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0423
한자 李元翼先生影幀
영어공식명칭 Portrait of Yi Wonik
이칭/별칭 오리 이원익 영정,평양 생사당 구장 이원익 영정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1085-2[오리로347번길 5-7]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최현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8년 11월 10일연표보기 - 이원익선생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이원익선생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초상
제작시기/일시 16세기[1580년 이전]
소장처 충현박물관
소장처 주소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1085-2[오리로347번길 5-7]지도보기
소유자 충현문화재단
문화재 지정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충현박물관에 있는 조선 전기 이원익의 영정.

[개설]

조선시대의 문신 오리 이원익[1547~1634]의 영정 중 하나이다. 이원익의 자(字)는 공려(公勵), 호(號)는 오리, 본관은 전주이며, 태종의 아들 익녕군(益寧君) 이치(李礻+多)의 현손(玄孫)이며 이억재의 아들로 태어났다. 1569년(선조 2)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호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지냈으며 조선시대 대표적인 청백리로 유명하다.

이원익선생영정은 평양의 서리들이 이원익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생사당에 있던 것이다. 이원익선생영정의 왼쪽 상단에 있던 화기(畵記)와 『오리집(梧里集)』에 수록된 “서기성생사철환도상배후(書箕城生舍撤還圖像褙後)”와 내용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그림의 경위를 아는 데 결정적인 증거가 된다.

화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평양 생사당을 철거하고 도상을 환수하고 배접한 후에 쓰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장차 서쪽으로 피난가려 하였다. 이때에 나는 이조판서로 어명을 받고 먼저 관서[평안도]에 가서 도순찰사를 겸하고 이어서 평양감사를 맡았다. 1595년(선조 28)에 우의정에 임명되어 조정에 돌아왔다. 평양에 있는 서리들이 일을 꾸며 이익을 보려는 뜻에서 나에게 노고와 공적이 있다고 핑계하고 인민들에게 쌀과 베를 수합하여 몰래 화공으로 하여금 나의 초상을 그리게 한 다음 사당을 지어 그 초상화를 간직하였다.

1599년(선조 32)에 호성공신에 녹훈되어 도상을 그릴 때 함께 이 그림을 개장하여 얼자인 이효전에게 주고 얼자가 자손이 없을 경우에는 그 그림을 종가에 돌려주게 하였다. 1605년(선조 28) 여름에 직접 기록하였다[『오리 이원익 영정 보물지정기념전 도록』 중에서]” 이원익선생영정은 1978년 11월 10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이원익선생영정의 크기는 150×70㎝로, 오사모(烏紗帽)에 정장 관복을 입고 호피 깔린 의자에 앉아 있는 전신우안교의좌상(全身右顔交椅坐像)이다. 전체적인 형식에 있어서 공신도 형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호성공신상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가슴에 부착된 단학(單鶴) 흉배는 이원익선생영정이 당하관(堂下官) 재직 때에 그려졌음을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이원익선생영정이원익이 당상관인 대사간에 제수된 1591년(선조 24) 이전의 작품임이 분명하다. 이원익은 오른쪽으로 얼굴을 돌리고 있는 우안칠분면(右顔七分面)을 하고 있고, 오른손엔 부채를, 왼손엔 대를 잡고 있는 모습인데, 손의 형태가 다소 미숙하게 표현되어 있다.

얼굴에는 음영 효과가 들어가 있으며, 수염, 눈썹, 뺨 등은 엷은 묵(墨)으로 처리한 뒤에 묵선(墨線)으로 다시 덧칠하고 있다. 눈동자 주위에 금니(金泥)[금가루에 아교를 갠 것으로 경전을 베껴 쓸 때 먹 대신 사용하여 장엄함을 나타낸다]가 남아 있다. 이원익선생영정은 조선시대 초상화의 대부분이 왼쪽으로 얼굴을 돌린 데 반하여 얼굴을 오른쪽으로 돌리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특징]

이원익선생영정은 형태상으로 오른손은 부채를 쥐고, 왼손은 관대를 잡고 있는 것과 바닥에 돗자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고승진영(高僧眞影)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라서 화승(畵僧)[승려 화가]이 그린 영정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7.12.01 인명 한자 병기 이치 -> 이치(李礻+多)
이용자 의견
정** {익녕군(益寧君) 이치} 에서 이치를 이치(李礻+多)로 수정하여 주십시오.
  • 답변
  • 디지털광명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소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해당 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7.11.30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