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기해원월입춘일 여방류접서원청주불굴지동 완열주부자인설도 유감이득일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526
한자 己亥元月立春日, 余方流接西原淸州不屈之洞, 翫閱朱夫子仁說圖, 有感而得一絶
영어공식명칭 A poem written in 1599 based on the Inseoldo of Zhu Xi when he was living in Bulgul-dong, Cheongju.
이칭/별칭 기해년 1월 입춘에 청주 불굴동에 거처할 때 주자의 인설도를 보고 느낌이 있어 절구 한 수를 지었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중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50년 - 서사원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599년연표보기 - 「기해원월입춘일 여방류접서원청주불굴지동 완열주부자인설도 유감이득일절」 창작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15년 - 서사원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843년 - 「기해원월입춘일 여방류접서원청주불굴지동 완열주부자인설도 유감이득일절」 저자 서사원의 『낙재선생문집』 간행
배경 지역 청주 불굴동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낙영산
배경 지역 구암서원 -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공원로17길 20[산격동 산79-1]지도보기
배경 지역 서사원본가터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절구
작가 서사원

[정의]

대구 출신 문인 서사원이 1599년 청주의 불굴동에 우거하면서 지은 한시.

[개설]

「기해원월입춘일 여방류접서원청주불굴지동 완열주부자인설도 유감이득일절(己亥元月立春日, 余方流接西原淸州不屈之洞, 翫閱朱夫子仁說圖, 有感而得一絶)」을 쓴 서사원(徐思遠)[1550~1615]은 본관이 달성(達城)이고, 자는 행보(行甫)이며, 호는 낙재(樂齋) 혹은 미락재(彌樂齋)이다. 경상북도 성주 팔거현(八莒縣)[현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 일대]에서 출생하였다. 서사원의 본가는 대구 남산(南山)의 옛 역터이다. 서사원임진왜란 시기를 중심으로 영남에서 구국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열악한 환경에서 학문 연마와 강학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황(李滉)의 학맥을 계승한 정구(鄭逑)[1543~1620]를 찾아가 배웠고, 정구서사원을 사우(師友)로 대우하였다. 장현광(張顯光), 곽재겸(郭再謙), 손처눌(孫處訥) 등과 교유하였다. 서사원의 위패는 청주의 구계서원(龜溪書院)에 봉안되었고, 2008년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구암서원(龜巖書院)에 배향되었다. 저서로 『낙재집(樂齋集)』, 『낙재선생문집』이 있다.

「기해원월입춘일 여방류접서원청주불굴지동 완열주부자인설도 유감이득일절」서사원이 청주 불굴동(不屈洞)에서 머물면서 지은 한시이다. ‘기해년 1월 입춘에 청주 불굴동에 거처할 때 주자의 인설도를 보고 느낌이 있어 절구 한 수를 지었다’라는 의미이다. 청주 불굴동은 현재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낙영산(落影山) 부근을 가리킨다.

[구성]

「기해원월입춘일 여방류접서원청주불굴지동 완열주부자인설도 유감이득일절」은 칠언절구이다.

[내용]

관물정중개동춘(觀物靜中皆動春)[사물을 보니 고요한 중에도 모두 봄기운 약동하고]

계추방각하순순(雞雛方覺荷諄諄)[병아리 소리에 상세하게 받은 은덕을 깨닫는다]

행년오십심도의(行年五十尋圖意)[내 나이 오십에 「인설도(仁說圖)」의 의미를 찾으니]

시지공문전설인(始識孔門專說仁)[공문(孔門)에선 오로지 인만 말한 줄 이제야 알겠네]

[특징]

「기해원월입춘일 여방류접서원청주불굴지동 완열주부자인설도 유감이득일절」은 진(眞) 운목이 사용된 칠언절구이다.

[의의와 평가]

서사원은 1598년 10월 명나라 장수가 내려올 때 역참에 나와 접대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체포 구금되었다가 11월 진상이 밝혀지고 석방되었다. 서사원은 방면되는 날 청주 낙영산 아래 불굴동에서 우거하면서 「기해원월입춘일 여방류접서원청주불굴지동 완열주부자인설도 유감이득일절」을 지었다. 곤궁한 처지에도 느긋하게 거처하면서 강송(講誦)을 그만두지 않은 서사원의 학문에 대한 의지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