 있는 안터저수지도 예전에는 술청거리제언[酒廳巨里堤堰]이라 하였다. 본래 안현에 속했던 마을로 1964년 시흥군 하안3리에 속하였고, 1981년 광명시 승격으로 광명시 하안1동에 속하였다. 벌말과 안터 사이...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는 자연과 환경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숲이랑 물이랑은 환경 문제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자원 활동을 통하여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숲이랑 물이랑은 1998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광명시지부의 ‘소하천 살리기’ 모니터링 활동 이후 광명 지역의 심각한 환경 문제를 인식한 주부 5명의 모임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활동의 자율성...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안양천 주변 등지의 습한 곳이나 계곡이 형성된 자갈이 많은 토양을 가진 지역 등에서 서식한다. 이정목으로서 20리마다 심었다 하여 ‘스무나무’에서 시무나무로 이름이 생겨났다고 전해진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청명절에는 느티나무와 버드나무 장작으로 불을 붙여...
-
경기도 광명시 광명6동 광명돔경륜장 내에 있는 상설 전시 공간. 스피돔갤러리는 광명돔경륜장 개장과 함께 레포츠와 순수 미술이 함께 숨 쉴 수 있는 가족 중심의 고품격 문화 스포츠 공간을 마련하여 지역 주민들의 문화 예술 서비스 수요에 부응하고 문화 예술 향수의 기회를 확대하고자 2006년 2월 16일 건립되었다. 개관 기념전으로 광명미협회원전을 개최하여 소속 전 회원의 평면 작품과...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시신을 목욕시키고 수의(壽衣)를 입혀 입관하는 절차. 습렴(襲殮)은 죽은 사람의 몸을 씻기고 옷을 입힌 뒤 염포로 묶는 것을 말한다. 습렴은 시신의 옷을 벗기고 향 물이나 쑥 삶은 물로 씻기는 습(襲)과 시신에 수의를 입히는 염(殮)으로 나누어진다. 현대에서는 염 또는 염습이라는 말로 하나의 의례로 통칭되고 있다. 전통적인 관습에서는 습과 염을 구분하고, 염은...
-
경기도 광명 지역에 분포하는 습기가 많은 축축한 땅. 습지란 유속이 느리며 연중 수자원에 의해 습윤된 조건을 갖추거나 유지하고 있으며, 생물의 다양성이 극히 높은 지역을 말한다. 이를 택지, 저류지, 늪지 등이라고도 한다. 습지는 다음 세 가지 가운데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첫째, 최소한 일시적이라도 습지 생활에 특별하게 적응한 식물인 수생식물이 현저해야...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주)승영은 축적된 기술과 신용을 바탕으로 자동차 부품 업계에 다양한 부자재 및 특수 테이프를 생산 공급하고 있는 중소기업이다. 1987년 3월 3일 자본금 5,000만 원으로 창립되었으며 자동차 및 오토바이 협력 업체 부자재 및 데칼(DECAL)류 공급을 시작하였다. 1999년 4월 1일 (주)승영사로 법인 전환했으며, 12월...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하는 의례적인 생활풍속.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 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 세사(歲事), 시절(時節), 명절(名節), 월령(月令), 시령(時令) 등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 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성·순...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 광명시의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안양천 주변 등지의 습한 곳이나 계곡이 형성된 자갈이 많은 토양을 가진 지역 등에서 서식한다. 이정목으로서 20리마다 심었다 하여 ‘스무나무’에서 시무나무로 이름이 생겨났다고 전해진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청명절에는 느티나무와 버드나무 장작으로 불을 붙여...
-
경기도 광명 지역을 중심으로 시민이 주체가 되어 공익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각종 사회운동. 시민운동은 지역의 특수성에 따라 전개되는 유형이 상이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시민운동이 주로 지역 생활과 밀착된 주민 형태의 운동으로 전개되기 때문이다. 1960년대 중반 이후에 전개된 새로운 시민운동은 시대적 추이에 조응하여 나타난 것으로 1980년대는 민주화 운동으로 본격화되었으며...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서 지내는 문중 제사. 시제는 일 년에 한 번 묘에서 5대조(五代祖) 이상의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문중 의례이다. 이를 시향(時享)·시사(時祀)·묘제 등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조상 숭배 사상이 강하다. 그래서 어느 지역이나 명절에는 차례를 지내고, 절기에 따라 산소를 관리하며, 가을에는 시제를 지낸다. 광명 지역...
-
경기도 광명시에서 재화와 용역이 거래되는 장소. 시장은 여러 가지 상품이 거래되는 일정한 장소를 의미한다. 전통적인 장시(場市)는 3·5·10일장 등을 의미하나 지역마다 2·7일장, 또는 3·8일장 등이 존재하였다. 이후 조선 후기에 5일장으로 정착되어 지역마다 시장 운영일을 달리하였다. 유통이 발달한 현대에는 상설로 시장이 운영되며, 형태에 따라 가판대 등 길거리를 중심으로 발달...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하는 의례적인 생활풍속.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 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 세사(歲事), 시절(時節), 명절(名節), 월령(月令), 시령(時令) 등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 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성·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돌아가신 조상이나 특정한 신명(神明)을 받들어 복을 빌기 위해 행하는 추모 의례. 사례(四禮) 중 하나인 제례는 신령에게 술과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의식을 말한다. 제례는 전통적으로 하늘에 대한 제천 의례, 일월성신(日月聖神)이나 산천에 드리는 의례, 종묘와 사직을 숭배하는 왕실 의례, 마을 공동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대동제, 개인...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서 지내는 문중 제사. 시제는 일 년에 한 번 묘에서 5대조(五代祖) 이상의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문중 의례이다. 이를 시향(時享)·시사(時祀)·묘제 등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조상 숭배 사상이 강하다. 그래서 어느 지역이나 명절에는 차례를 지내고, 절기에 따라 산소를 관리하며, 가을에는 시제를 지낸다. 광명 지역...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시청사거리에서 철산1동 안양천로에 연결되는 도로. 광명시청 앞을 지나는 도로이므로 시청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시청로는 연장 1.556㎞, 폭 24m, 왕복 4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1983년 12월부터 1991년 5월까지 실시된 철산지구 택지 개발 계획에 의해 건립된 도로이다. 시청로는 광명시 철산3동 오리로[구 광덕로]의 시청사거리에서 안양천로 우성아파트...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서 지내는 문중 제사. 시제는 일 년에 한 번 묘에서 5대조(五代祖) 이상의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문중 의례이다. 이를 시향(時享)·시사(時祀)·묘제 등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조상 숭배 사상이 강하다. 그래서 어느 지역이나 명절에는 차례를 지내고, 절기에 따라 산소를 관리하며, 가을에는 시제를 지낸다. 광명 지역...
-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시문학 동호회. 시향(詩郷)은 광명시 평생학습원에 소속되어 있는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자발적인 모임으로, 회원 개개인의 시작(詩作) 발전과 회원 상호간의 친목 도모 및 지역 문학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6년 3월 14일 가은미, 오세화, 윤수아, 진명숙, 김무숙, 천병옥, 이정희, 정은희, 김광순, 전춘희, 이말순 등 11명의 동인으로 결성되...
-
1932년 2월 서면공립보통학교 교장 기타야마 와카니치(北山若二)와 교사 성만용(成萬鏞)이 편찬한 『서면향토지』를 통해 읽혀지는 설월리는, 서면의 면소재지임에도 상가나 유흥 시설, 금융 기관, 병원 등의 시설들이 거의 없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었다. 여타 지역의 면소재지와 비교해 보면 사뭇 다른 모습이 아닐 수 없다. 『서면향토지』는 1927년 서면공립보통학교의 초대 교...
-
1961~1962년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시흥광산(주)에서 전개된 노동운동. 시흥광산(주)은 1903년 5월 2일 일본인 이이다 규이치로[飯田久一郞]가 한국 정부로부터 채광 허가를 받아 설립한 광산으로 은, 동, 아연 등을 채굴하였다. 해방 이후 허익, 황기룡 등이 운영하였다가 1961년에는 최재항이 경영하였다. 이때 시흥광산(주)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노사 분쟁이 일어났다. 경기도...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과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을 연결하는 다리. 시흥대교는 광명시 소하1동 소하택지개발지구 근처에서 동쪽에 있는 안양천을 건너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으로 지나는 다리이다. 1979년에 준공되었다. 길이 320m, 폭 20m, 높이 11m이며, 경간 수는 10개이다. 상부 구조 형식은 14.STI, 하부 구조 형식은 15.RAP이며, 설계 하중은 DB-18[32...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세무 행정 기관. 세무서는 소득세, 지방세, 부동산세, 사업자 등록, 탈세 신고, 세금 납부 조회 안내 등 세무에 관한 소관 사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방 국세청장 소속하에 각 지구에 설치한 지방 행정 기관으로, 국세청과 지방국세청의 지휘·감독을 받고 있다. 납세자는 물론 일반 국민을 상대로 내국세 부과, 징수의 주요 업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민원 사무 처...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유교 단체. 1945년 8·15해방 후에 유림(儒林)들은 서울과 지방에서 각각 동지들을 규합하여 유림 단체를 구성하였다. 명륜전문학교 졸업생을 중심으로 한 대동회(大同會), 서울 지역 유림들의 유림회,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대동유림회(大同儒林會), 전라도 지역의 대성회(大成會)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곧 유림들은 전국의 유림들이 대동단결함으로써 건국 운...
-
경기도 광명시에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활동했던 유교 단체. 시흥유도회 광명시지회는 유교를 중심으로 도의 정신을 천명하고, 윤리부식(倫理扶植)을 실천하여 수제치평(修齊治平)의 대도(大道)를 선양하며, 사회 질서를 순화하는 동시에 전통 유교 문화를 발전시키고 도덕 및 윤리의 지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광명 지역의 유림들은 1990년 9월 7일에 시흥향교를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광명 지역을 포함한 시흥 지역에서 결성된 청년 운동단체. 3·1운동 이후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이 소위 문화 정치로 바뀌면서 외형적으로 언론, 집회, 결사의 자유가 보장되었고 전국적으로 많은 단체들이 결성되어 활발하게 민족 운동을 전개하였다. 경기도에서도 3·1운동 이후 1920년대 말까지 178개의 청년 단체가 20개 군에서 결성되었다. 이 가운데 시흥 지역에서는 1...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에 있는 자연마을. 광명동에서 마을을 바라보면 배부른 사람이 누워 있는 형상이고 만수산(萬壽山) 산봉우리가 호랑이가 입을 벌리고 있는 형상이므로 식골[食谷]이라 하였다. 예전에는 서북쪽에 이웃한 해방촌과 남쪽에 이웃한 시흥시 과림동 숯두루지마을[일명 탄평동(炭坪洞)]이 한 마을로 통칭되어 숯두루지마을 사람들은 식골을 큰말이라 하였다. 식골은 파주염씨·전주이씨·광...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과 옥길동을 연결하는 광명 지역 최초의 다리. 식곡교는 광명시 광명7동 식곡로에서 목감천을 건너 옥길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1965년에 설치되었다. 옥길동의 자연마을로는 두길·봉예골·부평말·식골·해방촌 등이 있다. 두길에서 옥길로를 따라 시흥시 과림동 방향으로 나가면 봉예골을 지나 식골이 나온다. 식골의 유래를 보면 마을의 주산은 만수산으로 이곳에 살면 만수를...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에 있는 자연마을. 광명동에서 마을을 바라보면 배부른 사람이 누워 있는 형상이고 만수산(萬壽山) 산봉우리가 호랑이가 입을 벌리고 있는 형상이므로 식골[食谷]이라 하였다. 예전에는 서북쪽에 이웃한 해방촌과 남쪽에 이웃한 시흥시 과림동 숯두루지마을[일명 탄평동(炭坪洞)]이 한 마을로 통칭되어 숯두루지마을 사람들은 식골을 큰말이라 하였다. 식골은 파주염씨·전주이씨·광...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 식골에 있는 수령 약 350년의 보호수. 식골 느티나무는 높이 30m, 둘레 4m이다. 우리 한민족은 예부터 오래된 느티나무를 마을을 지켜 주는 상징으로 여겨 왔다. 식골 느티나무는 마을에서는 ‘도당나무’라 하며 신성시하였다. 마을의 안정을 기원하는 해마다 음력 10월 1일 웃말 도당고개 옆에 있는 느티나무 앞에서 당고사를 지냈다. 일제강점기까지만 해도 4~5...
-
경기도 광명시 광명7동과 옥길동을 연결하는 광명 지역 최초의 다리. 식곡교는 광명시 광명7동 식곡로에서 목감천을 건너 옥길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1965년에 설치되었다. 옥길동의 자연마을로는 두길·봉예골·부평말·식골·해방촌 등이 있다. 두길에서 옥길로를 따라 시흥시 과림동 방향으로 나가면 봉예골을 지나 식골이 나온다. 식골의 유래를 보면 마을의 주산은 만수산으로 이곳에 살면 만수를...
-
경기도 광명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의 모든 종류. 식물의 분포는 그 지역의 습도·온도·고도 등 기후와 지형적 요인에 의해서 많이 좌우된다. 한반도는 세계 식물 지리구 6개 중 북방계에 속하며, 지구 식물구계 중 일화식물구계에 속한다. 이우철과 임양재 등에 따르면 한국의 식물은 갑산아구, 관북아구, 관서아구, 중부아구, 남부아구, 남해안아구, 제주도아구 및 울릉도아구 등 총 8개 구로...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행해지는 식품과 음식에 관련된 모든 활동. 식생활은 광명 지역에서 식품 재료를 조리하여 식품으로 만들어 먹는 생활과 풍습을 말한다. 광명 지역에서 오늘날 주식은 쌀밥이다. 보리는 1980년대 초반 이후 농사를 짓지 않기 때문에 보리밥을 먹는 사람은 지금 거의 없다. 가끔 음식점에서 취향이 있는 사람들이 사먹을 뿐이다. 도시화가 오늘날과 같이 많이 진척되지 않았...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신갈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가학산, 도덕산, 서독산 등지의 모든 산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수종이다. 우리나라 전체의 숲에서도 주인공 노릇을 하며 삼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와 함께 숲에서 실질적인 주인공으로 등장할 날이 그리 멀지 않는 자연적 천이 과정에서 가장 우세한 세력을...
-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신광교회는 ‘신실한 제자가 되어 그리스도를 드러내며 광명과 세계에 축복의 통로가 되고 교회와 가정을 건강하게 세우며 서로 사랑하는 행복한 예수 공동체’를 목적으로,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하는 행복한 교회’를 표어로 삼고 사역하고 있다. 구체적인 목표로 오직 그리스도만 내세우는 교회[Worship], 서로 사랑하며 세우는...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자연마을. 안동권씨가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였다 하여 권촌말이라고 하였다가 여러 성씨가 들어오면서 새터말로 고쳐 불렀다. 마을이 형성되기 이전에는 대부분의 지역이 밤나무가 무성하던 곳으로 안동권씨가 정착하여 살면서 마을을 이루었다. 조선 말기 시흥군 서면 일직리에 속하였고, 1964년 시흥군 서면 일직2리에 속하였다. 1981년 광명시 승격으로 광명시...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에 있던 자연마을. 광명동에서 가장 늦게 새로 형성된 마을이므로 새터말이라 하였다. 일제강점기 초에 광산김씨·남양홍씨·원주원씨 등이 정착해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을 이루었다. 조선 말기 시흥군 서면 광명리에 속하였고, 1964년 시흥군 서면 광명2리에 속하였다. 1981년 광명시 광명동에 속하였고 행정상으로는 광명시 광명7동에 속한다. 일제강점기에는 17가구가 살...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신갈나무는 광명시의 구름산, 가학산, 도덕산, 서독산 등지의 모든 산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수종이다. 우리나라 전체의 숲에서도 주인공 노릇을 하며 삼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와 함께 숲에서 실질적인 주인공으로 등장할 날이 그리 멀지 않는 자연적 천이 과정에서 가장 우세한 세력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 또는 1월 16일에 귀신이 돌아다닌다는 날. 음력 1월 16일인 귀신날은 귀신이 따르거나 집안에 들어오는 날이다. 이를 야광귀(夜光鬼), 귀신단지날, 귀신단오날, 신날[申日], 고마이날, 달귀귀신날 등이라고도 한다. 귀신날에는 먼 길의 외출을 삼간다. 특히 밤에는 남녀노소 모두 외출을 하지 않으며, 귀신이 와서 자신의 신발을 신어 보면 일 년...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새해가 되면 『토정비결(土亭秘訣)』을 보는 풍속. 신년운세 보기는 새해를 맞아 1년 동안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친지 등의 운수(運數)를 『토정비결』을 통해 보는 것을 일컫는다. 이를 ‘신수점 보기’라고도 한다. 『토정비결』은 조선시대 명종 때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1517~1578]이 지은 책으로 그 해의 신수를 보는데 쓰인다. 주로 정월 초에 보는데...
-
경기도 광명시 광명1동에 있는 음식점. 1970년대 경기도 광명시 광명1동 6-1번지에서 황금장이란 상호로 처음 개업하였다. 이후 신다빈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현재는 권용태·최민자 부부가 운영하고 있다. 신다빈은 광명1동 두산위브아파트와 광복시장 사이의 킴스클럽 옆 2층 건물에 입점하여 있다. 실내 면적은 약 83㎡이며 영업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이다. 추석과 설을 제...
-
경기도 광명시에서 발행되는 지역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뉴스를 비롯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정기 간행물. 신문은 매스 미디어의 일종이며 매스 미디어란 대중에게 사회에서 일어나는 각종 정보를 객관적, 간접적,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매체로서 신문, TV, 라디오, 잡지, 영화 등이 대표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문은 인쇄 매체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정보 통신 기술...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새해가 되면 『토정비결(土亭秘訣)』을 보는 풍속. 신년운세 보기는 새해를 맞아 1년 동안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친지 등의 운수(運數)를 『토정비결』을 통해 보는 것을 일컫는다. 이를 ‘신수점 보기’라고도 한다. 『토정비결』은 조선시대 명종 때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1517~1578]이 지은 책으로 그 해의 신수를 보는데 쓰인다. 주로 정월 초에 보는데...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삼월 삼짇날에 처음 본 짐승이나 나비를 보고 길흉을 점치는 풍속. 신수점치기는 음력 3월 3일 삼짇날에 가장 먼저 본 나비를 보고 그해 운수를 점치는 세시풍속이다. 신수점을 치는 삼짇날은 상사(上巳), 중삼(重三), 원사(元巳), 상제(上除) 등이라고도 한다. 이날을 3이 세 번 겹친 길일로 여기며, 봄이 본격적으로 돌아온 절기이다. 또한 이날은 강남 갔던 제...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었던 미용기기 제조업체. 1978년 5월 15일 동우일렉트로닉스(Dong Woo electronics)가 설립되어 일본 다음으로 워크맨용 미니 헤드폰을 생산, 세계 시장에 수출하였다. 1980년 11월 11일 동우일렉트로닉스(주)(Dong Woo electronics Co., Ltd.)로 법인 전환하였고, 1986년 10월 20일 신우마이크로닉(주)(Shi...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명절. 설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원일(元日)·원단(元旦)·세수(歲首)·연수(年首) 등이라고도 부른다. 설을 한자로 신일(愼日)이라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이다. 설날을 시점으로 새로운 해가 시작되므로 한 해의 운수가 첫날에 있다고 생각했던 옛 사람들의 정신과 몸가짐을...
-
1900년대부터 발생하여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종교. 신종교는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기존의 제도 종교에 비하여 성립 시기가 오래 되지 않은 종교를 말한다. 이를 ‘신흥종교’라고도 한다. 2010년 현재 광명 지역에는 불교 계통의 원불교(圓佛敎), 한국 SGI, 기독교 계통의 세계통일교, 여호와의 증인 등의 신종교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원불교는 1916년 소태산...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 있는 자연마을. 농사를 짓기 위해 사람들이 정착하면서 새로 형성된 마을이므로 신촌(新村) 또는 새말이라 하였다. 신촌 일대는 예전 주막이 서너 집 있었을 뿐 대부분이 뽕나무 밭과 논이었다. 일제강점기에 후쿠다라는 일본인이 처음 집을 지었고, 그 뒤 하안동 밤일 출신 평기현(平基鉉)이 농사를 짓기 위해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1964년 시흥군 서...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 신촌마을주거환경개선지구에서 소하1로에 연결되는 도로. 서울특별시 금천구 쪽에서 이주하여 시흥대교 부근에 형성되었던 신촌(新村)이라는 자연마을의 이름을 따서 신촌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신촌로는 연장 585m, 폭 20m, 왕복 4차선에 이르는 도로이다. 신촌로는 2007년 2월에 공사를 시작한 신촌마을 주거 환경 개선 지구 도시 계획 시설 도로 개설에 의해 아...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 신촌마을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 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이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거 지정 하는 사업으로 도시 저소득층 주민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으로서 정비 기반 시설이 극히 열악하고 노후 불량 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을 정비함으로써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주거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신촌마을 주거환경개선사업은 광명시 소하1...
-
1900년대부터 발생하여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종교. 신종교는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기존의 제도 종교에 비하여 성립 시기가 오래 되지 않은 종교를 말한다. 이를 ‘신흥종교’라고도 한다. 2010년 현재 광명 지역에는 불교 계통의 원불교(圓佛敎), 한국 SGI, 기독교 계통의 세계통일교, 여호와의 증인 등의 신종교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원불교는 1916년 소태산...
-
경기도 광명시 하안2동에 있는 광명문화원 부설 기관. 실버문화사업단은 풍부한 경험과 폭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광명의 실버 세대들이 모여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문화 사업단이다. 실버문화사업단은 실버들의 건전하고 효율적인 여가 선용과 지역 문화 발전을 도모하여 보람 있고 활기찬 노후 생활을 영위하고자 설립되었다. 광명문화원이 2005년 11월 어르신문화도우미 양성...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실잠자릿과에 속하는 잠자리. 실잠자리란 실잠자릿과의 잠자리를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실잠자리, 참실잠자리는 흔히 시골잠자리 또는 북방실잠자리로 잘못 불려 왔던 북방계의 실잠자리종이다. 제대로 성숙한 개체는 몸이 짙은 청색을 띠며 검은색의 무늬가 아주 선명하다. 봄철이면 우리나라 중부와 북부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으며 산지 주변의 물웅덩이, 저수지, 작은...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시청로 20 시민회관 내 1층]에 있는 광명의 대표적인 사회적기업 오케스트라. (사)광명심포니오케스트라는 교향악의 전문적인 활동과 문화 예술 창달을 통한 공연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문화 예술 발전에 이바지하고, 대내외적인 음악 문화의 교류를 도모한다. 김승복 지휘자와 40명의 단원으로 2002년 창단한 (사)광명심포니오케스트라는 새로운 도약을 위해...
-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도로변, 하천변, 철도변 유휴지의 자투리땅에 조성한 공원. 광명시는 도시화가 고밀도로 이루어지면서 도심지 내에 녹지로 이용할 수 있는 토지가 한정되어 도시민들의 쾌적한 삶의 환경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쉼터인 휴식 공간이 부족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로변, 하천변, 철로변 등의 유휴지를 녹지로 조성하고, 간이 휴게실을 설치하여 주민들에게 쉼터...
-
경기도 광명시에 서식하는 부전나빗과에 속하는 곤충. 광명시에 서식하는 쌍고리부전나비는 멸종 위기 동식물 2급 생물로 지정된 희소종이다. 개미의 생활에 동참하는 능력을 가진 특이한 습성으로 애벌레 시절에는 나무속에 들어가 개미집을 찾아 먹이를 해결한다. 나무속에서 월동을 마친 후 주변의 나무에서 번데기로 변태를 마치면 성충으로 우화한다. 한낮에는 활동량이 많지 않으며, 주로 저녁이나...
-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에 있던 극장. 2000년대 극장 산업은 이른바 멀티플렉스 시대로 재편되면서 적어도 6개 이상의 스크린과 넓은 공간에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춘 문화 공간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대기업이 운영에 나서는 등 경영상의 변화도 이루어져 큰 산업으로 전환되었다. 극장 산업이 멀티플렉스 시대로 재편되는 추세에 발맞추어 2004년 9월 17일 철산3동 파보레쇼핑몰렛[현 200...
-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두 사람이 샅바나 바지 허리춤을 잡고 힘과 슬기를 겨루어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경기.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나 띠를 넓적다리에 매어 이것을 서로 잡고 손과 발, 그리고 몸을 이용한 힘과 재주를 부려 상대편을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우리나라 고유의 운동이다. 씨름은 상대방의 허리와 다리에 감은 샅바를 잡고 경기가 시작되면 발을 제외한 몸의 일부가 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